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교양 기타
진짜 국화가 가짜 연명을 마주하다니! [고두현의 아침 시편]
대국유감(對菊有感) 1인정이 어찌하여 무정한 물건 같은지요즘엔 닥치는 일마다 불평이 늘어간다.우연히 동쪽 울 바라보니 부끄럽기만 하네.진짜 국화가 가짜 연명을 마주하고 있다니.* 이색(李穡, 1328~1396): 고려 말 문신. 국화는 여러 꽃과 함께 피는 봄이 아니라 가을 서리를 맞으면서 홀로 피는 꽃입니다. 그래서 국화를 ‘오상고절(傲霜孤節, 서릿발 날리는 혹한에도 굴하지 않고 외로이 지키는 절개)’이라고 하지요. 일찍부터 매화·난초·대나무와 함께 사군자로 꼽은 이유도 여기에 있습니다.동쪽 울 밑에서 국화를 따다가…중국에서 유독 국화를 좋아한 사람은 도연명(陶淵明)이었죠. 북송의 주돈이(周敦)도 ‘애련설(愛蓮說)’에서 “국화는 꽃 중의 은일자(菊花之隱逸者也)”라며 “진나라 도연명이 국화를 사랑했는데 이후 그런 사람이 드물다”고 할 정도였고요.도연명은 한때 관직을 맡기도 했지만 “내 어찌 다섯 말의 쌀 때문에 향리의 어린 것들에게 허리를 굽히랴” 하며 벼슬을 버리고 ‘귀거래사(歸去來辭)’를 부르면서 전원으로 돌아갔습니다. 그 유명한 시 ‘음주(飮酒) 5’도 그때 쓴 것입니다.“사람 사는 곳에 오두막을 지었지만/ 문 앞에 수레와 말소리 들리지 않네./ 묻노니 어찌하여 그럴 수 있는가/ 마음이 멀어지면 사는 곳도 절로 외딴곳이 된다네./ 동쪽 울 밑에서 국화를 따다가/ 멀거니 남산을 바라보네./ 산 기운은 해 저물어 아름답고/ 날던 새들 짝지어 돌아오네./ 이 가운데 참뜻이 있어/ 말하려다 말을 잊고 말았네(結廬在人境, 而無車馬喧. 問君何能爾, 心遠地自偏. 採菊東籬下, 悠然見南山. 山氣日夕佳, 飛鳥相
-
교양 기타
'빠삐용' 실존 인물, 탈출한 뒤 '대박' [고두현의 아침 시편]
드레퓌스의 벤치에서-도형수(徒刑囚) 짱의 독백(獨白)빠삐용!이제 밤바다는 설레는 어둠뿐이지만 코코야자 자루에 실려 멀어져 간 자네 모습이야 내가 죽어 저승에 간들 어찌 잊혀질 건가!빠삐용!내가 자네와 함께 떠나지 않은 것은 그까짓 간수들에게 발각되어 치도곤이를 당한다거나, 상어나 돌고래들에게 먹혀 바다귀신이 된다거나, 아니면 아홉 번째인 자네의 탈주가 또 실패하여 함께 되옭혀 올 것을 겁내고 무서워해서가 결코 아닐세.빠삐용!내가 자네를 떠나보내기 전에 이 말만은 차마 못했네만 가령 우리가 함께 무사히 대륙에 닿아 자네가 그리던 자유를 주고, 반가이 맞아 주는 복지(福地)가 있다손, 나는 우리에게 새 삶이 없다는 것을 알게 되었단 말일세. 이 세상은 어디를 가나 감옥이고 모든 인간은 너나없이 도형수(徒刑囚)임을 나는 깨달았단 말일세. 이 '죽음의 섬'을 지키는 간수의 사나운 눈초리를 받으며 우리 큰 감방의 형편없이 위험한 건달패들과 어울리면서 나의 소임인 200마리의 돼지를 기르고 사는 것이 딴 세상 생활보다 좋지도 나쁘지도 않다는 것을 터득했단 말일세.빠삐용! 그래서 자네가 찾아서 떠나는 자유도 나에게는 속박으로 보이는 걸세. 이 세상에는 보이거나 보이지 않거나 창살과 쇠사슬이 없는 땅은 없고, 오직 좁으나 넓으나 그 우리 속을 자신의 삶의 영토(領土)로 삼고 여러 모양의 밧줄을 자신의 연모로 변질(變質)시킬 자유만이 있단 말일세.빠삐용! 이것을 알고 난 나는 자네마저 홀로 보내고 이렇듯 외로운 걸세.* 구상(具常, 1919~2004) : 시인, 언론인.구상(具常) 시인이 노년에 쓴 시입니다. 제목 ‘드레퓌스의 벤치’는 영화 <빠삐용>(1973)에 나오는
