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임재관의 인문 논술 강의노트
모든 문제는 하나의 주제를 갖고 있다
지난 시간 제시한 경희대 2022학년도 수시 기출문제(생글생글 9월 26일자 16면)를 풀어보겠습니다.[논제I] [다]의 시각에서 [가]와 [나]의 상황에 대해 평가하시오. [701자 이상 ~ 800자 이하: 배점 40점]답안을 구체적으로 구상하기 전 모든 문제에 ‘주제와 논지’가 있다는 것을 명심해야 합니다. 주제란 ‘중심이 되는 문제’입니다. 하나의 제시문이 하나의 주제를 갖는 것처럼, 하나의 문제도 하나의 주제를 갖고 있습니다. 따라서 제시문 (다)를 중심으로 (가)와 (나)를 훑어보면서 제시문들이 공유하고 있는 주제를 포착할 필요가 있습니다.기준제시문인 (다)는 뉴올리언스의 사례를 보여줍니다. 이 제시문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을 인용해볼까요? ‘그들의 이름 자체가 상호부조와 기쁨이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인간관계 안에서 서로를 묶어주는 유대가 의무인 동시에 축복임을 보여준다. 뉴올리언스 사람들은 잦은 축제 속에서 전통과 고향과 서로에 대한 유대를 새롭게 다졌다.’ 이 제시문은 공동체 속 상호부조와 축제를 통한 유대적 관계를 보여주고자 하네요. (가)와 (나)까지 훑어보니 ((가)는 정확히 이해되지 않았더라도 (나)는 어느 정도 빠르게 파악할 수 있죠?) 공통 주제가 ‘건전한 관계맺음’에 있다는 것을 어렴풋이 알게 됩니다.[TIP1]1. 한 문제에 엮여 있는 제시문들을 훑어보자2. 기준제시문 (다)부터 읽는 것도 방법이다. 기준제시문은 뚜렷한 핵심논지를 갖고 있기 때문3. ‘기준제시문=전체 주제’로 이해하고 대상제시문에 대입하면서 윤곽을 잡아보자여기서 힌트를 얻어 대상제시문 (가)와 (나)를 이해해보도록 하죠. (가) 제시문은 당황스럽죠? 마치 여러
-
영어 이야기
말을 타기 좋게 'leg up' 해주는 의미는?
‘Weaker won offers no leg up for Korean exporters’The steeper-than-expected decline in the won’s value is posing a grave threat to South Korean companies already struggling with rising inflation and higher interest rates.A softening won used to support Korean exporters such as Samsung Electronics Co., SK Hynix Inc. and Hyundai Motor Co. by making their products cheaper overseas. It also boosts the converted value of their overseas sales, contributing to first-half profits of major Korean exporters.But such benefits are now being outweighed by a surge in import costs accelerated by the cheaper local currency. Korean companies depend on imports of minerals and other raw materials to produce batteries, steel products and microchips.The won is the worst - performing currency among emerging Asian economies this year. It has shed 16% of its value against the greenback so far this year, hitting its weakest level in over 13 and a half years.