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제 기타
논리력 키워주고 알찬 대입 정보도 가득… 생글생글, 가족이 함께 읽어보세요
한국경제신문이 만드는 생글생글(생각하기와 글쓰기)은 중·고교생들에게 논리력을 키워주고 경제원리를 바르게 이해시키는 ‘알찬 선생님’입니다. 생글생글에 게재되는 다양한 주제의 커버스토리, 문학과 철학, 국제뉴스, 상세한 대입 가이드 등은 사고와 논리를 키워줄 뿐더러 대입에도 매우 유용한 가이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생글생글은 부모님이 읽으셔도 유익한 내용이 많습니다. 생글생글은 전국 1300여 개 고등학교와 1...
-
경제 기타
'날아다니는 응급실' 닥터헬기… 외상환자 생존율 높여요
지난해 9월6일 아침 수십 차례 설사한 뒤 강원 평창의료원 응급실로 실려온 74세 최모씨가 어지럼증을 호소하며 갑자기 쓰러졌다. 저혈당 쇼크였다. 혈압이 급격히 떨어졌다. 의료진이 혈압을 높이는 승압제를 투여했지만 쉽게 잡히지 않았다. 위중한 상태로 판단한 의료진은 오전 11시34분 원주세브란스병원 운항통제실로 닥터헬기 출동을 요청했다. 닥터헬기팀은 54㎞ 떨어진 평창공설운동장까지 21분 만에 도착했다. 최씨는 닥터헬기를 요청한 지 52분 만에...
-
커버스토리
원전은 안정적이고 발전단가가 가장 싼 에너지죠
아랍에미리트(UAE) 사우디아라비아 등 중동 국가들이 잇따라 원전 건설에 나서는 것은 원전이 석유 고갈에 대비할 수 있는 가장 경제적인 대안이란 믿음에서다. 사우디는 세계에서 석유 매장량(2670억 배럴·전체 석유 매장량의 15.7%)이 베네수엘라(17.5%) 다음으로 많은 나라다. 그동안 전력 생산을 석유와 천연가스 등 화석연료에 거의 100% 의존해 왔다. 최근 들어 중동 국가 사이에선 ‘석유 의존증’에서...
-
커버스토리
신재생에너지는 안전하긴 하지만 비싸고 공급이 불안해요
정부는 지난해 12월 ‘재생에너지 3020’ 정책을 발표했다. 현재 7%(자가용 발전 포함)인 재생에너지 발전량 비중을 2030년 20%로 늘리겠다는 게 골자다. 재생에너지는 태양광 풍력 조력 지열 등 고갈되지 않고 지속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에너지를 말한다. 폐기물을 재활용하는 것도 재생에너지로 분류한다. 신에너지는 연료전지 수소에너지 등을 의미한다. 재생에너지와 신에너지를 합해 신재생에너지라 부른다. 신재생에너지는 오염...
-
숫자로 읽는 세상
美 금리인상 움직임에 신흥국에서 자금 속속 빠져나가
아르헨티나, 브라질, 터키 등 신흥국 금융시장이 요동치고 있다. 경상수지 및 재정수지 적자 문제가 심각한 가운데 미국 금리 상승에 따른 외국인 투자자금 유출이 본격화하면서 위기가 심화하고 있다. 아르헨티나 페소, 브라질 헤알, 터키 리라, 러시아 루블화 가치는 올 들어 미국 달러 대비 10% 이상 하락했다. 국채 부도 위험을 나타내는 신용부도스와프(CDS) 프리미엄도 급등하는 등 이들 국가의 신용도에 대한 불신이 커지고 있다. 미국 중앙은행(F...
-
시사 이슈 찬반토론
정부 보조금에 의존하면 '농업의 과학화' 어려워요
[사설] '농업'아닌 '농사'에 안주케 하는 보조금, 전면 재검토해야 농림축산식품부가 쌀값이 일정 수준에 미치지 못하면 재정으로 보전해주는 쌀 변동직불금제도의 개선안을 마련했다. 쌀 변동직불금제도가 쌀 과잉 생산을 부추겨 재정 부담을 가중시키고 있다는 판단에서다. 제도 개선안은 변동직불금제를 폐지하는 대신 고정직불금제 단가(현재 농지 ㏊당 평균 100만원)를 인상하는 방안과 변동직불금제도를 유지하되 농가에 생산조...
-
과학 기타
지구시스템
통합 과학에서는 “일정한 질서에 따라 끊임없이 변화하면서도 각 구성 요소들이 일정한 규 칙에 따라 상호 작용하면서 균형을 유지하는 집합”을 시스템이라 한다. 지구는 지권, 수권, 기권, 생물권, 외기권 등 다섯 가지의 구성 요소가 지속적으로 상호 작용하면서 균형을 유지 하고 있기에 지구 시스템이라 할 수 있다. 지구상에서 발생하는 여러 자연 현상들은 지구 시 스템 구성 요소 간의 상호 작용뿐만 아니라 외기권(Exospher...
-
경제 기타
정화의 해외원정
대항해 시대 바닷길을 통한 해외 개척은 흔히 유럽의 전유물로 알려져 있다. 유럽의 서 쪽 끝자락에 있어 비단길은커녕 지중해 무역에서 소외돼 있었던 스페인과 포르투갈 이 새로운 바닷길 개척에 나섰기 때문이다. 바르톨로메우 디아스의 아프리카 희망봉 발견, 바스쿠 다가마의 인도 항로 발견, 마젤란의 세계 일주가 그것이다. 일곱 차례 대원정 떠난 정화 하지만 이는 완전한 사실은 아니다. 동양에서도 바다를 통한 해외 원정에 나선 전력이 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