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다시 소환된 'OOO 씨' 논란

    1997년 말 치러진 제15대 대선은 ‘김대중 대통령-김종필 국무총리’ 체제의 공동정부를 탄생시켰다. 대선을 앞두고 성사된 이른바 ‘DJP연합’에 따른 것이었다. 이듬해 8월 국회 본회의장. 대정부질문에 김종필 국무총리가 답변에 나섰다. 총리로서 23년 만이었다.“공작정치의 장본인인 김종필 씨는 용퇴해야 한다.” 당시 야당인 한나라당 S의원이 김 총리를 ‘씨’라고 부르며 공세를 펼쳤다. 여당 의원석에서 곧바로 “그만해” “당장 나가”라는 고성이 터져 나오면서 분위기가 순식간에 험해졌다. 이어 나온 여당의 Y의원은 “일국의 국무총리를 어떻게 ‘씨’라고 호칭할 수 있느냐”며 “용어 선택에 주의해 달라”고 질타했다. ‘씨’는 특별한 직함 없을 때 붙이는 말이 일화는 우리말 ‘씨’의 미묘한 쓰임새를 잘 보여준다. 누구나 알고 있는 것 같지만 의외로 용법이 까다롭다. 문법적으로도 명사, 의존명사, 대명사, 접미사 등 여러 가지로 쓰여 구별하기가 쉽지 않다. 그중에서 늘 논란이 되는 것은, 주된 용법인 의존명사로서의 쓰임새다.이 말은 호칭어와 지칭어 양쪽으로 쓰이는데, 상대가 특별한 직함이 없을 때 무난하게 붙일 수 있어 일상에서 널리 쓰인다. 너무 흔하다 보니 ‘씨(氏)’가 한자어라는 의식도 희박해진 것 같다. 우리말 되살리기에 평생을 바친 한글학자 외솔 최현배 선생은 일찍이 한자어로 된 “김 공(公), 최 형(兄), 박 씨…” 등의 호칭을 순우리말인 ‘-님’으로 대체해 부르기도 했다. 일본 유학 시절인 1920년대 일이다. 100년 가까이 지난 뒤 은행 등 공공장소를 비롯해 인터넷

  • 영어 이야기

    특정분야 사람들끼리 쓰는 유행어는 buzzword

    Hankyung Geeks received fundraising data on 418 early stage startups between April 2021 and this March from venture capital information platform TheVC. The startups received a total 3.5 trillion won ($2.8 billion) from 581 investors. Venture capitalists were the most interested in software as a service (SaaS) and logistics automation solutions.Hankyung Geeks categorized the startups that succeeded in fundraising into eight sectors. Below are the categories: (ellipsis)2. VeganismWhen it comes to what we put and wear on our body, veganism is the new buzzword.From beauty to fashion, marketers highlight those startups abstaining from the use of all animal products, including byproducts such as honey, in line with the move toward clean beauty and ethical consumption. Notable vegan brands that fared well in the target period include Aromatica, Surebase and AMUSE, to name a few.스타트업 전문 매체인 한경긱스는 벤처투자 정보 업체 더브이씨로부터 작년 4월부터 올해 3월까지 1년간 초기 단계 스타트업 418곳의 투자유치 현황을 입수했다. 이 기간 스타트업들은 581개 투자사로부터 총 3조5000억원의 자금을 받았다. 벤처 투자자들이 가장 관심을 보인 사업은 서비스형 소프트웨어(SaaS)와 물류 자동화 솔루션이었다.한경긱스는 투자 유치에 성공한 스타트업들의 특징을 아래와 같이 여덟 가지 유형으로 분류했다. (중략)2. 채식주의몸에 바르거나 입는 것이라면 요즘 가장 핫한 유행어는 채식주의(비거니즘)다.뷰티부터 패션업종에 이르기까지 마케터들은 동물과 관련한 원료를 전혀 사용하지 않는, 심지어 꿀과 같은 부산물도 포함하지 않는 비거니즘을 띄우고 있다. 이는 클린 뷰티, 윤리적 소비와도 일맥상통한다. 아로마티카, 슈어베이스, 어뮤즈 등이 비거니즘을 앞세워 투자 유치에 성공한 대표적인 브랜드들이다.

