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어 이야기
입소문이 나다 'go viral'
Mohegan Inspire Entertainment Resort on Yeongjong Island, near South Korea’s gateway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is attracting throngs of visitors on weekends as it is going viral on social media even before its grand opening in April.The luxury resort complex is the first integrated resort launched by a US company in South Korea and is expected to invigorate the casino and entertainment business on the island of calm, about 40 kilometers west of Seoul.Last January, Mohegan won the first permission in 19 years to operate a new foreigners-only casino in the country after Paradise City opened the first casino, also only for foreigners, in 2017 on Yeongjong Island. The two resorts are within a 10-minute drive of each other. Mohegan Gaming & Entertainment has invested $1.6 billion to build the complex, including the largest casino in South Korea.대한민국의 관문 인천국제공항이 있는 영종도에 위치한 모히건 인스파이어 엔터테인먼트 리조트가 오는 4월 본격적인 개장을 앞두고 SNS를 통해 입소문을 타며 주말이면 사람들로 북적인다.이번 럭셔리 복합 리조트는 미국 기업이 한국에 최초로 개장한 복합 리조트로, 서울 도심에서 서쪽으로 약 40km 떨어진 영종도에 카지노와 엔터테인먼트 사업이 활성화할 것으로 기대된다.파라다이스시티가 2017년 영종도에 첫 외국인 전용 카지노를 오픈한 이후 19년 만인 지난 1월 모히건은 국내 신규 외국인 전용 카지노 운영 허가를 획득했다.두 리조트의 거리는 차로 10분에 불과하다. 모히건 게이밍 엔터테인먼드는 한국 최대 규모의 카지노를 포함해 리조트 단지를 건설하는 데 16억 달러를 투자했다.해설영종도는 여의도의 두 배 가까운 면적을 지녔지만 인천국제공항과 몇몇 해수욕장을 제외하고는 그리 인기 있는 관광지가 아니었습니다. 하지만 국내 첫 미국
-
학습 길잡이 기타
뉴턴은 물리학, 라이프니치는 기하학에서 이론 정립
수학에서 가장 어렵고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는 단원은 미적분입니다. 이렇게 어려운 영역을 중시하는 이유는 미분이 마법 같은 함수이기 때문입니다. 미분을 통해 우리는 주어진 시간 동안 어떤 변화가 일어나고 있는지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우주의 움직임부터 금융시장의 변동까지 모두 미분의 원리를 기반으로 합니다. 미분의 필요성과 그 중요성에 대해 좀 더 깊이 탐구해봅시다.미분은 과연 누가 먼저 생각했을까요? 17세기 중반, 미분의 최초 발견을 둘러싼 논란이 독일 라이프니츠(1646~1716)와 영국 뉴턴(1643~1724) 사이에 펼쳐졌습니다. 