‘한국 수출기업에 도움이 되지 않는 원화 약세’예상보다 더 가파르게 떨어지고 있는 원화 가치가 가뜩이나 인플레이션과 고금리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한국 수출기업들에 심각한 위협을 가하고 있다.원화가 약세를 보이면 삼성전자, SK하이닉스, 현대자동차 같은 한국 수출회사들은 제품 가격이 내려가는 효과가 생겨 경쟁력이 높아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주요 수출기업의 올해 상반기 해외 매출이 늘어난 것도 이런 영향이 컸다.하지만 이런 효과는 원화 가치 하락에 따른 수입비용 급등으로 상쇄되고 있다. 한국 기업들은 배터리나 철강제품, 반도체칩 등의 생산에 들어가는 광물과 원자재를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올 들어 원화는 아시아 주요 통화 가운데 가치가 가장 많이 떨어졌다. 연초 이후 원화 가치는 달러 대비 16% 하락해 13년 반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해설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옷깃'과 '소매'로 엿보는 우리말 속살
‘청렴결백(淸廉潔白)’은 일상에서도 흔히 쓰는 말이다. ‘토사구팽(死狗烹)’ 역시 중국의 <사기(史記)>에서 전하는 고사성어로 잘 알려져 있다. 하지만 말의 정확한 의미는 모른 채 상황에 따라 어림짐작으로 쓰는 경우가 많다. 이런 허점을 파고든 질문이 몇 해 전 삼성 입사시험에 나와 응시생들을 당혹스럽게 한 적이 있었다. “청렴결백과 관련한 색깔은 무엇일까?” “토사구팽에 나오는 동물은?” ‘옷깃 령(領)+소매 수(袖)’…우두머리 나타내청렴결백에서 떠올릴 수 있는 색깔은 흰색이다. 지원자들은 ‘청’에서 파란색을 연상해 오답을 낸 경우가 많았다. 단어 뜻을 정확히 모르다 보니 ‘맑을 청(淸)’ 자를 ‘푸를 청(靑)’으로 착각한 것이다. 토사구팽은 ‘토끼 사냥이 끝나면 사냥개가 필요 없게 돼 주인에게 삶아 먹힌다’는 뜻이다. 그러니 정답은 토끼와 개다. 당시 인터넷에는 토끼와 뱀, 또는 토끼와 사슴인 줄 알았다는 시험 후기가 많았다. 토끼까진 알았는데 사(死)를 ‘뱀 사(巳)’나 사슴으로 오해한 결과다. 모두 정확한 이해 없이 말을 대충 알고 쓰는 데서 비롯된 오류다.조금은 어렵지만 좋은 글쓰기를 위해 알아둬야 할 말들…. 뉴스로 다뤄졌다는 점이 다를 뿐, 이런 범주의 우리말은 주위에서 얼마든지 찾아볼 수 있다. 얼마 전 정치권에서 거론하던 ‘영수(領袖) 회담’도 그런 말 중 하나다. 일각에선 권위주의적 표현이라고 해서 가급적 쓰지 말자는 지적도 한다. 이 말이 일상의 말이 아닌, 어려운 한자말이라 오히려 기피 대상이 되는 측면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지금은 우두머리를 뜻하는 이
-
신철수 쌤의 국어 지문 읽기
어감을 고려한 의미 이해와 알아내야 할 특수 개념
아도르노는 문화 산업에 의해 양산되는 대중 예술이 이윤 극대화를 위한 상품으로 전락함으로써 예술의 본질을 상실했을 뿐 아니라 현대 사회의 모순과 부조리를 은폐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아도르노가 보는 대중 예술은 창작의 구성에서 표현까지 표준화되어 생산되는 상품에 불과하다. 그는 대중 예술의 규격성으로 인해 개인의 감상 능력 역시 표준화되고, 개인의 개성은 다른 개인의 그것과 다르지 않게 된다고 보았다. 특히 모든 것을 상품의 교환 가치로 환원하려는 자본주의 사회에서, 대중 예술은 개인의 정체성마저 상품으로 전락시키는 기제로 작용한다는 것이다.