  • 신철수 쌤의 국어 지문 읽기

    등가 비교 연산, 대소 비교 연산을 하며 읽어야 하는 글

    피사체로부터 반사된 빛은 촬영 렌즈를 통해 들어와, 주 반사 거울에서 반사되거나 주 반사 거울을 통과하게 된다. 주 반사 거울에서 반사된 빛은 뷰파인더로 보내져 촬영자가 피사체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게 해 준다. 한편 주 반사 거울을 통과한 빛은 보조 반사 거울에서 반사되어 한 쌍의 마이크로 렌즈를 통과하면서 분리되고 각각의 AF 센서에 도달하게 된다.<그림>과 같이 한 쌍의 마이크로 렌즈를 지난 빛들이 각각의 AF 센서 표면의 한 점에서 수렴되면, 이 두 점 사이의 간격인 위상차 값 X가 광학적으로 이미 결정되어 있는 위상차 기준값과 일치하게 되어 AF 센서는 초점이 맞았다고 판단한다. 하지만 <그림>의 상황과 달리 마이크로 렌즈를 지난 빛들이 AF 센서에 도달하기 전에 수렴하게 되면 빛들은 각각 AF 센서의 b 영역과 c 영역에 퍼져서 도달한다. 이 경우 측정된 위상차 값은 정해진 위상차 기준값보다 작아지기 때문에 초점을 맞추기 위해 촬영 렌즈를 뒤로 이동시킨다. 반대로 마이크로 렌즈를 지난 빛들이 AF 센서에 도달할 때까지 수렴하지 못하게 되면 빛들은 각각 AF 센서의 a 영역과 d 영역에 퍼져서 도달한다. 이 경우 측정된 위상차 값은 정해진 위상차 기준값보다 커지기 때문에 초점을 맞추기 위해 촬영 렌즈를 앞으로 이동시킨다.-2022학년도 4월 교육청 전국연합학력평가-반사된 빛은 … 주 반사 거울에서 반사되거나 주 반사 거울을 통과하게앞에서 등가 비교 연산이라는 것을 생각하며 글을 읽어야 함을 말한 적이 있다. 즉 입력(값)이 판정 기준(값)과 같냐, 다르냐에 따라 두 가지 판정을 하며 읽는 것이다. 지문에서 ‘반사된 빛’이 입력에, ‘반사’냐 ‘

  • 최준원의 수리 논술 강의노트

    문제 해결 위해 이용 가능한 '최적의 전략' 세워보자

    출제자가 요구하는 것이 무엇인지 정확하게 파악하고 이에 대한 최적의 전략을 세우는 것이 수학 문제 풀이의 핵심이다. 특히 수리논술에서는 제시문이 주어지므로 이를 최대한 활용해야 한다.제시문에는 출제자가 해당 문제를 만든 배경에 대한 정보 및 출제자의 의도가 담겨 있으므로 수험생은 제시문에 주어진 내용을 종합해 출제자가 원하는 답안을 쓰기 위한 맞춤 전략을 세워야 한다. 포인트A=B 라는 사실을 증명하려면 A-B=0 또는 A÷B=1 임을 보이는 것과 같은 ‘최적의 전략’을 세워야 한다.

