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말(馬) 사망'을 어찌해야 하나요

    “안타깝게도 촬영 후 1주일쯤 뒤에 말이 사망했다는 사실을 확인했습니다. … 사고를 방지하지 못하고 불행한 일이 벌어진 점에 대해 시청자분들께 거듭 사과의 말씀을 드립니다.” 지난 1월 20일 KBS는 시청자에게 사과문을 발표했다. 당시 방영 중이던 대하사극의 낙마 장면을 촬영하던 도중 말이 넘어져 죽자 동물학대 비판이 거세게 일어난 직후였다. 이 사고는 근래 반려동물 등에 관한 ‘동물권’ 인식 확산 바람을 타고 우리 사회에 큰 논란을 불러일으켰다. 사전적으론 ‘사람의 죽음’을 뜻하는 말우리말 관점에서도 눈에 띄는 곳이 있다. ‘사망’의 용법과 관련해서다. ‘말이 사망했다’는 왠지 어색하다. 사고 소식을 전한 언론보도에서도 미묘한 차이가 있었다. “말 스스로 일어났지만, 사망” “낙마사고 촬영 1주일 뒤 말 사망 확인”처럼 ‘사망’을 쓴 게 많았지만, “촬영 위해 넘어뜨린 말, 1주일 뒤 죽었다” “‘태종 이방원’ 말 죽음 사고…” 식으로 표현한 것도 많았다. 말의 ‘사망’과 ‘죽음’ 사이에는 어떤 차이가 있을까?사전적으로 사망은 ‘사람의 죽음’을 뜻한다. 우리 인식에 소 돼지 등 짐승의 죽음을 ‘사망’이라고 하지 않았다. 그렇게 배우고 써왔다. ‘말 사망’에서 오는 어색함은 그런 학습효과에서 연유하는 것 같다. 말을 아는 것과 올바로 구사할 줄 아는 것은 다른 얘기다. ‘사망’이란 말은 누구나 알지만, 그 대상이 사람에 한정돼 쓰인다는 점은 종종 간과한다.용법을 알아야 말을 정확히 쓸 수 있다. 글쓰기에서 이게 왜 중요하냐면 ‘글의

  • 임재관의 인문 논술 강의노트

    계열별 특성이 다른 이화여대 인문논술…1계열 영어지문, 2계열은 수리논술 출제

    이화여대 인문논술은 답안 분량이 제한돼 있지 않고 지원자들의 수준이 높은 편이므로 상대적으로 많은 분량을 채워야 합격에 유리합니다. 지문의 난이도는 어려운 편에 속합니다. 따라서 많은 학생이 속도 문제를 겪습니다. 계열 시험은 둘로 나뉘는데, 아래와 같은 특성 차이가 있습니다.수능 최저 자격은 국영수탐(1) 중 3과목 합 6(스크랜튼은 3과목 합 5)으로 높은 편입니다. 교과 반영 비율도 상당해 4등급 이하부터는 교과 감점을 논술답안 점수로 메꾸기 어렵습니다. 지원을 염두에 두는 학생은 미리 이화여대 방식으로 교과 계산(가장 잘한 과목으로 상위 30단위)해 3등급 안으로 들어와 있는지 확인해봐야 합니다. 아래 문제는 이화여대 2021학년도 수시 인문1계열 기출문제 중 선별된 두 문제입니다. 제시문을 읽고 흐름을 구체적으로 구상한 뒤 답안을 작성해 보세요. [문제1]제시문 [가]의 ‘복종’의 의미를 설명하고, 이와 관련된 두 가지 감시 기제를 제시문 [나]에서 찾아 비교하시오. (분량 자유)[문제2]제시문 [바]의 ①-②의 관계와 제시문 [사]의 ③-④의 관계를 대비하여 논하시오. (분량 자유)가역사상 특이한 현상들이 많지만 ‘마녀사냥’만큼 이해하기 힘든 현상도 드물 것이다. 실제로 유럽에서는 사회 전체를 위협하는 악마적인 세력이 존재한다고 철석같이 믿고 종교 재판소를 설치하여 마녀들을 소탕하는 운동을 벌였다. 개략적인 추산으로는 15세기 말부터 수백 년 동안 유럽에서 마녀로 판정을 받고 처형당한 사람이 약 10만 명에 이른다고 한다. 희생자들은 대개 여성, 빈민, 노인으로, 악마의 유혹에 쉽게 빠지게 된다고 여겨진 부류들이었다. 마녀사냥의 광풍이 불었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反求諸己 (반구제기)