아도르노는 서로 다른 가치 체계를 하나의 가치 체계로 통일시키려는 속성을 동일성으로, 하나의 가치 체계로의 환원을 거부하는 속성을 비동일성으로 규정하고, 예술은 이러한 환원을 거부하는 비동일성을 지녀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렇기 때문에 예술은 대중이 원하는 아름다운 상품이 되기를 거부하고, 그 자체로 추하고 불쾌한 것이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에게 있어 예술은 예술가가 직시한 세계의 본질을 감상자들에게 체험하게 해야 한다. 예술은 동일화되지 않으려는, 일정한 형식이 없는 비정형화된 모습으로 나타남으로써 현대 사회의 부조리를 체험하게 하는 매개여야 한다는 것이다.- 2022학년도 9월 평가원 모의평가 - 문화 산업… 대중 예술… 상품… 모순과 부조리…표준화…상품의 교환 가치로 환원… 정체성철수 쌤이 대학에 다닐 때 1년간 신문방송학과에서 다양한 수업을 들은 적이 있다. 당시는 정치 민주화가 진행되면서 대중문화(大衆文化)가 사회에 유행처럼 번져가기 시작하고 있었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道不拾遺 (도불습유)
▶ 한자풀이 道: 길 도 不: 아닐 불 拾: 주울 습 遺: 잃을 유길에 떨어진 것을 줍지 않는다법이 잘 지켜져 나라가 태평함-<공자세가(孔子世家)> 등상군(商君)은 위(衛)나라 사람으로 이름은 앙(), 성은 공손(公孫)이다. 젊었을 때 형명학(刑名學)을 좋아해 정승 공숙좌를 섬겼다.형명학은 법으로 나라를 다스려야 한다는 학문으로, 전국시대 신불해, 상앙, 한비자 등이 주창했다. 상군은 공숙자가 죽은 뒤 위나라에서 쓰임이 없자 천하의 영재를 구한다는 소식을 듣고 진(秦)나라 효공을 찾아갔다.그는 효공을 설득해 연좌제와 신상필벌 등 변법(變法) 개혁을 단행했는데, 법 적용이 매우 엄중했다. 태자가 법을 범하자 태자의 보육관인 공자건과 사부 공손가를 처형했다. 그러자 10년쯤 뒤에는 ‘길에 떨어진 것을 줍는 자가 없고(道不拾遺)’, 백성들의 삶이 넉넉해졌으며, 군사의 사기도 높아져 싸우면 연전연승했다. <사기(史記)>에 나오는 얘기다.<한비자>에도 이와 유사한 얘기가 있다. 춘추시대 정(鄭)나라 재상 자산(子産)은 적재적소에 인재를 기용하면서 철저히 신상필벌 원칙을 지켰다. 그러니 5년 만에 도둑이 없고, 길에 물건이 떨어져도 주워 가지 않았으며, 길가에 과일이 열려도 따 가는 사람이 없었다.공자의 일대기를 담은 <공자세가>에도 비슷한 얘기가 전해온다. 노(魯)나라 정공(定公) 때 56세의 공자는 대사구(大司寇)가 돼 법 집행을 맡았다. 3개월이 지나자 거래에 속이는 일이 없어졌고, 남녀간에 음란함이 사라졌으며, 길에 떨어진 물건을 줍지 않아 관(官)의 도움 없이도 잃은 물건을 찾을 수 있었다.도불습유(道不拾遺)는 ‘길에 떨
-
최준원의 수리 논술 강의노트
평균값정리…복잡한 식을 해결하는 만능도구
평균값정리는 현재 시행되는 선택형 수능 수학의 공통 출제범위에 해당하는 수학Ⅱ 교과과정에서 배우는 기본 개념 중 하나다. 미분 가능한 함수의 주어진 구간 양 끝점을 지나는 직선의 기울기와 같은 기울기를 갖는 접선이 구간 안에 반드시 존재한다는 내용의 정리로, 증명 과정도 교과서에 상세히 기술돼 있다. 평균값정리는 내용도 중요하지만 무엇보다 이것을 도구로 활용, 해결하기 어려운 복잡한 형태의 식을 단순화해 간단하게 해결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특히 수리논술에서 일반적인 해결 방법이 떠오르지 않을 때 평균값정리가 문제를 해결하는 데 결정적 역할을 하는 경우가 적지 않으므로 이를 익숙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연습해둘 필요가 있다. 포인트일반적인 증명이 막히면 귀류법을, 복잡한 형태의 식을 만나면 평균값정리를 사용해보자.
