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경제 기타

    찰스 디킨스와 영국 산업혁명

    찰스 디킨스는 영국 빅토리아 시대를 대표하는 언론인이자 소설가다. 구두쇠 스크루지 영감 이 개과천선하는, 매년 크리스마스를 장식하는 소설 『크리스마스 캐럴』이 그의 대표작이 다. 『올리버 트위스트』나 『두 도시 이야기』 등 그의 작품들은 많은 세계인의 사랑을 받았 고 연극이나 뮤지컬, 영화로도 만들어졌다. 디킨스를 가리켜 유럽 소설의 전성기를 상징하 는 작가라는 평이 나오는 이유다 디킨스 눈에 비친 환경 디킨스가 살았던 19세기는 영국의 전...

  • 과학 기타

    규산염 광물과 탄소화합물

    지난 시간에는 규산염 광물은 Si-O 사면체를 기본구조로 1줄로 길게 이어진 단일사슬 구조, 2줄로 이어진 2중 사슬 구조, 평면으로 넓게 이어진 판상구조 등 네 가지 구조에 대해 언급했다. 지구상의 생명체는 모두 탄소 화합물을 갖고 있기에 우주에서 탄소 화합물의 흔적 발견은 생명체의 존재 확 률이 높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재미있는 사실은 식물은 광합성 작용으로 물(H2O)과 이산화 탄소(CO2)를 사용하여 포도당(C6H12O6)과 같은...

  • 윤명철의 한국 한국인 이야기

    (37) 흄의 철학(상): 회의론

    영화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의 마지막 장면에 “After all, tomorrow is another day”라는 유명한 대사가 나온다. 이 대사는 우리말로 “그래, 내일은 내일의 태양이 뜰 거야”라고 의역되면서 맛깔스럽게 표현했 다는 평가를 받는다. 물론 이 대사의 의미는 현실이 비록 고단하더라도 긍정과 희망을 의미하는 ‘내일’ 을 기약하자라는 뜻이겠지만, 여기서...

  • 교양 기타

    손창섭의 《잉여인간》

    손창섭이 쓴 1958년 작품 ‘잉여.’ 인터넷상 유행어다. 요즘은 오덕, 덕후, 덕질 등의 유행어에 밀려 한물간 느낌이지만 여전히 널리 쓰이며 캐잉여, 잉여롭다, 잉여력, 잉여짓 같은 단어까지 파생해 내었다. 잉여의 사전적 의미는 ‘쓰고 난 후 남은 것’, 즉 나머지다. 영화 ‘말죽거리 잔혹사’에서 현수의 아버지는 “너 대학 못 가면 뭔지 알아? 잉여인간이야, 잉여인간...

  • 디지털 이코노미

    디지털 발달로 상품과 서비스를 공유해 쓸 가능성 커요

    산업혁명 이전 경제적 교환의 대다 수는 개인 간 거래였다. 알프레드 챈들러의 저서 《보이는 손》에 묘사 된 바와 같이 18세기 후반 경제를 지배하는 주체는 일반 상인이었으 며, 수공업자와 장인들의 작은 점 포에서 소량의 제품을 만들어 파는 것이 전부였다. 이후 산업혁명은 인 류의 경제활동 방식을 획기적으로 바꿔놨다. 대량 생산과 대량 분배를 가능하게 했고 이는 오늘날과 같은 대기업 출현의 기반이 됐다. 흥미로 운 점은 산업혁명이 시작된 지 20...

  • 경제 기타

    한경 고교 경제캠프, 연세대에서 열린다

    제27회 한경 고교 경제 리더스 캠프가 5월19일(토) 서울 연세대 백양누리 국제회의실에서 열린다. 한국경제신문이 마련한 ‘고교 경제 리더스 캠프’는 상경계 대학 진학을 꿈꾸는 고교생에게 경제학과 경영학이 무엇인지, 기업가는 누구인지, 경제학과 경영학의 차이가 무엇인지, 자기 적성과 잘 맞는지를 배우고 가늠해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유명 대학교수가 강사로 나선다. 또 명문 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 선배들이 멘토로 참가해...

  • 경제 기타

    재활용 쓰레기 대란… 왜 일어났나

    수도권 아파트 단지에서 ‘쓰레기 대란’이 벌어지고 있다. 서울과 경기·인천 지역의 재활용 업체들이 4월1일부터 폐비닐과 폐플라스틱을 수거하지 않으면서다. 환경부가 재활용 업체들과 협의해 수거 활동을 재개하기로 했지만 아직도 현장은 혼란스럽다. 전문가들은 “재활용 업계가 겪고 있는 수익성 악화를 근본적으로 해결해주지 않으면 쓰레기 대란은 이어질 것”이라고 입을 모은다. 최대 폐기물 수입국 ...

  • 커버스토리

    초강력 국제공조가 북한 김정은 움직였다

    북한의 비핵화가 중대한 분수령을 맞고 있다. 북핵 폐기 문제를 논의하기 위한 남북한 정상회담이 오는 27일, 북·미 정상회담이 다음달 각각 열리기 때문이다. 앞서 북한 김정은은 지난달 26일 돌연 중국을 방문해 시진핑 국가주석과 정상회담을 갖기도 했다. 한·미·일·중이 중심이 돼 북한의 핵·장거리 미사일 무장을 포기하도록 압박하는 국제사회의 유례없이 강력한 대북 제재가 김정은을 협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