1665~1666년에 뉴턴이 미분을 발명했다고 주장했으나, 라이프니츠는 1676년에 자신도 미분을 발견했다며 이를 반박했습니다. 이러한 논쟁은 둘 다 미분의 구체적인 내용을 발표하기 전 서로에게 자신의 결과를 자랑한 뒤, 미분을 주제로 서신을 주고받는 상황에서 비롯됩니다. 뉴턴은 1671년에 미분을 주제로 논문을 작성했지만 발표하지 않았고, 라이프니츠는 미분의 구체적인 설명이 담긴 편지를 자신이 먼저 보냈다고 주장했습니다. 이 같은 논란은 잉글랜드 학회와 독일 학회의 갈등으로까지 확산되었습니다. 한편에선 두 사람이 각각 다른 방식으로 발전시킨 것이라는 새로운 주장이 나오기도 했습니다.아이작 뉴턴의 미분 발명은 사과가 떨어지는 모습을 보며 만유인력의 법칙을 떠올린 유명한 일화로부터 시작됩니다. 뉴턴은 이 경험을 통해 물체가 떨어질 때 중력의 영향을 간접적으로 느끼고 자연현상을 더 깊이 이해하기 위한 탐구에 몰두하게 됩니다. 그후 한없이 커지는 양을 ‘유량’이라 하고, 독립변수인 시간에 대한 유량의 변화율, 즉 흐름의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自勝者强 (자승자강)
▶ 한자풀이 自: 스스로 자 勝: 이길 승 者: 사람 자 强: 굳셀 강자신을 이기는 사람이 진정 강하다스스로와의 싸움이 가장 어렵다는 뜻- <도덕경>자신을 알고 만족할 줄 알라는 경구로 채워진 <도덕경> 제33장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남을 아는 자는 지혜롭다고 하지만 자기를 아는 자야말로 진정으로 밝은 것이다(知人者智, 自知者明). 남을 이기는 자는 힘이 있다고 하지만 자신을 이기는 자야말로 진정으로 강한 자다(勝人者有力, 自勝者强). 만족할 줄 아는 자는 부유하고 행함을 관철하는 자는 뜻이 있다(知足者富, 强行者有志). 그 자리를 잃지 않는 자라야 오래가고 죽어도 잊혀지지 않는 자라야 오래 산다고 할 것이다(不失其所者久, 死而不亡者壽).”여기서 나오는 자승자강((自勝者强)은 ‘자신을 이기는 사람이 진정으로 강한 사람’이란 뜻으로 자승가강((自勝家强)으로도 쓴다.<도덕경> 제33장은 남을 아는 것보다 자기를 아는 것, 남을 이기는 것보다 자신을 이기는 것이 더 중요하고 어렵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또 사람은 만족하고 실천할 줄 알아야 하고, 죽은 뒤에도 좋은 기억으로 잊혀지지 않는 자가 진정으로 장수하는 자라고 일러준다.공자의 극기복례(克己復禮)는 자신을 이기고(克己) 예로 돌아간다(復禮)는 뜻으로, 유가 사상의 골자를 압축한 말이다. 자신을 이기려면 먼저 자신을 알아야 한다. 손자는 병법에서 “적을 알고 나를 알면 백 번 싸워도 위태롭지 않다”고 했고, 소크라테스도 “너 자신을 알라”고 했다. 모두 자기를 아는 것(自知)이 그만큼 어렵다는 것을 이르는 말이다. 자신을 극복하는 것(克己)과 자
-
대입 전략
SKY 196명 등 전국 112개 대학에서 1만791명 선발, 47% 수능 없이 선발…서울권은 72%가 수능 반영
전국 4년제 대학 중 2025학년도 간호학과를 선발하는 곳은 112곳에 이른다. 전형 계획안 정원 내 총 1만791명을 모집한다. 서울권 소재 대학으로는 12개 대학 921명 규모다. 서울대, 연세대, 고려대, 한양대, 중앙대, 경희대, 이화여대 등 주요대 상당수가 간호학과를 선발한다. 수도권 대학으로는 아주대·인하대·가천대(메디컬) 등 12개교에서 985명을, 거점 국공립대의 경우 10개 대학에서 858명을 모집한다. 그 외 78개 지방권 대학에서는 8027명 모집을 계획하고 있다.선발 비중 서울·수도권 17.6%, 지방권 82.3%대학별로는 경동대 선발 인원이 355명으로 가장 많다. 다음으로 가천대(메디컬) 255명, 초당대 204명, 남부대 201명, 광주대 200명, 중앙대 193명 순으로 선발 인원이 많다. 