-
신철수 쌤의 국어 지문 읽기
종 모양의 정규분포, 정점(중간값)의 의미를 이해하자
16. [A]를 적용하여 <보기>의 상황을 이해할 때, 적절하지 않은 것은은?<보기>두 정당의 정치인 갑과 을이 단일 사안에 대해 경쟁하는 다수결 원칙의 선거 상황에서 갑은 정치 성향이 중간인 M의 입장에서, 을은 R 성향인 B의 입장에서 정책을 제시하였다. 유권자는 자신의 정치 성향에 따라 단일한 정점 선호를 가지고 있으며 모두 투표에 참여한다.① 정치 성향이 M의 왼쪽에 있는 L 성향의 유권자들은 모두 갑에게 투표할 것이다.② 정치 성향이 중간인 M의 입장에서 정책을 제시한 갑이 을보다 당선 가능성이 높을 것이다.③ 정치 성향이 A인 유권자들은 자신의 정치적 선호 에 따라 R 성향의 정책을 제시한 을에게 투표할 것이다.④ 정치 성향이 B의 오른쪽에 있는 R 성향의 유권자들은 자신의 효용을 극대화하기 위해 을에게 투표할 것이다.⑤ 을이 당선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공약을 수정한다면 을은 갑이 제시한 정책과 유사한 정치 성향을 띤 공약을 내세우려 할 것이다.-2022학년도 7월 교육청 전국연합학력평가- [A]를 적용하여 … 단일 사안에 대해 경쟁하는 다수결 원칙… 단일한 정점 선호위 문제에서 ‘[A]를 적용하’라고 하였는데, 그 [A]는 다음과 같다.중위투표자 정리 모형은 단일 사안에 대해 유권자의 정치적 선호가 하나의 정점을 갖는 단일 선호일 경우, 경쟁하는 두 정당의 정치인들이 내거는 공약은 중위투표자가 선호하는 정책에 접근하게 된다는 이론이다. 이때 중위투표자란 정치적 선호에 따른 유권자 전체의 분포에서 한가운데에 위치한 유권자를 말한다. 이 모형은 몇 가지 가정을 전제로 하는데 정치적 선호에 따른 유권자들의 분포는 종 모양의
-
영어 이야기
'a stitch in time saves nine'은 유비무환의 의미죠
The currency authorities have been relatively inactive in the market, saying the dollar is strong globally. The won is expected to grow more volatile especially as the Fed is forecast to ramp up the target federal fund rate by at least 75 bps on Wednesday to a range of 3.00-3.25%, which is higher than the Bank of Korea’s benchmark interest rate of 2.50%.The South Korean central bank, which has said it would allow such interest rate discounts, may spur speculative currency trading unless the authority takes appropriate measures to stabilize the won.The BOK, along with the finance ministry and other authorities, needs to consider various steps including slower overseas investments by pension funds in addition to skilled intervention.A stitch in time saves nine. A repeated failure in currency stabilization may cause authorities to lose the market's confidence, making the won a target of global speculators.통화당국은 달러 강세가 세계적인 현장이라며 비교적 소극적으로 음직여왔다. 미국 중앙은행(Fed)이 기준금리를 0.75%포인트 대폭 인상할 것으로 예상되는데 이렇게 되면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연 2.5%를 넘어서게 된다. 따라서 원화의 변동성은 더 커질 것이다.한국은행이 한·미 금리 차를 용인하겠다는 입장을 공공연하게 밝힌 마당에 외환당국마저 원화가치 안정을 위해 적절한 조치를 취하지 않는다면 투기적 거래는 더욱 극성을 부릴 것이다. 한국은행과 재무당국은 등은 연기금의 해외투자 속도 조절과 같은 노련한 개입을 포함해 다양한 대응책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외환당국이 번번이 관리에 실패해 원화가 국제 투기 세력의 타깃이 됨은 물론 시장의 신뢰까지 잃게 된다면 호미로 막을 일을 가래로도 못막는 사태를 초래할 수 있다. 해설오늘 예문은 최근 심해지는 달러 강세, 원화 약세 현상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