#생글생글
-
커버스토리
아시아에서 가장 키가 큰 韓國, 작은 北韓
남북한 국민의 키 차이가 10㎝ 이상 벌어지고 있다. 한국 청소년들은 한 · 중 · 일 가운데 가장 큰 것은 물론 아시아 전역을 통틀어 터키 다음으로 키가 크다. 이에 반해 북한은 필리핀이나 인도네시아 같은 열대지방 인종만큼이나 작아지고 있다. 같은 민족인데 어떻게 이런 일이 벌어졌을까. 인구통계학적으로 보면 일반적으로 적도에서 멀리 떨어진 북방계가 남방계보다 키가 크다. 우리나라도 해방 이전에는 북한 사람이 남한 사람들보다 키가 컸다...
-
경제 기타
아프리카 개발 지원 11억弗로 늘린다
정부가 아프리카 경제개발 사업에 필요한 사회간접자본(인프라) 구축을 위해 대외경제협력기금(EDCF)을 통한 지원 규모를 2014년까지 11억달러 수준으로 늘린다. 또 아프리카 주요 12개국을 대상으로 한국의 개발 경험을 현지 환경에 맞게 전수해주는 '맞춤형 경제발전 공유사업'에도 나선다. 아프리카 진출 기업에 대한 수출금융은 2012년까지 2조3000억원으로 늘리고 현지 건설투자를 위해 2조원 규모의 인프라 펀드도 조성한다. 정부는 15일...
-
경제 기타
G20 경제효과 24조 등
⊙ G20 경제효과 24조 오는 11월 서울에서 열리는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의 경제적 파급 효과가 24조원을 넘을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삼성경제연구소는 15일 발표한 '서울 G20 정상회의와 기대효과' 보고서에서 G20 정상회의 개최에 따른 직 · 간접 경제적 파급 효과가 21조5576억~24조6395억원에 달할 것으로 추정했다. 행사 자체의 직접 효과는 1023억원에 그칠 것으로 예상했다. 그러나 간접 효과는 이보다 훨씬...
-
경제 기타
루저, 된장녀에 이어 이번엔 '명품녀' 파문…선정적 방송 어디까지
돈을 위해서라면 사생활까지 파는 천박한 '과장 TV' 자체가 문제 지난 7일 20대 여성 김모씨가 한 케이블 방송에 출연해 "걸치고 있는 것만 4억원대"라고 자랑삼아 털어놓은 게 사회를 들썩거리게 만들고 있다. '4억 명품녀' 사건은 국회에서까지 논란이 됐으며 탈세 여부,김씨와 해당 케이블방송 간 진실공방으로 번지고 있는 상황이다. 김씨는 방송사가 시청자의 관심을 끌기 위해 사실을 과장한 것이라고 주장하는 반면 방송사 측은 김씨의 말이 거...
-
커버스토리
南北 청소년 키 차이 얼마나 나길래···
탈북자 대상 조사에서 평규 8~10cm 차이 추정 해방전 北 더 컸지만 ··· 南, 경제성장과 함께 '쑥쑥' 북한은 주민들의 신장 체중 수명 등 신체발달 상황에 대한 공식적인 통계 자료를 발표하지 않는다. 아니 자료가 없다. 2002년 유엔과 UNICEF 등이 북한 식량난을 지원하기 위해 북한 주민에 대한 역학조사를 했을 때도 북한 당국은 소년과 여성들의 신체 발달 상황에 대한 표본 조사만 허락했다. 그래서 국제기구의 각종 통계에서 북...
-
커버스토리
"잘 살아야 키도 큰다"··· 못먹고 자라는 북한 청소년 작을수 밖에!
만성적인 식량난으로 영양실조 시달려··· 삶의 실, 세계 최하위 수준 북한 사람들의 키가 남한 사람들보다 작은 것은 만성적인 식량 부족 등으로 삶의 질이 세계 최하위 수준으로 떨어졌기 때문이다. 굶어 죽는 사람이 수천명에 달한다는 보도가 수시로 나올 정도로 북한의 식량난은 심각하다. 식량난의 원인은 1995년 이후 매년 반복되고 있는 홍수 피해 때문이라고 한다. 전기 석유의 부족으로 많은 주민들이 산에서 나무를 베어와 땔감으로 사용하다 ...
-
경제 기타
리먼 브라더스 파산 2주년… 가시지 않은 '금융위기의 그늘'
美 · 日 유럽 경제 ㅏ직도 후유증 시달려··· 안전자산에 투자 몰려 지난 15일로 미국의 초대형 모기지론 대부업체 리먼브러더스가 파산한 지 2년을 맞았다. 리먼의 파산은 단순히 한 기업의 소멸로 그치지 않고 세계적인 금융위기라는 태풍을 몰고 왔다. 2년이 지난 지금도 전 세계는 이 태풍의 여파에서 완전히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특히 이른바 선진국들의 어려움이 크다. 위기의 진원지였던 미국은 경기 회복이 느려지면서 경기가 잠깐 회복됐다...
-
과학 기타
정신질환은 우리몸 어느 곳이 잘못돼 발생할까?
시냅스 단백질 · 뇌혈관장벽 연구로 분자 · 원자수준의 극미세 시스템 분석 병이 생긴다는 것은 신체의 기관이나 조직,세포의 특정 부분에 이상이 생겼다는 것이다. 따라서 그 근원을 찾다보면 분자나 원자 수준의 미세한 시스템에서 이상이 감지되게 마련이다. 세계 과학자들은 분자나 원자 수준의 극미세 시스템에서 병을 진단하고 치료하려는 연구를 활발히 진행하고 있다 . KAIST와 연세대 등을 통해 최근 연구 동향을 알아보자. ⊙시냅스 단백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