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제 기타
(22) 침채·딤채가 김치가 되기까지
'세계화'가 조선의 배추김치를 버무렸다. 고려 땐 무·가지·오이·부추가 주재료 1850년께 中서 배추 종자 유입 '토착화' 우리나라에서는 언제부터 김치를 먹었을까. 고대부터 채소를 발효시킨 음식이 존재했을 테지만 오늘날과 같은 형태로 김치가 정착한 시기는 조선시대였을 것으로 보인다. 우리 문헌에서 김치를 가리키는 용어로는 해(酉+右+皿),저(菹),지(漬),침채(沈菜) 등이 있다. 아마도 침채(沈菜)의 옛날 발음인 '딤채'가 '김치'가...
-
경제 기타
아파트내 간접 흡연 규제해야 할까요
찬 " 내 집에서의 자유라도 타인에게 피해줘선 안돼" 반 " 담배팔아 세금 4조 거두면서 흡연자만 나쁘다?" 금연이 확산되면서 아파트 내 흡연을 둘러싸고 요즘 이웃 간에 다툼이 종종 발생하고 있다. 아파트 구조의 특성상 베란다에 나가서 담배를 피워도 이웃집에 담배 연기가 퍼질 수 있는 데다 심지어 자기 집에서 담배를 피워도 때로는 윗층에 거주하는 사람들에게 담배 연기 냄새로 피해를 주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간접흡연...
-
경제 기타
디지털 미디어 시대,행복소통의 조건
최근 지하철에서 어르신에게 손자뻘 되는 청년이 막말을 하여 인터넷을 뜨겁게 달구고, 사회적 이슈로 등장한 사례가 있었다. 비단 이뿐만이 아니다. 소위 소셜미디어로 대표되는 디지털 커뮤니케이션 시대에 트위터나 메신저, 페이스 북 등의 소통매체를 통한 특정 이슈 관련 상호간에 활발한 의견 교환과 생각의 표현은 그것이 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 여론 형성과 여론에 미치는 영향은 가히 위력적이라고 할 수 있다. 좋은 의미에서 각자의 자유로운 생각과 감...
-
경제 기타
무상급식, 박지원의 이용후생 관점에서 바라보면...
조선시대 실학자 박지원이 주장한 이용후생을 이용과 후생으로 나누어서 보면 이용이란 경제 성장을 통한 부의 축적, 후생은 축적된 부를 고르게 분배하는 것을 의미한다. 국어사전에서 이용후생을 찾아보면 '기구를 편리하게 쓰고 먹을 것과 입을 것을 넉넉하게 하여, 국민의 생활을 나아지게 함.'이라고 소개되어 있다. 박지원이 말하는 이용후생은 경제가 성장이 된 후에 분배가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과연 서울시의 무상급식 정책을 박지원의 ...
-
경제 기타
'관광도시' 부산, 이미지 개선이 관건이다!
해운대의 여름은 늘 피서객들로 북적인다. 물론 여름이 아닌 계절에도 많은 관광객들로 붐비지만 여름이면 그 명성에 걸맞게 해운대 해수욕장은 발 디딜 틈 없이 사람들로 빼곡히 채워져 있다. 부산은 해운대뿐만 아니라 자갈치 시장, 태종대, 동래 산성 등의 관광명소가 있다. 외국인의 방문도 점차 늘어나 길을 가다 보면 서양인은 물론 일본인, 중국인 심지어 아랍인까지도 심심찮게 볼 수 있다. 이는 'Dynamic 부산'이라는 부산시의 관광사업 실시...
-
경제 기타
물가지수는 경제안정을 진단하는 '체온계'
▶ 소비자물가와 근원물가 ☞ 우리들은 생활에 필요한 재화와 서비스의 대부분을 시장에서 구입해서 쓰게 된다. 그런데 시장에서 거래되는 상품은 매우 다양해 같은 시간에도 어떤 것은 가격이 오르고 어떤 것은 내리는 게 보통이다. 그러다 보니 전반적인 상품가격의 변화를 알아보려면 이들 개별 상품의 가격 변화를 어떤 식으로든 종합해야 하는데 이런 필요에 의해 만들어진 개념이 '물가'와 '물가지수'다. 물가란 시장에서 거래되는 모든 상품의 가격을 ...
-
경제 기타
고교생도 사회적 기업의 일원이 될 수 있다
등하굣길 유독 천천히 달리는 80세가 넘으신 마을버스 기사 분이 계셨다. 바쁠때는 짜증이 나기도한다. 출발시간이 지났음에도 멀리서 달려오는 또 다른 사람을 위해 기다리기 때문이다. 그때 버스 라디오에서 사회적 기업에 관한 광고가 나왔다. 젊은이에게 일자리를 제공하고 이익금을 활용해 소외된 계층에게 혜택을 준다는 내용이었다. 내가 사회적 기업을 이해 하게 되었던 것은 봉사 활동에서였다. [ 뉴스폴 187 ] 빈병이니,캔,고철,휴지,비닐...
-
커버스토리
'학벌 지상주의' 무너지나
산업은행이 하반기 신입사원 채용 정원 중 3분의 1을 고교졸업자로 뽑기로 했다. 산은이 고졸자를 행원으로 채용하기는 1997년 이후 15년만에 처음이라고 한다. 고졸자 채용안이 발표되자 큰 반향이 일었다. 한결같이 “잘했다”는 것이다. 산은이 칭찬받은 이유는 뭘까.바로 우리 사회의 불편한 진실인 학벌 지상주의를 일부나마 깼기 때문이다. 학벌 지상주의는 대졸,고졸 등 오로지 학력에 따라 경제적,사회적,인격적 대우와 평가를 차별하는 집단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