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경제 기타

    교과부, 입학사정관제 선도대학 선정 등

    ⊙ 교과부, 입학사정관제 선도대학 선정 교육과학기술부와 한국대학교육협의회는 18일 서울대 등 15곳을 '입학사정관제 선도대학'으로 선정했다. 선정된 대학은 소규모 특성화 대학 5곳(가톨릭대, 울산과기대, 카이스트, 포스텍, 한동대)과 대규모 종합대학 10곳(건국대, 고려대, 동국대, 서울대, 성균관대, 숙명여대, 연세대, 이화여대, 중앙대, 한국외대) 등이다. 이들 대학은 입학사정관제를 도입하려는 의지가 크고 도입 여건이 우수한 대학들로 ...

  • 경제 기타

    광고주 불매운동이 소비자의 정당한 권리라고?

    광고 선택권 압박하는 '언소주'의 反시장적 기업 공격 논란 회사원 나불매씨는 A신문의 논조가 영 마음에 안 든다. 자신은 현 정권을 지지하지 않는데,A신문은 현 정권을 비판하는 촛불시위에 대해 부정적인 기사를 주로 낸다. 평소 존경해온 고(故) 노무현 전 대통령에 대해서도 A신문은 줄곧 비판적인 기사를 게재해왔다. 나씨는 이에 따라 A신문에 대한 불매운동을 벌이기로 마음먹었다. 그러나 독자들이 구독하는 신문을 쉽게 바꾸지 않아 불매운동...

  • 커버스토리

    현실과 동떨어진 비정규직법 대량해고 위기 '부메랑'

    기업들 “정규직 의무전환 앞두고 고민 또 고민” '비정규직'문제는 2000년대 들어 노동계의 '뜨거운 감자'로 떠올랐다. 2006년 '비정규직 보호법'을 마련하는 등 정부와 정치권이 해결책 찾기에 나섰지만 오히려 문제를 더 키우는 꼴이 됐다. 당초 비정규직법은 비정규직을 보호하고 정규직으로의 전환을 유도하다는 취지로 마련됐다. 하지만 법 제정 이후 비정규직 대량 해고(계약해지) 가능성이 더 높아졌다는 논란이 제기되고 있다. 법을 만든다...

  • 커버스토리

    고용 유연성 바탕위에 일자리 안정 이끌어내야

    기업들 “경기 악화 된 상황서 기업생존도 큰 문제” 정규직·비정규직간 고용조건 불평등이 원인 사람이 살아가기 위해서는 일자리가 안정되어야 하는 것은 두말할 나위가 없다. 한 직장에 속하기를 싫어하고 일감이 있는 대로 자신의 능력껏 일해 생활하려는 자유로운 상태를 좋아하는 사람도 물론 없지는 않다. 그러나 대부분의 사람들은 안정된 일자리와 안정된 수입을 원한다. 가정을 꾸린 사람은 물론이고 자기실현을 위해서도 반드시 필요하다. 근로자를...

  • 경제 기타

    하이브리드카냐, 전기자동차냐… 친환경車 대격돌

    탄소 배출 '0' 전기자동차 내달 日서 첫선 잘 나가던 하이브리드카 바짝 긴장 #. 미쓰이물산에 다니는 회사원 고니시 야스오씨(38)는 요즘 어떤 새차를 살까 고민 중이다. 2000년식 도요타 카롤라를 몰고 있는 그는 원래 도요타의 하이브리드카 '프리우스'를 구입할 생각이었다. 최근 하이브리드카 가격도 많이 내려 거의 결심을 굳혀가고 있었다. 그런데 한가지 변수가 생겼다. 미쓰비시자동차가 내달 말부터 '아이미브(i-MiEV)'라는 전...

  • 경제 기타

    '폴리페서' 휴직 허용해야 하나요?

    찬 “교수도 전문성 살려 공직 진출할 수 있게 기회줘야” 반 “교육보다 정치에 한눈 팔아 학생들의 수업권 침해” 서울대가 교수들의 정계 진출을 제한적으로 허용하는 휴직규정 초안을 내놨다가 하루 만에 재검토하기로 결정해 구설수에 올랐다. 현실 정치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교수, 이른바 '폴리페서'(정치참여 교수)를 위한 문을 오히려 넓혔다는 비난이 잇따르자 서울대가 관련 논의를 보류하겠다고 전격 선언한 것이다. 서울대는 작년 18대 총선에서...

  • 경제 기타

    (17) 외부 효과 - 시장 바깥의 현상때문에 가격은 고장난 신호등이 된다?

    '외부(外部)'의 국어적 의미는 '조직이나 단체의 밖'이다. 경제에서 '조직이나 단체'를 시장이라고 본다면,경제학에서 외부란 시장 바깥에서 일어나는 현상이라고 볼 수 있다. 경제학도 시장 바깥의 일에 관심을 가질까? 결론부터 이야기하면 사실이다. 경제 행위의 기본은 자발적 거래에서 시작하고,거래는 시장을 통해 이루어진다. 소비자의 편익이 반영된 수요,생산자의 비용이 반영된 공급은 시장속 가격이라는 신호 체계에 따라 최적인 상태를 유지한...

  • 경제 기타

    방과 후 학교가 성과를 거두려면…

    정부가 사회적 문제로 대두된 사교육을 줄이기 위해 학교의 방과 후 교육을 활성화하는 방안을 강구하고 있다고 한다. 학교 내 교육 수준을 높임으로써 학생들이 학원 수강이나 과외 교습을 통해 공부를 하지 않아도 실력을 보강할 수 있게 해 학생들과 학부모들의 부담을 줄여주겠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외부 강사를 초청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정부는 이러한 내용을 핵심으로 하는 사교육 경감 방안을 놓고 국민들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