-
이근미 작가의 BOOK STORY
테러범 비슷한 아모르, 현실과 환각을 오간다
2010년 12월, 스웨덴의 수도 스톡홀름 거리에서 자살 폭탄 테러 사건이 일어났다. 200년 넘게 어떠한 전쟁과 분쟁도 겪지 않은 스웨덴에서 폭탄 테러가 일어났으니 실로 엄청난 충격이었을 것이다.요나스 하센 케미리는 폭탄 테러를 모티브 삼아 <나는 형제들에게 전화를 거네>를 집필했다. 튀니지인 아버지와 스웨덴인 어머니 사이에 태어난 이민 2세 케미리는 폭탄 테러 용의자가 이민자라는 점을 소설의 출발로 삼았다.‘가장 노벨문학상에 가까운 스웨덴 작가’라는 수식어가 따라다니는 케미리는 자신의 정체성이 담긴 자전소설 <몬테코어>(2006)를 발표하며 주목받았다. 이 책은 스웨덴 이주자 문학의 대표작으로 평가받으며 20만 부 이상 팔리는 베스트셀러가 되었고, 미국·독일·프랑스 등 10개국에서 출간되기도 했다. 이후 2012년 <나는 형제들에게 전화를 거네>를 통해 주류 사회에서 환영받지 못하는 이민자, 소수자의 모습을 조명하며 작가로서의 정체성을 한층 더 탄탄하게 구축했다. “범인은 누구라도 될 수 있지”폭탄 테러를 모티브로 삼았으니 험하고 긴박할 것이라고 예상하기 쉽지만, <나는 형제들에게 전화를 거네>는 나른한 대화가 이어지다 의미 있는 문장들이 가끔 마음을 쿡 찌르는 소설이다. 소설은 5부로 구성되는데, 주인공 아모르가 다섯 사람과 통화한 내용과 그들과 얽힌 이야기가 담겨 있다.각 부 앞머리엔 “나는 내 형제들에게 전화를 걸어 이야기한다”라는 동일한 문장으로 시작하는 짧은 글이 실려 있다. “두 번의 폭발이 일어났어. 시내 한가운데서… 아무도 잡히지 않았어. 의심받는 사람은 없어. 아직은 아니야. 그런데
-
교양 기타
울지 못하는 닭과 나무로 만든 닭 [고두현의 아침 시편]
일찍 우는 닭 얻고 키우던 닭을 잡다(得早鳴鷄烹家中舊鷄)울지 못하는 놈 잡아먹고 잘 우는 놈 기르노니울기만 잘해도 속이 뻥 뚫리도다.밤하늘 은하수로는 새벽 알기 어렵고바람결 종루로도 시각 다 알 수 없어라.베갯머리 근심 걱정 자꾸만 기어들어내 가슴 시름으로 편치 못하더니이불 끼고 뒤척이며 잠들지 못할 적에꼬끼오 첫닭 소리 듣기에도 반갑구나.* 성현(成俔, 1439~1504): 조선 초기 문신, 시인.이 시를 쓴 성현은 조선 초기 문신입니다. 지금의 서울 중림동 약현성당 근처에 있는 약전마을에 살았지요. 그도 여느 집처럼 마당 한쪽에 닭을 키웠던 모양입니다.남의 병아리 지극정성 키운 의계(義鷄)첫 구절의 “울지 못하는 놈 잡아먹고 잘 우는 놈 기르노니/ 울기만 잘해도 속이 뻥 뚫리도다”라는 표현부터 잔잔한 웃음을 짓게 하는군요. 닭이 일찍 울어야 제 역할을 하는데, 울지 못하니 그놈은 잡아먹고 잘 우는 놈을 키운다는 얘기죠.예부터 닭에 관한 예화는 많습니다. 그중에는 의계(義鷄) 얘기도 있지요.어미닭 한 마리가 병아리들을 부화한 후 금방 죽고 말았습니다. 솜털 같은 병아리들은 추위에 떨며 삐약삐약 울었죠. 이를 본 다른 암탉이 기진맥진한 녀석들을 불러 모으고는 날개로 감싸 밤새워 품었습니다. 그랬더니 다음 날 모두 기사회생했다고 해요.이후 하루도 빠짐없이 병아리들을 지극정성으로 키운 이 암탉을 ‘의계’라 부르고 잡아먹지 못하게 했다는 얘기가 조선 중종 때 김정국의 <사제척언>에 나옵니다.이병철 삼성 회장이 늘 곁에 둔 목계(木鷄)<장자>에 나오는 목계(木鷄, 나무로 깎아 만든 닭) 얘기도 유명하죠.기성자가 왕을 위해 싸움닭을 키웠는데, 열
-
이근미 작가의 BOOK STORY
프랑스어로 그린 속초, 감미로운 침묵의 대화가…