서울권 대학에선 중앙대 다음으로는 성신여대 88명, 경희대 85명, 가톨릭대(서울) 80명, 이화여대 78명, 연세대 73명, 삼육대 69명, 서울대 63명, 고려대 60명 순으로 선발 규모가 크다. 주요 대학 중에는 한양대가 38명으로 선발 인원이 적은 편이다.간호학과를 목표한다면 대학 평판뿐 아니라 의대 설치 여부도 확인하길 바란다. 직업 특성상 의사와 협업이 필수인 만큼 병원 실습 환경이 매우 중요하고 대학별 취업 등 더 다양한 진로를 모색할 수 있기 때문이다. 서울권 대학 중엔 서울대, 연세대, 고려대, 한양대, 중앙대, 경희대, 이화여대, 가톨릭대(서울) 등 8개 대학이 간호학과와 의대를 함께 운영하고 있다. 수도권은 아주대·인하대·가천대(메디컬) 등 3곳에서, 거점 국공립은 경북대·경상국립대·전북대·충남대, 전남대·부산대·강원대·제주대·충북대 등 9개 대학에 간호학과와 의대가 모
-
대학 생글이 통신
대학마다 다른 '다전공 제도' 미리 확인을
‘학점’에 대해 설명한 지난 글에 이어 다전공 제도를 본격적으로 소개해보고자 합니다. 대학마다 체제가 다르기 때문에 이 글은 서울대를 기준으로 설명했습니다.다전공은 2개 이상의 전공을 공부하는 것을 말합니다. 구체적으로 복수전공, 부전공, 연합전공, 연계전공으로 나뉩니다. 정말 간단히 말해, 복수전공은 기존의 학문 분야를 많이, 부전공은 기존의 학문 분야를 조금, 연합전공은 간학문(양쪽 학문 분야를 연결하는 학문)을 많이, 연계전공은 간학문을 조금 공부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다전공은 간학문성의 여부에 따라 ‘복수전공, 부전공 대 연합 전공, 연계 전공’으로 나뉩니다. 복부전(복수전공과 부전공의 준말)은 입학할 때 지원할 수 있었던 전공을 공부하는 것입니다. 이 전공들은 경제학·경영학처럼 보통 우리가 흔히 아는 것들입니다. 그러나 최근 사회가 복잡하고 정교해지며 기존에 존재하던 두 가지 이상의 학문 분야를 엮어서 하는 공부, 즉 간학문적 학습의 필요성이 높아졌습니다. 연전(연합전공과 연계전공의 준말)을 한다는 것은 학제적 학문의 탐구를 의미합니다. 이를테면 경제학부와 수리과학부가 손잡고 만든 금융수학, 경제학부와 정치외교학부와 철학과가 함께 만든 정치경제철학이 그러한 학문에 해당합니다. 수학 중에서도 금융 분야에서 많이 사용하는 수학을 알고 싶다면 수리과학 복부전보다 금융수학 연합전공을 택하는 것이 나을 수 있습니다.학위 부여 여부에 따라서는 ‘복수전공, 연합전공 대 부전공, 연계전공’으로 나뉩니다. 전자는 전공 수업을 훨씬 많이 듣고(39학점) 학위도 부여하는 반면, 후자는 수업을 덜 듣고(21학점) 학
-
최준원의 수리 논술 강의노트
수능 연계성 높아…여유 합격선은 5문제 이상
한양대학교는 지난해 의예과에 이어 올해도 공과대학 일부 학과의 논술 선발을 폐지하는 등 다른 대학에 비해 비교적 큰 폭으로 논술 선발 인원이 줄면서 그만큼 논술 경쟁률과 논술 합격선이 상승할 것으로 예상되는 학교 중 하나다. 논술 문제 난이도가 점차 평이해지는 추세이긴 하지만 수리논술을 실시하는 대학 중에서는 연세대, 서강대 등과 함께 여전히 변별력 높은 문제를 출제하는 곳이므로 탄탄한 미적분 문제 해결 능력을 바탕으로 기하와 확률과통계를 꼼꼼히 학습해야 한다.한양대학교 수리논술 대비전략 주요 포인트1. 모의고사 미적분 1~2 등급대의 문제해결능력 유지- 수능연계성 높아 미적분 문제해결능력 확실하게 갖춰야2. 확률과 통계 및 기하 출제가능성 모두 높아- 확통/기하 출제난이도는 비교적 평이하나 모든 단원을 고르게 학습- 모평균, 공간도형 등 과목별 마지막 단원까지 꼼꼼하게 학습필요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잘 쓰면 약, 잘못 쓰면 독이 되는 표현 '최근'