    ▶한자풀이反: 돌이킬 반  求: 구할 구  諸: 모두 제  己: 몸 기잘못을 자신에게서 찾는다남을 탓하지 않고 스스로를 고침           - 《맹자(孟子)》맹자(孟子)의 호연지기(浩然之氣)는 담대한 기상이다. 비굴하지 않으며 스스로의 잘못을 인정하는 떳떳함이다.《맹자》 공손추편에는 이런 구절이 있다. “어진 자는 활 쏘는 사람과 같다. 활을 쏘는 사람은 자신을 바르게 한 뒤에 활을 당기는데, 쏘아서 적중하지 못하면 ‘나를 이긴 자를 원망하지 않고 오히려 나 자신에게서 원인을 찾는다(不怨勝己者 反求諸己而己)’.”반구제기(反求諸己)는 ‘되레 자신에게서 허물을 찾는다’는 뜻으로, 일이 잘못되면 남을 탓하지 않고 스스로를 돌아본다는 의미다. “내가 남을 사랑하는데 그가 나를 친애하지 않으면 내 사랑이 부족한지 돌아봐야 하고, 사람을 다스리려는데 다스려지지 않으면 내 지혜가 부족한지 돌아봐야 하고, 남에게 예(禮)를 다했음에도 그가 내게 예로 답하지 않으면 내 공경에 부족함이 없는지 돌아봐야 한다”는 말도 함의가 같다.공자는 “군자는 허물을 자신에게서 구하고 소인은 허물을 남에게서 구한다(君子求諸己, 小人求諸人)”고 했다. 공자 말에 비춰보면 ‘자기 집 두레박줄이 짧은 것은 탓하지 않고 다른 집 우물이 깊다고 한숨짓는다”는 《명심보감》 구절은 딱 소인을 빗댄 말이다.동서양 황금률의 공통분모는 ‘내 탓’이다. 신약성서 마태복음에 나오는 “그러므로 무엇이든지 남에게 대접을 받고자 하는 대로 너희도 남을 대접하라”라는 예수의 말은 남을 대함에 스스로를 먼저 살피라는 뜻이

  • 영어 이야기

    greenback, bucks, grand는 모두 달러의 별명이죠

    UST is a stablecoin; and its value is pegged to the greenback. Luna is the native token for the Terra ecosystem and the reserve currency for UST.UST differs from other stablecoins like Tether and USD Coin in that it is not backed by any real-world assets such as bonds. In this sense, the success of the Terra ecosystem is dependent on investors' confidence that the Luna in circulation will not decrease in value.What the online community managers are pointing at is the decentralized finance (DeFi) protocol Anchor, which the company used to support the price of Luna.Anchor is a savings, lending and borrowing platform built on the Terra platform, which allows users to earn up to 19.5% in yields on UST deposits and take out loans against holdings. Critics have previously pointed out that high-interest rates are unsustainable given how expensive it would be to maintain those rates.At one point, a whopping 70% of all UST liquidity was deposited into Anchor.In addition to the lawsuit, the online community managers also plan to file a police complaint after getting some 20 investors together.테라는 미국 달러와 1 대 1로 가치가 고정된 스테이블코인이다. 루나는 이 테라의 가치를 떠받치기 위해 만들어진 코인으로, 테라의 준비통화 역할을 한다.테라는 테더를 비롯한 다른 스테이블코인과 달리 채권과 같은 실물자산을 담보로 발행되지 않는다. 이런 점에서 테라의 성공은 투자자들이 루나의 공급량이 늘어도 루나의 가치가 떨어지지 않으리라 신뢰하는지 여부에 달려 있다.피해자 모임인 온라인 커뮤니티의 운영자들이 지적하는 것은 루나의 가격을 떠받치는 탈중앙 금융(디파이)인 ‘앵커 프로토콜’이다. 앵커 프로토콜은 테라 플랫폼에서 작동하는 저축과 대출 시스템이다. 투자자는 테라를 맡겨 최고 연 19.5%의 이자를 받을 수 있고 대출도 받을 수 있다.

