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학습 길잡이 기타

    유경호의 자·수·전(31)

    자연계 논술 주제별 FINAL 「사이클로이드(Cycloid)」 ----------------------------------------------------------------

  • 학습 길잡이 기타

    2. 김동인「광염소나타」

    예술적 깨달음은 일탈에서 온다 ⊙ 진흙 위에서 별을 보다 "우리는 모두 진흙구덩이 속에 살고 있지만 그 중 몇몇은 밤하늘의 별을 바라본다." 유미주의의 대표격인 오스카 와일드의 말이다. 아무리 고단하고 부조리한 현실을 살아가더라도 정신적인 지향은 언제나 미적인 것을 추구해야 한다는 것. 우리에게 오스카 와일드는 「행복한 왕자」라는 훈훈한 감동을 주는 교훈적인 동화 작가로 더 많이 알려져 있지만 사실 그는 '도리언 그레이의 초상'과 같은...

  • 학습 길잡이 기타

    9. 토론·논술 경시대회에 무조건 참가하자

    ⊙ 들어가며… 그동안 논술 공부를 꾸준히 해왔다면 내 실력이 어느 정도인지 확인해 볼 필요가 있다. 가장 좋은 방법은 각종 논술경시대회에 참여해 보는 것이다. 요즘은 서울시교육청 등 다양한 교육기관에서 실시하는 논술 경시대회뿐 아니라 주요 언론사에서도 다양한 논술 섹션 발행과 인터넷 사이트를 통해 매주 혹은 격주 단위로 특정 주제에 대한 논술 공모를 하고 있으며,그 중 우수작은 문화상품권과 개별 첨삭 서비스까지 제공하고 있다. 또한 최근...

  • 학습 길잡이 기타

    60. 일과 관련된 영어 표현들

    important thing보다 bottom line을 더 많이 쓴다 ⊙ 중요성과 관련된 어휘들 일이나 공부에 있어서 '중요성'이 지니는 의미는 매우 크다. 어떤 일을 하건 일의 경중이 있는 법이다. 따라서 일상 대화에 있어서 '중요하다'는 표현은 한국어와 마찬가지로 영어에서도 매우 빈번히 사용된다. 필자의 경험에 의하면 대부분의 어휘 학습자들은 중요하다는 말을 쓸 때 형용사인 important만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실상 원어민...

  • 학습 길잡이 기타

    (다산칼럼) 교과서는 '문화전쟁' 대상 아니다

    박효종 <서울대 교수·정치학> ☞ 한국경제신문 9월23일자 A38면 최근 '좌편향' 역사교과서에 대한 논란이 한창이다. 사실 이 논란은 '아닌 밤중에 홍두깨 내밀듯' 갑자기 시작된 것은 아니다. 노무현 정권 때부터 줄기차게 제기돼온 문제였지만,노 정권은 책임있는 자세로 해법을 강구하기를 거부했다. 하기야 권력을 잡은 정치 386이 좌편향 역사관에 함몰됐으니 합리적 수정보다는 '초록은 동색'이라는 속언을 떠올릴 상황이었던 것이...

  • 학습 길잡이 기타

    고려대학교 2009 모의논술(인문계) 논제 1번 문제

    "학문은 지성을 다듬는 진화의 과정이다" ● 고려대학교 2009 모의논술(인문계) 논제 1번 문제 * 다음 제시문을 읽고 논제에 답하시오 . 가 학문 연구를 예술 활동과 구분 짓는 움직일 수 없는 사실이 하나 있다. 그것은 학문 연구가 진보의 과정 속에 편입되어 있다는 사실이다. 예술에는 학문 분야에서와 같은 의미의 진보가 없다. 새로운 기술적 수단을 개발했던 시대의 예술품이 그 전 시대의 예술품보다 순수한 예술적 관점에서 항상...

  • 학습 길잡이 기타

    개정판 <표준국어대사전>이 나온다

    다시 국감의 계절이 돌아왔다. 다음 달 6일부터 25일까지 올 정기국회 국정감사가 벌어진다. 10여 년 전부터 국어 관련 실태와 정책 집행의 문제점이 꾸준히 국감 소재로 다뤄져 왔다. 우리 말글의 소중함에 대한 인식이 그만큼 커졌음을 뜻하기도 하지만 한편으로는 국감에서 거론될 만큼 말글 사용의 실태가 어지러워졌다는 방증이기도 하다. 그 중에서도 2002년 당시 윤철상 민주당 의원이 문화관광부 감사에서 지적한 <표준국어대사전>의...

  • 학습 길잡이 기타

    62. 문장 속 군더더기

    '-에 대한/ -에 대해' '세살 적 버릇 여든까지 간다'는 말이 있다. 어릴 때 밴 나쁜 버릇이 평생을 간다는 뜻이다. 글쓰기에도 이런 나쁜 습관이 있는데 그 중 하나가 '~에 대한(대해)'의 남용이다. 글쓰기 훈련 초기에 바로 잡아야 하는 것이지만 자칫 이를 깨닫지 못하고 넘어가면 나중엔 어색한지도 모르고 쓰게 된다. 이 표현은 대개 의미상으로 필요 없이 덧붙이는 경우가 많아 문장을 처지게 만든다. 당연히 톡톡 튀는 글맛도 없어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