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커버스토리

    "감세로 일자리 창출" vs "증세로 고령화 대비"

    세금의 경제학 임진년 새해를 불과 10분 앞둔 지난해 12월31일 밤 이른바 '한국형 버핏세'(고소득자 증세안) 법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다. 연간 소득 3억원을 초과하는 고소득자들에게 세금을 더 걷겠다는 법이 새로 만들어진 것이다. 이번 한국형 버핏세의 신설로 이명박 정부의 세금정책은 감세에서 증세로 전환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이명박 정부는 출범 초기만 하더라도 세금을 줄여서 경기를 활성화하고 일자리를 창출하겠다는 기치를 내걸었다. 하지만...

  • 커버스토리

    세금의 역사는 혁명의 역사… 지나치면 화 부른다

    세금을 뜻하는 한자의 어원을 살펴보면 세금의 의미와 탄생이 쉽게 이해간다. 세금(稅金)의 세(稅)는 벼 화(禾)와 바꿀 태(兌)가 합쳐져 만들어졌다. 여기서 태(兌)는 '빼내다'의 뜻도 지닌다. 문자 뜻 그대로 사람들이 수확한 곡식 중에서 자유롭게 쓸 수 있는 몫을 떼고 나머지를 관청에 바치는 것이 세금인 셈이다. 세금은 유목생활이 어느 곳에 정착해서 농사를 짓는, 보다 발전된 농경사회로 진입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주요 생산물인 벼를 비롯한 곡...

  • 경제 기타

    '목소리' 커진 노동자들… 중국, 저임금 국가 맞아?

    중국 난징(南京)에 있는 LG디스플레이 공장에서 지난달 26일부터 3일간 파업이 발생했다. 중국 근로자들이 연말 상여금이 줄어든다는 소식에 조업을 중단한 것. 중국 언론들은 이 공장 1만3000명의 근로자 중 8000명이 파업에 동참했다고 보도했다. 결국 LG디스플레이는 계획에 없던 200% 보너스를 주기로 한 뒤에야 공장을 다시 가동할 수 있었다. # 올해 최저임금 23% 인상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는 “LG디스플레이 파업 사태는 중국...

  • 경제 기타

    (48) 한국 최초의 경제학자 정약용

    흔히 경제학은 서양에서만 전개되어 발달되어 온 학문으로 알고 있다. 하지만 정약용이 있기에 그러한 견해는 틀렸다라고 주저없이 말할 수 있다. 다산 정약용은 애덤 스미스와 비슷한 시기에 비슷한 경제학적 관점을 가지고 국가와 인간의 경제활동을 바라보았다. 사실 다산 정약용이 살아온 시대적 환경이 애덤 스미스의 시대적 환경보다 시장 경제 메커니즘이 더 명확히 들어나지 못한 환경이었다는 점을 고려한다면 다산이 보여준 통찰력에 더욱 높은 점수를 주어야 ...

  • 경제 기타

    캐논 vs 니콘

    찰나의 기억 80년 싸움… 야외촬영 갈때 당신 어깨엔? 기자회견장을 가보면 으레 누군가에게 플래시 세례가 쏟아진다. 대다수 사람들은 플래시 빛을 뒤집어 쓰고 있는 앞쪽의 주인공을 보게 마련이다. 하지만 잠깐만 뒤로 시선을 돌려보면 검은색으로 칠해진, 척 봐도 묵직한 카메라의 머리 부분에 거의 예외없이 쓰여진 철자를 발견하게 된다. 'Nikon' 혹은 'Canon'이다. 글로벌 시장조사기관인 IDC가 발표한 지난해 디지털 카메라 시장 점유율 ...

  • 경제 기타

    2G 서비스 폐지 당연한가요

    찬 "다수 사용자들의 공익 증진위해 필요" 반 "한 명의 소비자라도 소중하게 여겨야" 우여곡절을 겪었던 KT의 2G(2세대) 이동통신 서비스가 결국 없어지게 됐다. 서울고법이 지난해 12월26일 KT 가입자 900여명이 2G 서비스 폐지를 승인한 방송통신위원회의 결정에 대해 제기한 집행정지 신청 항고심에서 집행정지를 받아들였던 1심을 깨고 신청을 기각했기 때문이다. 재판부는 “2G 서비스를 계속 제공받지 못해 생기는 손해는 손해배상 청구...

  • 경제 기타

    어른들이 참여해야 'SNS 왜곡' 막는다

    어른들이 참여해야 'SNS 왜곡' 막는다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의 순기능과 역기능에 대한 논란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 우주에도 빛과 어둠이 있는데 인류가 만든 제도에 밝음과 어둠이 없을 수 없다는 점에서 논란은 더욱 뜨겁게 달아오르게 마련이다. 존 F 케네디 전 미국 대통령은 인간이 문제를 만들었다면 해결책도 인간이 가지고 있다고 했다. 결국 밝음은 계속 이어가고 어둠은 줄일 수 있다는 얘기가 성립되지 않을까. SNS가 가진 순기능은 ...

  • 경제 기타

    증시 '작전'과 긴급조치권 & 지급 준비율

    증시 긴급조치권은 불공정 거래를 막는 수단 증시 '작전'과 긴급조치권 금융당국이 이상 급등세를 보이고 있는 선거 및 북한 관련 테마주를 집중 단속하기 위해 '긴급조치권'을 발동하고 특별조사반을 운영한다. 금융위원회는 이 같은 내용의 '테마주 및 악성 루머에 대한 금융당국 대응 방안'을 마련, 9일부터 시행하기로 했다. 금융위는 우선 테마주 및 악성 루머 유포자를 신속하게 제재하기 위해 증권선물위원장이 긴급조치권을 발동하도록 했다. -1월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