  • 신철수 쌤의 국어 지문 읽기

    문장을 수식으로, 수식을 문장으로 바꾸는 국어 능력

    영업고정비는 기계 설비의 구입, 공장 신설, 시설 확장 등과 같이, 기업이 용이하게 현금화할 수 없는 비유동자산에 투자를 많이 할수록 증가하게 되는데 이는 지렛대의 역할을 하여 영업레버리지 효과를 일으킨다.(중략)기업은 투자 정책이 영업이익과 영업위험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할 도구가 필요한데, 이때 이용되는 도구가 바로 영업레버리지도이다. 영업레버리지도는 기업의 매출액이 변동할 때 영업이익이 변동하는 정도로, 영업이익에 대한 공헌이익으로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공헌이익이란 매출이 실제로 기업의 이익에 얼마만큼 공헌했는지를 나타내는 것으로, 매출액에서 영업변동비를 차감한 금액을 의미하고, 영업이익이란 순수하게 영업을 통해 벌어들인 이익을 나타내는 것으로, 공헌이익에서 영업고정비를 차감한 금액을 의미한다. (중략)위 수식은 … 영업고정비가 클수록 영업레버리지 효과가 증가한다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영업고정비가 증가할 경우 … 매출액이 증가할 때, 종전의 소규모 생산 시설을 유지할 때보다 영업이익의 증가 폭이 더 커지기 때문이다. 반대로 매출액이 감소할 때에는 영업고정비의 부담이 증가하여 영업이익의 감소 폭이 더 커진다. 이와 같은 원리에 의해서 영업고정비가 증가하면 영업레버리지 효과가 발생하는 것이다.이렇게 영업고정비가 증가할수록 매출액의 변동에 따른 영업이익의 변동 폭이 확대된다.-2022학년도 4월 교육청 전국연합학력평가 -영업고정비는 기계 설비의 구입, 공장 신설, 시설 확장 등과 같이, 기업이 용이하게 현금화할 수 없는 비유동자산국어 지문은 개념을 설명하는 내용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개념을 이해하는 노력

  • 영어 이야기

    duke it out은 승부가 날 때까지 싸운다는 의미입니다

    As a historic first, South Korean lawmakers are duking it out on the hotly debated topic of military exemption for global K-pop sensation BTS.On Thursday, lawmakers debated whether the waiver on mandatory military service should extend to pop artists.All able-bodied South Korean men must serve in the military for up to 21 months between the ages of 18 and 40. The law currently gives a military service waiver to sportsmen who have won medals at major international events such as the Olympics and those who have received awards at renowned classical music and dance competitions.Proponents of the military service exemption for BTS argue that the privilege should extend to popular artists that have also contributed to Korea’s national prestige.The liberal Democratic Party’s Ahn Gyu-back hosted the debate held at the National Assembly Members’ Office Building. According to the exclusive information, Korea Management Federation chief Lee Nam-kyung said there is a need to “ensure male pop artists’ active performance with the macroscopic goal of promoting national prestige and cultural development.”한국의 국회의원들이 국회에서 처음으로 K팝 가수인 BTS 멤버들에게 병역특례 혜택을 줄지에 관한 열띤 토론을 벌이고 있다.의원들은 지난 목요일 병역면제 혜택을 대중문화 예술인에게도 적용할지를 놓고 공방을 벌였다. 대한민국의 신체건강한 남성은 21세에서 40세 사이에 최장 21개월의 군 복무를 필수적으로 이행해야 한다. 현행법은 병역특례 혜택을 올림픽 등 주요 국제경기에서 메달을 딴 운동선수와 해외 유명 음악회, 무용 경연대회에서 수상한 예술인에게만 주고 있다.BTS 멤버들에게도 병역특례 혜택을 주자는 측은 이런 제도가 국위 선양에 기여한 대중문화 예술인에게까지 확대돼야 한다고 주장한다.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이번 토론

