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생글기자

    기업·소상공인 괴롭히는 블랙컨슈머에 강력 대응해야

    블랙컨슈머라는 말을 들어봤을 것이다. 블랙컨슈머는 악성을 뜻하는 ‘블랙(black)’과 소비자를 뜻하는 ‘컨슈머(consumer)’의 합성 신조어로, 기업을 상대로 악성 민원을 고의적으로 제기해 보상을 요구하는 사람을 뜻한다. 제품을 구매하고 문제가 발생했을 때 이의를 제기하는 건 당연하지만, 이를 악용하는 사람들 때문에 블랙컨슈머라는 신조어까지 생기게 되었다.대부분의 기업은 이미지 손상을 고려해 불만을 제기한 고객들의 요구를 받아들이고 보상해줄 수밖에 없다. 이러한 현상이 반복되면서 이를 악용한 블랙컨슈머가 생겨난 것이다. 음식에 고의적으로 이물질을 넣은 뒤 음식값 환불을 요구하거나, 제품에 이상이 있다고 환불을 요구하면 기업은 거절할 수 없는 난처한 처지다.최근에는 코로나19 팬데믹 사태로 배달 앱의 사용이 증가하면서 악의적으로 별점 테러를 하는 사람이 늘고 있다. 배달 플랫폼 쿠팡이츠를 통해 음식을 주문한 고객은 음식에 문제가 있다며 가게 주인에게 과도한 환불을 요청하고 악의적인 리뷰와 별점 1점을 남겼다. 한 가게 주인은 항의에 시달리다 뇌출혈로 쓰러져 결국 세상을 떠났다.블랙컨슈머 문제는 왜 최근 들어 더 증가하고 있을까. 그 이유는 SNS에서 찾을 수 있다. SNS는 자율성과 익명성이 보장되는 공간으로 자신이 무엇을 하든 알 수 없기 때문이다. 뉴스 기사에서 찾아볼 수 있는 악플과 같은 원리다. 비대면이기 때문에 자신이 느낀 감정보다 과장해서 말을 부풀린다.일부 영악한 소비자만큼 기업도 블랙컨슈머에 대처하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쿠팡이츠는 약관 개정을 통해 리뷰에 폭언과 욕설을 한 경우 신속히 차단하고 이용을 제한하겠다

  • 스도쿠 여행

    스도쿠 여행 (604)

  • 생글기자

    전 세계가 펄펄 끓었던 여름…과학자들도 놀랐다

    아니나 다를까. 올여름도 한반도는 들끓었다. 7월 중순 장마가 끝나기 무섭게 남동쪽에서 북태평양 고기압이 세력을 넓히며 우리나라를 뒤덮었고, 여기에 티베트 고기압까지 합세해 열돔과 비슷한 구조를 띠기도 했다. 역대급 폭염이 일어났던 2018년 여름 모습을 자아냈다. 이런 비정상적인 대기 구조 속에 올 7~8월에는 전국적으로 낮 최고 기온이 35도 안팎으로 올라가는 날이 많았다.전 세계 상황도 우리나라와 마찬가지로 심각하다. 미국 국립 해양대기청(NOAA)은 8월 13일 “2021년 7월의 지구 표면 기온이 142년 관측 사상 가장 높았다”고 발표했다. 이는 1880년 산업화 이후 최고치에 해당하는 기록이다.이처럼 올 7월의 전 세계 기온이 지난 142년간 그 어떤 해의 7월보다 높았다는 점은 우리 지구의 중대한 기후위기 신호이자 경고라고 해석된다. 특히 올 6월 하순부터 7월 상순 미국과 캐나다 등 북미 일대 지역에서는 최고 기온이 49.5도에 달하는 치명적인 더위가 2주간 지속됐는데, 이는 같은 시기 해당 지역의 평균 기온보다 20도 이상 높은 기록이다. 이 때문에 캐나다를 중심으로 800여 명의 온열질환 사망자가 발생했고, 설상가상으로 산불까지 번져 수천 명이 대피하는 등 피해가 이만저만 아니었다. 미국 서부에서도 최고 기온이 50도를 넘는 지역이 발생하며 수백여 명이 온열질환으로 사망했다.유럽 상황도 심각했다. 그리스 이탈리아 등 남부 유럽에도 폭염이 찾아와 8월 11일 시칠리아 지역 기온이 48.8도를 기록했다. 이는 유럽 관측 사상 역대 최고 기온에 해당하는 수치다.북미 지역은 저위도 지역에 형성된 저기압에 의한 상승기류가 해들리 순환에 의해 북미 지역 상공으로 하강했는데, 이때 상

