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영어 이야기

    '첫 투자'란 말은 round란 단어를 사용…'the first round of investment'라고 표현

    Korea Investment Holdings has a 27.31% stake in KakaoBank Corp. according to industry insiders on Thursday. That makes the financial conglomerate the second-largest shareholder of the fintech arm of Kakao Corp.Korea Investment made the first round of investment in KakaoBank in 2016 with 174 billion won. Since then, it made additional investments in 2017 and 2018 with 290 billion won and 186 billion won respectively. In 2020, it injected 167.6 billion won into the mobile banking app operator.All in all, Korea Investment poured 817.6 billion won into KakaoBank.As KakaoBank’s market capitalization is around 23 trillion won, Korea Investment Holdings’ equity is valued at around 5.3 trillion won. The profit valuation from the KakaoBank investment exceeds 4.5 trillion won.Hanwha Investment, for its part, realized 1 trillion won in profit by investing in Dunamu Inc., the operator of Korea’s largest cryptocurrency exchange Upbit.Hanwha purchased a 6.14% stake (2.06 million shares) in the digital assets company for 58.2 billion won in February 2021.산업계 관계자들에 따르면 한국금융지주는 카카오뱅크 지분 27.31%를 보유하고 있다. 카카오에 이은 2대 주주다.한국금융지주는 2016년 처음으로 카카오뱅크에 1740억원을 출자했다. 이후 2017년 2900억원, 2018년 1860억원을 각각 추가 투자했다. 이어 2020년에는 1676억원을 카카오뱅크에 출자했다. 한국금융지주가 모바일 뱅킹 앱 운영사인 카카오뱅크에 지금까지 쏟아부은 투자액만 총 8176억원에 달한다.카카오뱅크 시가총액이 약 23조원인 점을 고려하면 한국금융지주의 지분가치는 약 5조3000억원이다. 카카오뱅크 투자로 얻은 평가 차익은 4조5000억원이 넘는다.한화투자증권도 국내 암호화폐거래소 가운데 가장 큰 업비트를 운영하는 두나무에 투자해 1조원에 가까운 수익을 올렸다. 한화는 2021년 2월 5

  • 임재관의 인문 논술 강의노트

    늘 문제를 염두에 두고 효율적으로 제시문을 분석할 것

    지난 시간에 안내했던 서강대 2021학년도 기출문제 한 세트의 해제를 시작하겠습니다. 각 논제의 이상적인 풀이시간은 아래와 같습니다.서강대는 900자 안팎의 장문형 글쓰기를 2문항 출제하고 있습니다(시험시간 100분). 또한 1, 2문항의 주제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사실상 두 번의 작문을 해야 합니다. 50분은 많아 보여도, 실제 흐름을 고려하면 정말 짧은 시간입니다. 그러므로 목적과 방향 없이 각 제시문에서 오랜 시간 머무는 것은 비효율적입니다. 최대 1000자의 글에 평균 6000자가 넘어가는 제시문의 모든 내용을 활용할 수도 없습니다. 논제를 철저히 염두에 두고 요구사항 순서대로 제시문을 분석해보세요.[가]의 현상은 지문에 명확히 기술돼 있듯이 대학생 사이에서 발생하는 입시 결과에 따른 서열화입니다. 서로를 무시하고 사람을 서열화하는 것 자체가 문제로 보일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이 논제는 [나], [다], [라]를 참조했을 때의 문제점이 무엇인지 밝히라는 것이므로, 각각의 지문을 활용해 다른 각도에서 문제를 분석해야 합니다. 즉 [가]에서 떠올랐던 ‘도덕적인 관점’에서 한발 물러나 봅시다.[나]는 자연현상과 달리 사회현상은 필연적이지 않고 인간의 의지와 판단에 따라 달라진다고 주장합니다. 이를 참조하면 [가] 현상은 판단이 부정확한 점에서 문제시됩니다. 예를 들어 학과를 선택한 이유가 자기 점수와 무관하게 전공에 대한 의지 때문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입시 결과가 좋은 학과의 학생이 입시 결과가 나쁜 학과의 학생보다 점수가 반드시 높다고 볼 수 없습니다. 혹은 입시 결과는 확률에 의한 우연적 결과일 수 있으므로, 단 한 번의 수능 점수로 능력의 우열관계를 판단