  • 최준원의 수리 논술 강의노트

    극값의 이해…'충분히 작다'면 얼마나 작아야 할까

    ‘충분히 작다’는 말은 언어적으로는 볼 때는 그 경계가 다소 불분명한 표현처럼 보이지만 수학에서는 명확히 두 가지 의미로 쓰인다. 첫 번째는 크기가 존재하므로 ‘0’은 아니라는 의미고, 두 번째는 필요한 만큼 얼마든지 그 크기를 작게 할 수 있다는 의미다.따라서 수리논술의 논증 추론 문제에서 ‘충분히 작다’는 표현이 나오면 위와 같이 직관적이고 자명하게 이해되는 수학적 기본 공리로서 증명 과정에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 특히 극값의 정의나 롤의 정리 등에서 필수적으로 쓰이는 개념이므로 본문을 참고해 문제 풀이에 잘 활용할 수 있도록 하자. 포인트수리논술 문제에서 ‘충분히 작은 h’라는 표현은 문제풀이 단계에서 필연적으로 h→0일 때의 극한으로 귀결된다.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우리말 'ㄹ'의 아름다움 알린 정재도 선생

    “우주를 이루는 천체가 모두 ‘ㄹ’로 이뤄져 있다. 하늘, 날(해), 달, 별…. 땅도 온통 ‘ㄹ’로 덮여 있다. 들, 길, 풀, 개울, 여울, 이슬, 노을….”(정재도 《우리말의 신비 ‘ㄹ’》) ‘ㄹ’은 우리말에서 닿소리(자음) 19개 가운데 가장 많이 쓰이는 글자다. 우리말을 빛나고 아름답게, 부드럽게 이끄는 데 단연 첫손가락에 꼽을 만하다. 원로 언론인이자 한글 연구가인 정재도 선생은 생전에 ‘ㄹ’을 끄집어내 ‘우리말의 알맹이를 이루는 신비로움’이라고 극찬했다. 지난 5월 22일은 선생이 세상을 떠난 지 7주년 되는 날이었다. 하늘·날·달 등 우주천지가 ‘ㄹ’로 이뤄져‘ㄹ’이 역사상 처음 출현한 것은 당연히 1446년 훈민정음 반포 때다. 이때 세종대왕은 정음 스물여덟 자를 반포하면서 《훈민정음(해례본)》을 함께 펴냈다. 글자를 만든 취지를 비롯해 각 글자의 음가와 운용 방법 등을 설명한 책이다. “ㄹ. 半舌音. 如閭字初聲.”(ㄹ. 반설음. 여려자초발성.) 이 책은 한자로 쓰였는데, ‘ㄹ은 반혓소리니, 閭(려) 자에서 처음 나는 소리와 같다’는 뜻이다.참고로 흔히 ‘훈민정음’이라고 할 땐 두 가지 뜻이 있다. 하나는 1443년 세종이 직접 창제한 우리나라 글자를 이르는 것으로, ‘한글’로 불리기 전의 원래 이름이다. 다른 하나는 3년 뒤인 1446년 반포할 때 펴낸 책 이름으로서의 《훈민정음(해례본)》이다. 1940년 경북 안동에서 발견돼 비로소 세상 빛을 봤다. 우리나라 국보이자 1997년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지정됐다. 간혹 이를 오해해 훈민정음이라는 문자 체계, 즉 한글이 유네스코 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