작가에 대해 모른 채 <속초에서의 겨울>을 읽으면 ‘쓸쓸함이 감도는 속초의 겨울을 평이하게 표현했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그러다 필자의 독특한 이력을 알고 나면 속초의 겨울을 섬세한 침묵 속에서 속속들이 건져 올린 예리한 시선에 화들짝 놀랄지도 모른다. 결국 추운 겨울 바다와 차가운 바람 속에서 문장 사이사이 스며든 감성들이 뜨겁게 살아 있음을 느끼는 순간 소름이 돋는 소설이다.엘리자 수아 뒤사팽은 프랑스인 아버지와 한국인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나 프랑스 파리와 서울, 스위스 포랑트뤼를 오가며 자랐다. 스위스에서 학위를 받았고 현재 프랑스에서 살고 있다.13세 때 어머니의 가족을 만나기 위해 한국을 여행했고, 그때 자신 안에 있는 두 문화가 조화로운 결합이 아닌 ‘단 하나의 영토에서 살려고 애쓰는 두 개의 개체’라는 사실을 깨닫는다. 뒤사팽은 ‘유럽에서는 아시아인, 아시아에서는 서양인’으로 살며 어디에 있든 자신의 일부는 ‘낯선 이방인’으로 남아 있다고 말한다.저자에게 글쓰기는 ‘현실에서 찾아내지 못한 거처를 창조해내는 방법’이었다. 그 거처에서 자신이 ‘일상을 통해 알고 싶었던 만큼 한국을 속속들이 아는 젊은 여인’을 상상했고 그 상상이 <속초에서의 겨울>이라는 결실을 낳았다. 이 소설은 뒤사팽이 어릴 때 사용하던 한글을 잊어버려 프랑스어로 썼고, 프랑스에서 출간되었다. 첫 소설인 <속초에서의 겨울>은 출간 즉시 유럽 문단의 주목을 받았고 24세 때인 2016년 로베르트 발저 상, 프랑스 문필가협회 신인상, 레진 드포르주 상을 수상했다. 뒤사팽은 엄마의 나라에서 찾은 소재로 작가로서의
-
교양 기타
오! 황야도 충분히 천국일 수 있지 [고두현의 아침 시편]
나뭇가지 아래나뭇가지 아래 시집 한 권포도주 한 잔, 빵 한 덩이그리고 네가 내 옆에서 노래한다면오, 황야도 충분히 천국일 수 있지.* 오마르 하이얌(Omar Khayyam, 1047~1131): 페르시아 시인. 시집 <루바이야트>.페르시아 시인 오마르 하이얌의 루바이(4행시)입니다. 루바이는 페르시아 문인들이 친구들과 흥겹게 어울리며 읊조린 4행짜리 즉흥시를 말합니다.오마르 하이얌의 시집 제목이기도 한 ‘루바이야트’는 루바이의 복수형, ‘4행시 모음’을 뜻하지요. 신용카드 사업의 아버지인 디 호크가 ‘비자’를 창업할 때 이 시집에서 영감을 얻었다고 합니다. 사후 700년 만에 세계적 시인으로시인의 성 하이얌은 ‘천막을 만드는 사람’이라는 뜻으로 그의 아버지 직업과 연관이 있는 듯합니다. 오마르가 태어난 곳은 오늘날 이란의 북동부 지역. 어릴 때부터 총명했던 그는 당대 최고 철학자와 수학자, 천문학자로 이름을 날렸고 1131년 고향에서 세상을 떠났습니다.오마르는 생전에 시인으로서 별로 인정받지 못했습니다. 그런데 죽은 지 700년 뒤인 19세기에 갑자기 세계적 스타가 됐습니다. 영국 시인 에드워드 피츠제럴드가 영어로 옮긴 시집 <루바이야트> 덕분이었지요.1859년 영국에서 발행된 이 시집은 1878년 미국에서도 출간됐습니다. 나오자마자 베스트셀러가 됐고, 이후 영미 문학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죠. 오마르의 시 구절은 유명 작품의 제목이나 인용문, 관용어구 등으로 무수히 활용됐습니다.노벨문학상을 받은 미국 극작가 유진 오닐의 <아, 황야(Ah, Wilderness)>는 오마르의 시 속 “오, 황야도 충분히 천국일 수 있지”라는 구절에서 따왔죠. 오닐의 여러 희