  • 생글기자

    2022 개정 교육과정, 고교학점제 취지 살리는 교과편성 필요

    올 하반기로 예정된 교육부의 2022 개정 교육과정 총론 발표에 앞서 최근 한국기술교육학회, 전국기술교사모임, 한국기술교육단체 총연합회가 학생들의 공과대학 진학 및 기술교육 관련 진로 선택을 위한 학습권 보장과 교사의 전문성 향상을 위해 중고등학교 기술·가정 교과 분리와 함께 고등학교 공학 관련 선택과목 구체화에 대한 의견서를 발표하고 이를 교육부에 전달했다.고교학점제는 학생이 자신의 진로에 따라 다양한 과목을 선택해 이수하고 누적학점이 기준에 도달하면 졸업을 인정받는 제도다. 이는 정해진 시간표에 따라 동일한 과목을 공부하는 현 교육체계에서 탈피해 학생에게 자신의 흥미와 적성에 맞는 시간표를 구성할 선택권을 주기 위해 시행되는 것으로, 2020년 마이스터고에 우선 도입한 뒤 2022년에 특성화고와 일반고 등에 부분적으로 학점 제도를 도입하고 2025년에는 전체 고등학교에서 전면 시행된다.한국기술교육학회와 전국기술교사모임이 지난 7월 학생, 학부모, 교사, 전문가 집단을 대상으로 진행한 기술·가정 과목 분리에 대한 설문조사에서는 전문가 94.4%, 교사 95.4%, 학생 66.1%, 학부모 87.6%가 기술·가정의 교과 분리에 동의했다.또 학생 87.1%, 학부모 94.8%가 현재 고등학교 1학년의 일반선택과목인 기술·가정을 기술은 공학일반으로, 가정은 가정과학으로 편성하는 것에 찬성하며 고등학교 2, 3학년의 공학 계열 진학 및 진로 지원을 위해 기술 교과를 공학 중심으로 개편해 창의공학, 지식재산, 로보틱스 및 융합기술, 제조·건설·수송·전기전자 통신공학, 생명공학 등으로 다양하게 세분화된 공학 관련 진로선택 과목의 개설이 필요하다고 응

  • 경제·금융 상식 퀴즈

    9월 27일 (723)

    1. 향후 가격이 더 오를 것이라 보고 부랴부랴 구입하는 ‘공황구매’를 뜻하는 말은?①쇼트 셀링 ②패닉 바잉③뱅크 런 ④팬데믹2. 최근 ‘골목상권 침해’ 논란이 거세지자 택시 호출, 꽃배달 등 일부 서비스를 중단하기로 결정한 정보기술(IT) 기업은?①네이버 ②카카오③넥슨 ④쿠팡3. 구글이 ‘이것’ 사용을 강요한 혐의로 공정거래위원회에서 과징금 처분을 받았다. 스마트기기 운영체제(OS) 점유율 1위인 이것은?①빅테크②안드로이드③윈도④클라우드4. 주식, 채권 등 전통적 투자자산을 벗어나 부동산, 원자재, 자원 등 다양한 자산에 투자하는 것을 일컫는 말은?①대체투자②적립식투자③법정관리④워크아웃5. 법률상 별도의 면세규정을 두지 않는 한 상속·증여로 볼 수 있는 모든 거래에 대해 세금을 물린다는 원칙은?①완전포괄주의②현금주의③발생주의④실현주의6. 실질성장률에 물가상승률을 더하면 무엇이 될까?①잠재성장률②명목성장률③경상성장률④적정성장률7. ‘엔젤 투자자’는 다음 중 어떤 기업에 투자하는 사람을 가리키는 말일까?①다국적기업②지주회사③한계기업④스타트업8. 돈을 빌려간 쪽이 제대로 갚지 않아 연체가 발생한 ‘부실채권’을 가리키는 용어는?①NPL②P2P③ETF④ISD▶723회 정답 : 1② 2② 3② 4① 5① 6② 7④ 8①

  • 스도쿠 여행

    스도쿠 여행 (603)

  • 생글기자

    '역파도 현상' 이안류 만나면 어떻게 대처할까

    지난여름 부산 해운대 해수욕장에서 중학생 3명이 물놀이하다 이안류에 휩쓸리는 사고가 발생했다. 해수욕장 통제선 해상부표를 잡고 가까스로 백사장으로 헤엄쳐 나온 1명이 행인에게 도움을 요청해 119에 신고했다. 출동한 대원들은 수색을 진행했지만, 도중에 이안류가 발생해 어려움을 겪었다. 이틀간 수색 작업을 벌인 끝에 2명은 숨진 채 발견됐다. 당시 이안류 지수는 최고 단계인 4단계로 확인됐으나 사고가 난 것은 새벽 시간으로 출입을 통제할 안전요원이 없었다.이안류란 해안으로 밀려오던 파도가 갑자기 먼바다 쪽으로 되돌아가는 해류로, 역파도 현상이라고 한다. 이는 수시로 변하고 국지적으로 발생하기 때문에 이를 과학적 관측과 현대 해양과학 기술로 예측하기는 어렵다. 국립 해양조사원의 보도자료에 따르면 2013년부터 현재까지 이안류로 인한 구조자 수는 1001명에 달한다. 해마다 해수욕장 물놀이 안전사고의 주요인으로 꼽히는 이안류에 대처할 방법은 없을까.첫째, 물 흐름의 45도 방향으로 헤엄쳐 나온다. 이안류는 빠른 유속으로 해안선으로부터 40~50m까지 떠내려가게 해 한순간에 깊은 바다로 사람을 몰고 간다. 이로 인해 당황해서 거꾸로 치는 파도의 반대 방향으로 헤엄쳐 나오려고 하는데 이는 무척이나 위험한 방법이다. 이안류는 2~3분 정도 유지되므로 유속이 느려질 때를 기다린 후 물 흐름의 45도 방향으로 헤엄쳐 빠져나오거나 해류가 끝나는 시점에서 해안으로 헤엄쳐 나와야 한다.둘째, 근처에 튜브와 같이 뜰 수 있는 물건이 보인다면 붙잡고 구조될 때까지 기다린다. 구조를 기다릴 땐 몸을 최대한 웅크리고 주변 사람과 서로 팔짱을 껴서 체온을 유지한다. 혼자 구조를

  • 스도쿠 여행

    스도쿠 여행 (6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