  • 신철수 쌤의 국어 지문 읽기

    핵심 개념과 구체적 사례 이해는 벤다이어그램으로

    <보기>의 사례는 …을 보여하위 개념이 속한 상위 개념을 떠올리는 것이 추상화이고, 그 대표적인 것이 사례 해석이라 했다. 이 문제의 선택지들이 ‘<보기>의 사례는 …을 보여’ 준다고 돼 있는데, 추상화 능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공공재 생산 유도’ ‘소득의 직접 증가’ ‘더 효과적임’ 등 ①의 핵심 개념과 <보기>의 내용을 연결해 벤다이어그램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특히 ‘10억 원 늘어났을 때에는 1억 원 … 10억 원… 때에는 2억 원’을 ‘더 효과적’이라는 말로 추상화한 것에 주목해 보자. 이는 비(比)에 대한 수학적 사고를 활용한 추상화인 것이다.공공재 소비든 사용재 소비든 어디든 사용될 수 있기 … 단, 공공재 소비에 투입되지 않은 것은 모두 사용재 구입에 소비되었다고 가정경제 관련 문제에서 ‘단, …고 가정한다’는 전제 조건을 종종 본다. 그 전제 조건은 수학적 사고를 하는 데 중요한 의미를 지니기 때문이다.<보기>에 ‘단, 공공재 소비에 투입되지 않은 것은 모두 사용재 구입에 소비되었다고 가정한다’는 전제 조건은 지문의 ‘정액 지원금은 공공재 소비든 사용재 소비든 어디든 사용될 수 있’다는 내용 때문에 주어진 것이다. 이 두 내용을 정리하면 ‘공공재’와 ‘사용재’ 두 가지만 소비하고 제3의 경우는 없다는 의미다. 왜 이런 전제 조건이 있는 걸까? 지문에 ‘정액 지원금은 … 지역 주민의 소득의 크기가 증가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정액 지원금은 지역 주민의 소득 증가와 동일한 효과를 내’고, ‘정액 지원금이 지역 주

  • 신철수 쌤의 국어 지문 읽기

    두 변수의 조합들과 그중 하나의 조합, 그래프 이해의 첫걸음

    <그림>글을 읽으며 그래프를 그리는 것이나 그래프를 글로 표현하는 것도 국어 능력이라 했다. 이 문제는 그 능력을 알아보기 위한 전형적인 문제다. 이런 문제를 풀기 위해서는 글의 내용과 그래프를 연결하며 메모하는 것이 중요하다. 철수 샘의 메모는 다음과 같다.메모에서 그래프 AB를 ‘(공, 사)예산선’이라 한 것은 흔히 좌표를 (x, y)로 나타내기 때문이다. 그리고 선호를 기호 I, I가 아니라 그래프에 직접 메모한 것은, 지문 내용에 따르면 선호는 예산선과는 다른 또 하나의 조합이기 때문이다.②에서 ‘정률 지원금이 지급될 때의 균형점’에서 사용재 소비는 Zm과 대응되는 y좌표고, ‘정액 지원금이 지급될 때의 균형점’에서 사용재 소비는 Zb에 대응되는 y좌표다. 주민이 보유한 경제적 자원…을 통해 선택할 수 있는 공공재와 사용재의 조합을 의미하는 예산선… 정액 지원금을 받은 후의 예산선… 정률 지원금으로 인해 예산선그래프는 점들의 집합이고, 그 점은 순서쌍을 말한다. 즉 x좌표와 y좌표의 조합이다. 또한 그래프가 우하향하면 두 변수가 반비례 관계임을 나타내고 그래프의 기울기가 변하는 것은 두 변수 간 비율이 변한다는 걸 의미한다. 이 같은 수학적 사고는 고등학생이면 알고 있어야 한다.이를 고려하면 공공재가 늘면 사용재는 줄고, 공공재가 줄면 사용재는 늘어난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 예산선임을 알 수 있다. 이를 고려해 ⑤를 판단해보자. 지문에 따르면 ‘소득’은 ‘선택할 수 있는 공공재와 사용재의 조합’과 같다. ‘Eb에서의 공공재 소비 수준’이 있다면 Eb에서의 사용재 소비 수준이 있고, ‘Em에서의 공공