  • 영어 이야기

    접두어 uni는 1, deca는 10, hecto는 100을 의미해요

    Viva Republica Inc., the Seoul-based fintech company behind Toss, is in the process of a pre-IPO round worth 1 trillion won. While the fintech startup was aiming for a valuation of over 20 trillion won, its market capitalization has plunged to 12 trillion won.Earlier this year, Viva Republica was widely expected to become the country's fourth decacorn - a private, venture-backed company with a valuation of at least $10 billion- after its IPO.Not all is lost in the bear market, with some experts saying the time is ripe to filter out the lackluster startups from the promising ones. In other words, some are hopeful that venture capital firms will conduct more stringent due diligence.Optimists are saying that the Ice Age that followed the Dot- Com Bubble of the 1990s will not repeat in the venture capital sector. Unlike the internet companies of yore, much of the startup and VC ecosystem is buoyed by government funding, such as pension funds.핀테크 금융회사 토스를 운영하는 비바리퍼블리카는 1조원 규모의 프리 IPO를 진행하고 있다. 이 회사는 20조원 이상의 기업가치를 목표로 했지만 최근 12조원 수준으로 가치가 급락했다.올해 초만 해도 비바리퍼블리카는 기업공개를 마치면 기업가치가 100억달러를 웃돌며 한국에서 네 번째 데카콘 반열에 오를 것으로 기대를 모았었다.약세장이라고 해서 모든 기업이 어려움을 겪지는 않을 전망이다. 일부 전문가는 벤처시장이 성숙 단계로 접어들면서 스타트업 사이에서 ‘옥석 가리기’가 본격화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고 있다. 벤처캐피털 회사들이 더욱 엄격한 잣대로 스타트업을 평가할 것이라는 얘기다.낙관론자들은 1990년대 닷컴버블 이후와 같은 투자 빙하기는 오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당시 인터넷 기업들과 달리 지금은 대부분의 스타트업과 벤처캐피털이 정부 정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破釜沈舟 (파부침주)

    ▶한자풀이破 : 깨뜨릴 파釜: 솥 부沈: 가라앉을 침舟: 배 주솥을 깨뜨리고 배를 가라앉히다죽을 각오로 싸우려는 의지를 비유   -《사기(史記)》세우기는 어려워도 허망하게 무너지는 게 나라다. 중국 최초의 통일 국가 진(秦)이 그랬다. 급격히 추진된 통일정책과 대규모 토목공사로 동요하는 민심에 진시황의 탄압정책은 기름을 부었다. 폭정을 견디다 못한 백성들은 시황제가 죽자 여기저기서 들고일어났다.진나라는 장군 장한(章邯)을 내세워 항량(項梁)을 정도에서 격파했다. 장한은 항량을 죽인 여세를 몰아 조왕(趙王)을 크게 물리치고 쥐루를 포위했다. 항량의 조카 항우가 영포를 보내 막게 했지만 역부족이었다. 조왕의 대장 진여가 항우에게 다급히 구원병을 요청했다.항우는 진나라를 치기 위해 직접 출병했다. 항우의 군대가 막 장하를 건넜을 때다. 항우는 갑자기 타고 온 배를 부숴서 침몰시키라고 명했다. 싣고 온 솥마저 깨뜨려 버리고 주위의 집들 모두 불태워 버리라고 했다. 그리고 병사들에겐 달랑 3일치 식량을 나눠줬다. 돌아갈 배도 없고 밥 지어 먹을 솥마저 없었으므로 병사들은 결사적 싸움 외에 달리 선택이 없었다. 출진 명령에 무섭게 적진으로 돌격해 아홉 번을 싸워 진나라 주력부대를 궤멸시켰다. 이 싸움의 승리로 항우는 제장(諸將)의 맹주가 되었다. 유방이 다시 항우를 꺾고 한나라를 세우니, 통일진나라는 불과 15년 만에 막을 내렸다.이 고사에서 유래된 파부침주(破釜沈舟)는 ‘솥을 깨뜨리고 배를 가라앉히다’란 뜻으로, 죽을 각오로 싸우려는 의지를 비유한다. 《사기》에 전해오며, 파부침선(破釜沈船) 기량침선(棄糧沈船)도 뜻이 같다.용기는 두려움이 없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노령 사회'는 왜 '고령 사회'에 밀렸나