-
이근미 작가의 BOOK STORY
태어나지 못한 아기가 전하는 아름답고 슬픈 이야기
최근 ‘36주 태아 낙태’ 경험담을 올린 유튜브 영상이 사실로 드러나 충격을 주었다. 다 자란 아기가 태어나지 못한 일에 많은 사람이 가슴 아파했고 보건복지부에서는 낙태한 여성을 살인 혐의로 경찰에 수사 의뢰했다.우리나라에서 매년 3만 건의 낙태가 이뤄지는 것으로 추정된다니 “원치 않는 임신, 부모의 형편, 여성과 아이의 인생, 낙태 찬반” 등 질문이 잇따라 떠오른다. <톡톡톡>을 쓴 공지희 작가는 “잉태된 순간 목숨의 주인은 그 아이입니다. 목숨의 주인 의견이 궁금하네요. 사람은 누구라도 배 속의 아이였으니, 나도 그 입장이 되어 생각해봅니다”라며 집필 동기를 밝혔다.쉽지 않은 소재를 다룬 <톡톡톡>은 제4회 자음과모음 청소년문학상을 받은 작품이다. 심사위원들은 <톡톡톡>이 “이미 죽어버린 태아가 현실 공간에 나타나서 문제 제기를 하고 스스로 문제 해결을 위해서 노력하는 소름 끼치도록 아름답고 슬픈 이야기”라고 평했다.낙태라는 문제 앞에서 가장 궁금한 것은 태어나지 못한 아기들의 행방과 그들의 생각 아닐까. 아무리 궁금해도 들을 수 없는 답을 공지희 작가가 상상의 나래로 풀어내 우리에게 전달한다. 생명의 중요성을 되새기며 <톡톡톡>을 읽다 보면 마음이 아려오면서도 안도하게 되고, 저며오는 슬픔 속에서도 가녀린 희망을 갖게 된다. 귀신놀이터에서 만난 노랑모자한적한 바닷가 작은 마을에 사는 중학교 3학년 달림은 자신을 콩쥐라고 생각한다. 식당을 운영하는 엄마가 성적 좋고 예쁜 언니 해림을 공주처럼 모시면서 달림은 마구 부려 먹기 때문이다. 고교생 해림의 방은 예쁘게 꾸며주었지만 달림은 오래된 가
-
이근미 작가의 BOOK STORY
언어감수성을 발휘하면 좋은 관계가 시작된다
우리는 매일 수많은 말을 한다. 생각을 언어로 표현할 때 나는 얼마나 신중할까. 행여 내 말이 상대방을 기분 나쁘게 하는 건 아닐까. 이는 누구나 고민하는 부분일 것이다.<신지영 교수의 언어감수성 수업>의 저자 신지영 교수는 사람들이 “피부 좋으시네요” “동안이세요” 같은 인사를 주고받을 때 피부처럼 언어도 예민하게 가꾸면 좋겠다는 생각에서 ‘언어감수성’을 떠올렸다. 신지영 교수가 오랜 기간 책을 출간하고 언론 인터뷰, 대중 강연, 방송 출연, 팟캐스트 진행 등을 하며 언어감수성을 강조하자 어느덧 많은 사람이 말을 할 때 한 번 더 생각하고 한 번 더 정제하게 되었다.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 재직 중인 신지영 교수는 ‘언어감수성 전파’의 공을 인정받아 대통령 표창을 비롯해 다양한 상을 받았으며 국립국어원 국어규범정비위원회 위원, 옥스퍼드영어사전 자문위원 등 여러 분야에서 활약하고 있다.그간 <언어의 줄다리기>, <언어의 높이뛰기>에서 언어를 밀도 있게 분석한 저자는 <신지영 교수의 언어감수성 수업>을 통해 우리의 언어생활을 하나하나 되짚어볼 장을 마련했다. ‘관계는 말에서 비롯된다’ ‘언어에도 감촉이 있다’ ‘타인을 부를 때 생각해야 하는 것들’ ‘대화가 필요한 당신에게’ 등 10개 장으로 나누어 실생활에 바로 접목할 수 있는 언어생활을 촘촘히 배열했다.말하는 사람과 듣는 사람언어감수성은 대체 왜 필요한 걸까. 말하는 사람과 듣는 사람이 서로 민감하게 여기는 부분이 다르기 때문이다. 나는 전혀 의도하지 않았지만 내 말을 듣고 상처를 받았다는 사람들을 종종 만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