  • 최준원의 수리 논술 강의노트

    논술답안 작성의 핵심 원리는 '의사소통'이다

    수리논술을 처음 시작하는 학생들이 처음으로 논술 답안을 작성하면서 부딪히는 난관은 ‘답안을 어떻게 써야 할 것인가’에 대한 고민일 것이다. 여기에는 답안을 어느 정도의 분량으로 써내야 할지, 또 풀이 과정에서 무엇을 쓰고 무엇을 생략할지에 대한 고민이 모두 들어 있을 것이다. 결론부터 얘기하면 수리논술 답안 작성에 어떤 원칙이 정해져 있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답안을 어떻게 써야 할 것인지에 대한 모든 판단 기준은 학생과 출제자 또는 학생과 채점자 간 ‘의사소통이 얼마나 원활하게 이루어졌는가’에 대한 것임을 명심해야 한다. 본문 문항의 답안 작성 사례를 통해 이 점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하자. 포인트답안 분량을 얼마나 할 것인지에 대한 판단 기준에는 이를테면 문항 배점도 포함된다. 즉, 점수가 많이 부여된 문항일수록 좀 더 상세한 풀이 과정의 답안을 작성해야 한다.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큰일, [크닐]과 [큰닐]에 담긴 발음의 세계

    지난 3월 대통령선거를 치러 올해 큰일 하나를 마쳤다. 하지만 그게 다가 아니다. 곧이어 지방선거라는 또 다른 큰일을 앞두고 있다. ㉠“그는 큰일을 맡길 만큼 믿음직하다.” ㉡“아드님 장가보냈으니 큰일 하나 치르셨습니다.” ‘큰일’은 일상에서 흔히 쓰는 말이지만, 어법적으로는 간단치 않다. 형태는 같지만 두 예문에서 쓰인 ‘큰일’은 서로 의미가 다르다. 발음 또한 다르다. 하나는 [크닐]이고 다른 하나는 [큰닐]이라고 한다. ‘막일, 담요, 신여성’ 등 발음할 때 ‘ㄴ’음 첨가돼말의 태생으로 보면 둘 다 ‘큰(大)+일(事)’이 결합한 합성어다. ㉠에서는 통상 ‘중대한 일’이라고 하는 의미를 담았다. 흔히 “큰일 났다”고 할 때 쓰는 말이다. 일반적으로 ‘큰일’이라고 하면 이 의미로 쓰인다. ㉡의 ‘큰일’은 ‘결혼, 회갑, 초상 따위의 큰 잔치나 예식을 치르는 일’을 말한다. “잔치와 같은 큰일이 있을 때 도와주는 것을 부조(扶助)라고 한다”처럼 쓴다. 한자어로는 두루 ‘대사(大事)’로 통하는데, 순우리말에선 각각을 구별한다.두 말을 구별하는 핵심은 발음에 있다. ㉠[크닐]과 ㉡[큰닐]로 달라진다. 그러니 “작은 일에 꼼꼼해야 큰일[크닐]도 잘한다”고 하고, “덕분에 큰일[큰닐] 무사히 치렀습니다”라고 말한다. ‘잔손이 많이 드는 자질구레한 일’을 뜻하는 ‘잔일[잔닐]’은 ‘큰일[큰닐]’에 대응하는 말이다. 모국어 화자라면 이를 [자닐]이라고 하지 않으므로 [큰닐]-[잔닐]로 묶어 외우는 게 요령이다.어떻게 똑같은 음운환경에서 발음이 달라졌을까? 그