    이 세상에서 ‘사랑’만큼 익숙하면서도 난해한 게 또 있을까? 어렸을 때는 남녀 간의 사랑이나 부모님의 사랑이 다인 줄 안다. 조금 넓혀 봐야 나라 사랑이니 우리말 사랑이니 하는 정도다. 요즘은 남자끼리 또는 여자끼리도 사랑할 수 있다고 한다. 사회가 발전하면서 우리말도 바뀌는 것은 당연지사다. 사전에 반영된 ‘사랑’ 풀이가 달라지는 것 역시 자연스러운 일이다. 사회적 인식 변화에 따라 말도 달라져‘애인’과 ‘연인’은 같은 말이다. ‘연애의 상대자’를 가리킨다. 1957년 한글학회가 완간한, 최초의 국어대사전 《조선말 대사전》에서의 풀이다. 그럼 ‘연애’는? 이는 ‘남녀 사이의 애틋한 사랑’을 뜻한다. 여기서 ‘사랑’은 뭘까? ‘이성의 상대에게 끌려 열렬히 좋아하는 마음’이다. 물론 좁은 의미에서의 ‘사랑’ 풀이다. 이런 말들에 공통으로 들어가는 요소는 ‘남녀 간’이다. 《조선말 대사전》 이후 국어사전에서는 모두 그렇게 풀어왔다.그런데 2012년 큰 변화가 생겼다. 이전 풀이에 있던 ‘남녀 사이’ 또는 ‘이성 간’이란 표현이 모조리 사라진 것이다. ‘어떤 상대’ 또는 ‘두 사람’이란 말이 그 자리에 들어섰다. 《웹 표준국어대사전》(국립국어원)에서의 일이다. 우리 사회 일각에서 기존 풀이가 ‘성(性)소수자 차별을 조장한다’는 지적이 일자 이를 중립적 표현으로 바꾼 것이었다. 그러자 이번에는 보수단체들이 반발했다. 국어원이 동성애를 옹호하는 표현을 썼다는 게 비판의 요지였다. 일부 종교단체 등을 중심으로 재개정을 요구하는 민원을 제기했다.국어

  • 신철수 쌤의 국어 지문 읽기

    문장을 표로, 표를 문장으로 바꾸는 국어 능력

    13. <보기>는 윗글을 이해하기 위한 학습지의 일부이다. 윗글을 바탕으로 <보기>에 대해 보인 반응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보 기 >OO 기업은 작년에 A 생산 방식으로 제품을 생산해 개당 10,000원에 100만 개를 판매하였고, 영업변동비는 개당 9,000원을 유지하였다. … B 생산 방식으로 전환할 경우 100만 개의 제품을 판매할 때 영업변동비는 개당 2,000원이 감소하여 7,000원이 되지만, 20억 원의 영업고정비를 새롭게 부담해야 한다는 예측 결과를 얻었다. 다음은 두 생산 방식의 판매량이 10% 증감했을 때를 가정한 표이다.① OO 기업이 A 생산 방식을 유지한다면 영업레버리지 효과는 기대할 수 없겠군.② OO 기업이 B 생산 방식으로 전환한다면 판매량이 그대로 유지되어도 영업이익은 감소하겠군.③ OO 기업이 B 생산 방식으로 전환한 후 판매량이 10% 증가한다면 영업이익은 30% 증가하겠군.④ OO 기업이 올해의 사업 전망을 부정적으로 예측한다면 A 생산 방식을 유지하는 것이 유리하겠군.- 2022학년도 4월 교육청 전국연합학력평가-① OO 기업이 A 생산 방식을 유지한다면 영업레버리지 효과는 기대할 수 없겠군.①의 적절성의 여부를 판단하는 지문의 내용은 ‘생산 방식의 전환은 … 영업레버리지 효과의 변화를 가져’온다는 것이었다. 이는 생산 방식을 전환하지 않는다면, 즉 유지한다면 영업레버리지 효과는 변하지 않는다는 의미다. 따라서 ①은 적절한 말이다.② OO 기업이 B 생산 방식으로 전환한다면 판매량이 그대로 유지되어도 영업이익은 감소하겠군.②는 적절하지 않은 말이다. 이를 알아보기 위해 <보기>의 내용을 간단히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이를 바탕으로 ‘영업이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