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경제 기타

    "10단 논법, 인재 vs 인재…CEO와의 만남 가장 인상 깊었죠"

    지난 5월19일, 연세대 신촌캠퍼스 백양누리 그랜드볼룸에서 열린 한국경제 고교 리더스 캠프는 다음 세대의 대한민국을 이끌어갈 고등학생에게 필요한 지식을 전달하는 자리였다. 첫 강연은 경제학의 의미를 설명하며 시작됐다. ‘맨큐의 경제 학에 따르면, 경제학은 인간의 합리적 선택을 연구하는 학문이다’라는 내용으로 시작해 우리가 현재 겪고 있는 경제학 속 선택과 기회비용의 원리, 그리고 시장 실패까지 미시경제의 전반적 내용을 사...

  • 커버스토리

    '경제학계 "소득주도 성장론은 실증 안된 '이단' 경제학" 평가

    문재인 정부의 주요 경제정책 기조인 ‘소득주도 성장’은 학계에서도 적잖은 비판을 받고 있다. 소득주도 성장론은 가계소득이 늘어나면 소비가 증가하면서 경제가 성장하는 선순환이 일어날 것이란 가정에 기초하고 있다. 하지만 아직은 ‘가설’ 수준이란 게 주류 경제학자들의 비판이다. 소득주도 성장론에 기반한 정책 실험은 한국에서 처음 시도되고 있다. 분배 중시한 좌파 케인스 학파가 주장 소득주도 성장론의 근...

  • 경제 기타

    "경제·경영에 자신 없던 내게 '큰 격려' 됐어요"

    한경 고교 리더스 캠프에 참여한 것은 같은 경제경영 동아리 부원의 권유 덕분이었다. 경영 관련 동아리에 들어와 있지만 진로를 이쪽으로 해야 할지 말아야 할지 갈팡질팡하던 상태였고, 확신도 없었다. 관련 지식도 캠프에 온 친구들보다 부족했다. 캠프에 참가하기 직전까지 따라가지 못할까 걱정하면서도 백지에 그림을 그려 넣을 수 있는 기회여서 한편으로 기대했다. 경제학 고찰과 미시경제학의 기본적인 원리 7가지를 강의해주신 김홍균 교수님, 지구온난화와...

  • 경제 기타

    '2019 대입' 논술은 생글 논술대회로 미리 준비하자!!

    한국경제신문 생글생글이 주관하는 25회 생글논술경시대회가 오는 7월14일(토) 열린다. 생글논술대회는 2007년부터 11년 동안 이어져 오면서 국내 최대 논술대회로 자리매김했다. 누적 응시자는 10만 명에 달한다. 11년 역사를 자랑하는 생글논술대회는 그동안의 노하우를 토대로 대입 논술수시전형에 맞춘 문제를 출제해 평가, 분석할 예정이다. 이번 대회에는 고교 1~3학년은 물론 재수생까지 참가할 수 있다. 매년 5월 열던 생글논술대회를 7월로 ...

  • 경제 기타

    도전!!! 생글생글 학생기자 100명 뽑습니다

    생글생글 독자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한국경제신문이 발행하는 국내 최고 중·고교 경제·논술 신문 생글생글(생각하기와 글쓰기)이 제14기 고교 생글기자와 제7기 중학생 생글기자를 선발합니다. 선발 인원은 100명으로 고교생 80명, 중학생 20명입니다. 생글기자는 중·고교생만이 참여할 수 있는 언론 활동입니다. 생글기자들은 학생기자로서 학교 소식과 지역 소식뿐만 아니라 국내외 경제 문제 등에 대한 글을 써 ...

  • 과학 기타

    세포막

    세포 안과 밖의 경계로 세포를 둘러싸는 얇은 막을 ‘세포막(cell membrane)’이라고 한다. 세포막은 외부와의 물질 교환 등 주위 환경과 상호 작용을 하고 있으며 외부의 신호를 감지하는 등 세포의 기능 유지에 필수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내부와 외부를 연결한다 유동 모자이크 모델에 의하면 “세포막의 주성분인 인지질은 친수성(親水性)인 머리와 소수성(疏水性)인 꼬리 부분을 동시에 갖고 있다. 머리 부분은...

  • 경제 기타

    한경 고교 경제캠프는 여름방학에도 열려요~

    경제학과를 희망해서 평소 한경 생글생글을 보면서 경제 NIE를 하고 있다. 마침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경제캠프를 연다고 해서 즉시 신청했다. 그리고 떨리는 마음으로 갔는데, 나는 개인으로 왔지만 단체로 온 친구가 정말 많았다. 평소 주변에 경제에 관심 있는 친구가 많이 없었는데 와보니 또래 친구들의 열기를 느낄 수 있어서 좋았다. 가장 기억에 남는 강의는 미시경제학이다. 사람들의 상호작용에 관한 원리를 학교에서 배울 때는 단기곡선밖에 배우지 않...

  • 시사 이슈 찬반토론

    지나친 낙관론으로 북한 문제 접근하는 것은 경계해야죠

    [사설] 南·北·美 관계도, 경제현실도 '보고 싶은 것'만 봐선 안 된다 한때 성사 가능성이 불투명해졌던 미국과 북한 정상회담이 다시 개최 모드로 바뀌었다. 문재인 대통령이 4·27 남북한 정상회담 이후 두 번째로 그제 김정은과 만났고, 이에 대해 미국도 긍정적인 평가를 내놓으며 회담 준비 사실을 확인했다. 앞서 미국은 미·북 회담의 취소 메시지를 내놨으나, 회담을 원한다는 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