  • 영어 이야기

    모회사에서 별도 회사로 분리되는 spin-off…원작을 기초로 새롭게 만드는 작품 뜻하기도

    South Korea’s second-largest wireless carrier KT Corp. launched a cloud computing subsidiary on Friday.Cloud computing is the on-demand availability of computer system resources like data storage and computing power without the costs of building and maintaining data centers.KT Cloud is a spin-off from the telecom company’s cloud and internet data center businesses.The major data centers owned by KT Corp. will now be under KT Cloud. The subsidiary is wholly owned by the parent company and aims to reach 2 trillion won in revenue by 2026.Going forward, KT Cloud plans to develop its own graphic processor units (GPUs) and artificial intelligence semiconductor chips.Tech giant NHN Corp. also launched a cloud subsidiary on the same day. Just like its KT counterpart, NHN Cloud is also a spin-off of the parent company’s existing business in cloud management and artificial intelligence.NHN began its cloud technology in 2014, specialized for the gaming industry.한국의 2위 무선이동통신 회사인 KT가 지난 금요일 클라우드 컴퓨팅을 전문으로 하는 자회사를 출범시켰다. 클라우드 컴퓨팅은 데이터센터를 세우지 않고 인터넷상의 서버를 통해 데이터 저장과 컴퓨팅 기능 등을 필요할 때마다 사용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KT클라우드는 KT의 클라우드 및 인터넷 데이터센터 사업을 떼어낸 자회사다. KT의 주요 데이터센터는 모두 KT클라우드 아래 편입된다. KT가 지분 100%를 보유한 KT클라우드는 2026년까지 연매출 2조원 규모의 회사로 성장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KT클라우드는 앞으로 그래픽처리장치(GPU)와 인공지능(AI)용 반도체 칩을 자체 개발할 계획이다.NHN도 이날 클라우드 자회사인 NHN클라우드를 출범시켰다. NHN클라우드 역시 KT클라우드와 마찬가지로 모회사의 클라우드와 AI 사업부를 별도로 분리해 세운 회사다. NHN은 2014년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파벽비거 (破壁飛去)

    ▶한자풀이 破: 깨뜨릴 파 壁: 벽 벽 飛: 날 비 去: 갈 거벽을 깨고 날아간다는 뜻으로사물의 요긴한 곳을 완성함을 이름  - 《수형기(水衡記)》남북조시대 양(梁)나라에 장승요(張僧繇)라는 인물이 있었다. 그가 금릉에 있는 안락사(安樂寺)에 용 두 마리를 그렸는데 눈동자를 그리지 않았다. 사람들이 이상히 여겨 그 까닭을 묻으니 그가 답했다. “눈동자를 그리면 용이 날아가 버리기 때문입니다.”사람들이 믿지 않자 그가 용 한 마리에 눈동자를 그려 넣었다. 그러자 갑자기 천둥이 울리고 번개가 치며 용이 벽을 차고 하늘로 올라가 버렸다. 눈동자를 그리지 않은 용은 그대로 남아 있었다. 《수형기(水衡記)》에 전해오는 얘기다. 이 이야기에서 두 개의 고사성어가 유래한다.하나는 파벽비거(破壁飛去)다. ‘벽을 깨고 날아간다’는 뜻으로, 사물의 긴요한 곳을 완성한다는 의미로 쓰인다. 요점을 찾아 어떤 일을 해결하거나 조그마한 부분적인 일로 전체가 활기를 띠는 것을 이르기도 한다. 평범한 사람이 갑자기 출세함을 비유하는 말로도 쓰인다.또 하나는 화룡점정(畵龍點睛)이다. ‘용을 그리고 마지막에 눈동자를 그려 넣는다’는 뜻으로 가장 핵심이 되는 부분을 마무리해 일을 완벽하게 마친다는 의미로 쓰인다. 일이 전반적으로는 잘됐지만 어딘가 부족한 데가 있을 때 ‘화룡에 점정이 빠졌다’고 한다.용은 단번에 하늘로 오르지 못한다. 물속에서 내공을 단련하고 날개를 키워야 하늘을 난다. 마부위침(磨斧爲針)은 ‘도끼를 갈아 바늘을 만든다’는 뜻이다. 부지런히 갈고닦으면 일이 반드시 이뤄진다는 의미다.하나가 부족해 아흔아홉이 허사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