“최근 4년간 변호사가 징계처분을 받은 사례는 총 316건인 것으로 나타났다. … 대한변호사협회가 최근 발간한 <징계사례집 제8집>에는 2019년부터 2022년까지 불성실 변론, 사기 등으로 징계받은 사례 316건이 담겼다.” 대한변호사협회가 2월 15일 변호사들의 징계 사례를 담은 자료집을 발간했다. 정부의 의대 정원 확대와 전공의들의 극한 반발로 언론의 관심이 온통 의료 파업에 쏠려 있던 때였다. 그래서인지 변호사 징계 자료는 언론의 주목을 크게 받지 못했다. 하지만 이를 전한 기사 문장에는 놓쳐선 안 될 표현이 하나 있다.2~3일 전도, 1년 전도 모두 ‘최근’예문에서 특별히 눈에 띄는 문법적 오류는 없다. 그러나 단어 사용 측면에서 이상한 말이 있다. 잘 살펴보면 ‘최근’이 두 번 쓰였고, 그 쓰임새가 좀 다르다는 게 드러난다. 같은 말이지만 ‘최근 4년간’과 ‘최근 발간한’에서 나타내는 기간은 분명 다르다. ‘최근’의 정체가 무엇이기에 이럴까? 이 말은 우리말에서 독특한 위치에 있는 단어다. 모호한 듯하지만 누구나 알아듣고, 대충 말하는 것 같은데 서로 이해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렇다. 그렇다고 구체적으로 가리키는 게 무엇인지는 드러나지 않는다.‘최근’의 사전 풀이는 ‘지나간 지 얼마 안 된 즈음’이다. 일상에서 흔히, 아무 거리낌 없이 자유자재로 이 말을 쓴다. 하지만 그 ‘얼마 되지 않은 때’가 정확히 얼마인지도 모르면서 누구나 이 말을 듣고 이해한다. 아니 그런 착각에 빠진다. 그러다 보니 무려 4년 전부터의 기간도 최근이고, 수일 전 일도 최근으로 통한다. 앞의 예문을 통해 보면 그렇다.그런 만큼 이
-
학습 길잡이 기타
'집합과 명제'는 논리적 사고력 키울 수 있어
어떤 사람이 논리적이라는 표현은 칭찬으로 이해되는 경우가 많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습니다. 예를 들면, 성격 유형 검사인 MBTI와 관련해 다양한 오해와 선입견으로 ‘T’가 밈(meme)화 되고 있는 현상이 그렇습니다. 그럼에도 논리적 생각은 고차원의 사고 활동에서 필수적이고 중요한 수단이자 과정입니다.고교 교육과정에서는 논리학을 가르치지 않지만 학생들은 여러 과목을 통해 자연스럽게 논리적으로 무엇이 옳고 그른 것인지 알 수 있게 됩니다. 특히 수학은 모든 단원에서 추론(reasoning) 과정을 공부할 수 있는 과목입니다. 특히 ‘집합과 명제’ 단원은 이러한 논리적 사고방식을 수학적 기호를 활용해 연습할 수 있는 거의 유일한 단원입니다. 그래서 이 단원을 논리학의 기초적인 내용과 연계해 이해하면 유익합니다.논리적 추론을 크게 구분하면 연역적 추론과 귀납적 추론이 있습니다.예를 들어, [근거 1: 오늘 비가 오면 행사가 취소된다. 근거 2: 오늘 비 예보가 있다. 주장: 행사는 취소될 것이다.] 라는 논증을 봅시다. 이는 전형적인 연역적 추론으로서 형식적으로는 A이면 B이다, A이다, 그러므로 B이다. 라고 볼 수 있습니다. A와 B자리에 어떤 문장이 들어오더라도 근거로 쓰는 문장들이 참이라면 주장은 항상 참이 될 수 밖에 없습니다.다른 예를 들어봅시다. [근거 1: 어제 해가 떴다. 근거 2: 그제 해가 떴다. 근거 3: 1년 전에도 해가 떴다. 근거 4: 100년 전에도 해가 떴다. 주장: 그러므로 내일도, 앞으로도 계속 해가 뜰 것이다.] 이런 형태의 논증은 귀납추론이라고 합니다. 귀납추론의 근거들은 경험적으로, 사례 위주로 주장을 뒷받침합니다. 근거가 많을수록 강한 추론이 되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