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경제 기타

    전국 1200여개 고등학교 경제 부교재로 활용…10년만에 국내 최대 고교신문으로

    한국경제신문이 만드는 생글생글이 2월1일자로 500호를 발행했다. 창간(2005년 6월7일) 10년7개월 만이다. 생글생글은 중고생들에게 올바른 시장경제를 이해시키고 논술력을 키워주자는 취지로 창간됐다. 대한민국 미래를 이끌어갈 청소년들이 시장경제에 대해 균형 잡힌 시각을 갖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이런 토대 위에서 중고생들의 단단한 논리력을 키우는 것 또한 생글의 발행 목적이다. 한경은 이런 사명에서 많은 비용을 투자해 생...

  • 경제 기타

    생글생글 구독 세가지 방법…후원도 받습니다.

    생글생글은 지령 500호를 맞아 발행 취지에 공감하는 후원자를 모시고 있습니다. 청소년들에게 시장경제 원리를 널리 알린다는 취지로 창간된 생글생글은 전국 중고교 1300여개 학교와 도서관 100여곳 등 1400여곳에 총 15만부가 매주 무료로 배포되고 있습니다. 학교 선생님들이 더 많은 부수를 보내 달라고 요청하시지만 늘어나는 제작비와 배달비 부담으로 부수를 조절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경제 원리의 파수꾼 역할을 하고 있는 생글생글을 후원하시고...

  • 경제 기타

    생글 커버스토리는 대입논술 단골 주제…경제동아리·NIE활동 활용에도 유익

    생글생글은 논술과 면접 준비, 경제 동아리와 NIE(Newspaper In Education)활동 등에 폭넓게 활용할 수 있다. 선생님들은 대학 논술준비의 경우, 매주 발행되는 생글생글만 꾸준히 봐도 큰 성과를 거둘 수 있다고 입을 모은다. 생글이 다룬 논술 주제가 대입논술에서 출제되는 빈도수가 높다. 연세대의 2012년 사회문제로 제시된 ‘한 사회 내에서의 다수의 판단은 어떤 의미를 지니는가’는 역시 김선태의 &lsqu...

  • 경제 기타

    "부모는 한경, 아이들은 생글…신문 읽기는 학업성적 향상 비법"

    안녕하세요? 저는 장두원, 다연 남매의 엄마 송재연입니다. 먼저 생글 500호 발행을 진심으로 축하드립니다. 한국경제신문과 저희 가정의 인연은 수 십 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부모님은 한국경제신문을 꾸준히 보시던 열혈팬이었습니다. 그 속에서 저도 자연스럽게 한국경제신문을 접하게 되었지요. 제가 가정을 꾸린 뒤에도 한경과의 인연은 이어졌습니다. 종이신문의 인기가 사라져가고 있다지만 저는 종이신문을 여전히 사랑합니다. 매일 아침 우리집 우체...

  • 경제 기타

    "균형잡힌 신문읽기가 자녀 미래 밝혀주는 등대다"

    한국경제신문 경제교육연구소는 생글 500호 발행을 즈음해 학교현장에서 생글생글을 활용해 신문활용교육(NIE)을 오랜 기간 해온 선생님 2명과 NIE 전문가 1명을 최근 초청해 좌담회를 열었다. 참석자들은 대한민국 NIE 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과 신문을 활용한 학교 교육의 필요성 등에 대해 폭넓은 의견을 교환했다. “자유민주주의 시장경제 알림이 역할 충실” ▷‘생글생글’과의 인연이 남다르다고 들었습...

  • 경제 기타

    "생글 500호 화이팅" "생글은 내 사랑"…중·고등학교 선생님들의 축하 메시지

    중학교와 고등학교에서 생글생글을 구독하고 있는 선생님들이 ‘생글 500호 축하 메시지’를 보내 주셨다. “생글 500호 화이팅” “생글은 내 사랑” “생글 없인 못 살아 정말 못 살아” “축하한다고 전해다오” 등 다양한 메시지가 얼굴사진과 함께 도착했다. 일일이 축하 글을 보내주신 분들은 학교에서 생글 구독과 관리를 담당하고 있는 &ls...

  • 커버스토리

    37년 만에 잠 깬 '중동 강자' 이란

    중동의 대국 이란이 37년 만에 국제사회에 복귀했다. 이란에 대한 경제 제재가 풀렸다는 최근 소식은 해외뿐 아니라 국내에서도 큰 관심사였다. 국토 면적은 사우디아라비아에 이어 중동 2위, 원유 매장량 세계 4위다. 역사적으로는 명실상부한 시아파 종주국이다. 국내 수출기업에는 모처럼 큰 기회가 열렸다. 이번주 비타민의 커버스토리(4, 5면)는 이란 경제 제재 해제의 의미와 파장을 다뤘다. 원유 값이 이란의 증산 가능성 탓에 급락하는 등 그 영향...

  • 경제 기타

    "생글은 고교시절 멘토와 같은 신문"…"생글 읽기만으로도 사고력과 지력·문장력 향상"

    고교 때 생글기자를 지낸 대학생 6명과 현재 생글기자로 활동 중인 고교생 2명 등 8명이 한자리에 모였다. 최근 한국경제신문사 17층 영상회의실에 모인 대학생 생글기자들은 “매주 월요일 생글을 받아들고 열심히 커버스토리와 시사이슈의 주요 내용을 줄 치며 읽은 기억이 생생하다”고 말했다. 이들은 또 후배 기자들에게 “책 읽을 시간이 부족할지라도 생글은 꼭 챙겨 읽으라”고 권했다. 대화 속으로 들어가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