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글생글
-
경제 기타
"테샛캠프는 경제를 배우고 친구를 사귄 소중한 기회" 등
"테샛캠프는 경제를 배우고 친구를 사귄 소중한 기회" 제4회 테샛캠프를 다녀와서… 제4회 한경테샛 경제리더스 캠프가 지난 2~4일 2박3일간 서울 동국대 캠퍼스에서 열렸다. 전국 100여개 학교에서 참가한 119명의 미래 경제학도들은 3일 동안 저명한 대학 교수들이 전해주는 미시·거시경제학과 경영학, 경제사상사 강의를 들었다. 또 재미를 위해 마련된 경제골든벨과 레크리에이션은 강의로 무거워진 머리를 푸는 데 큰 역할을 했다. 지난 2박3일은...
-
커버스토리
소수 인종·성별·지역 우대…약자 보호 vs 역차별
특별한 권리를 일부 계층이나 조직, 개인에게 주는 것은 옳을까? 특권이 주어진다면 그 특권을 받지 않은 사람은 어떤 손해를 입을까? 특권은 특권에서 배제된 사람의 피해를 바탕으로 생기는 것은 아닐까? 특권을 부여하는 한 방편인 할당제는 이런 점에서 언제나 논란의 대상이 된다. 국내외에서 자주 보는 할당제엔 어떤 것이 있을까? #"어, 성적이 나보다 못한데…" 할당제의 형태는 매우 다양하다. 할당제를 실시하는 주체가 정부냐, 기업이냐, 학교냐...
-
경제 기타
연세대 등 11개大 수시1차 논술강좌 오픈
연세대 등 수시 1차를 치르는 11개 대학별 논술에 대한 전략특강을 1만원에 들을 수 있는 온라인 서비스가 12일 첫선을 보인다. 한국경제신문 계열사인 한경에듀의 수시전문 수시와 사이트(www.susiwa.com)가 그 곳이다. 이 서비스는 지난 5일 정식 오픈한 수시와 사이트에 새롭게 탑재된 것으로, 입시 준비생들이 수시 1차 대학별 논술 정보와 전략을 '원스톱 원클릭'으로 볼 수 있는 게 특징이다. 프로그램 내용은 11개 수시 1차 대학...
-
제2회 한경 토씨(TOEWC) 참가하세요!
9월7일 시행…28일까지 접수 www.toewc.or.kr 영어글쓰기 능력을 수준별로 인증해주는 제2회 한경토씨(TOEWC) 시험이 한 달 앞으로 다가오면서 중ㆍ고교생, 대학생은 물론 취업 준비생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지난 4월6일 첫 선을 보인 한경토씨는국내 최초의 영어글쓰기 인증시험으로, 기존 듣기 위주나 문법 위주의 영어시험과 다른 테스트다. TOEWC가 기존의 TOEIC, TOEFL, TEPS와 다른 점이다. 오는 9월7일 ...
-
학습 길잡이 기타
(14) 데카르트 "나는 생각한다. 그러므로 나는 존재한다" - 데카르트
서양 철학사는 흔히 고대와 중세, 그리고 근대와 현대로 나뉩니다. 물론 각 시대의 구분점은 상당히 가변적입니다. 고대와 중세의 경계, 근대와 현대의 경계는 흐릿해서 구분하는 사람마다 말이 다를 정도니까요. 그나마 고중세와 근대를 가르는 기준은 확실한 편입니다. 근대철학의 시작점은 누구인가? 이 질문에 대한 답은 비교적 광범위한 합의점을 갖고 있습니다. 철학자 앤터니 플루의 말을 들어볼까요? “철학의 역사를 시대별로 구분하는 일은 언제나 그리고...
-
커버스토리
정전 60주년…목숨으로 지킨 평화
“6·25전쟁은 비긴 전쟁이 아니라 한국의 승리였다.” 미국의 현직 대통령으로는 처음으로 지난달 27일 6·25전쟁 정전협정 기념식에 참석한 버락 오바마 대통령이 축사에서 강조한 말이다. 억압과 가난에 빠진 북한과 정반대로 5000만 국민들이 자유와 민주주의를 누리고 세계에서 손꼽히는 역동적인 경제국가로 발돋움한 사실만으로도 6·25전쟁은 한국의 승리고, 이는 참전용사들이 남긴 자랑스런 유산이라는 것이다. 박근혜 대통령도 기념식에서 “참전용사...
-
경제 기타
생글 커버스토리 책으로 나왔습니다!
생글생글을 아껴주시는 선생님, 그리고 학생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벌써 여름방학도 절반이 지나가고 있습니다. 방학에 계획하신 모든 일들 잘 마무리하시기 바랍니다. 이번 생글통신은 생글 커버스토리가 책으로 발간됐다는 소식을 전하고자 합니다. 그동안 일부 학부모님과 선생님, 학생들이 생글 커버스토리를 모은 책이 나왔으면 좋겠다는 의견을 주셨습니다. 이번에 '굿바이 논리야'(사진)라는 제목으로 커버스토리 묶음집을 펴낸 것도 이런 의견을 반영한 것입니...
-
경제 기타
"한국의 근사함 외국인에 알리려 책 썼어요"
“서구 언론이 한국을 다룰 때 위에서 내려다보는 시각을 취한다는 느낌을 종종 받아요. '왜 우리처럼 되려고 노력하지 않느냐'는 식이죠. 이 책을 쓰면서 이런 '우아한' 영미권 저널리스트가 되지 않기 위해 애썼습니다.” 영국 이코노미스트 서울특파원인 대니얼 튜더(사진)가 '중립적' 시각으로 한국을 기술한 책 《기적을 이룬 나라 기쁨을 잃은 나라》(문학동네)를 펴냈다. '한강의 기적' 등 경제 발전상과 '남남 갈등' 등 정치·사회 현상, 한국인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