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글생글
-
스도쿠 여행
스도쿠 여행 (73)
18세기 스위스의 천재 수학자 레온하르트 오일러가 고안한 스도쿠(Sudoku)는 가로와 세로 9×9의 상자 안에 1부터 9까지 숫자를 수직·수평은 물론, 작은 3×3 상자 안에서도 서로 겹치지 않게 써 넣는 퍼즐게임입니다. 어느 한 곳의 숫자가 틀리면 스도쿠는 실패하게 됩니다. 스도쿠는 푸는 재미는 물론, 자신도 모르게 논리적·수학적 지능을 높이는 효과도 있어 세계적으로 인기를 모으고 있습니다. 생글생글 독자들의 높은 수준을 감안해 다소 ...
-
커버스토리
세계인이 주목하는 美대선, 내일 치른다
미국 대통령 선거가 코 앞으로 다가왔다. 지금으로서는 민주당 버락 오바마 후보가 존 매케인 후보보다 지지율에서 5~8%의 우세를 보이며 백악관에 성큼 다가서고 있다. 지난달 25일 정치전문 매체인 리얼클리어 폴리틱스에 따르면 오바마의 지지율이 매케인보다 평균 7.9%포인트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하지만 최종 투표 결과가 반드시 오마바의 승리를 보장한다고 장담할 수는 없다. 결국 박빙의 승부가 벌어질 '스윙 스테이트(그네 주)'의 선거인단...
-
테샛 참가 감사합니다
어느 새 11월입니다. 이제 수능이 10일밖에 남지 않았습니다. 고 3 수험생과 재수생 여러분은 그동안 쌓은 실력을 바탕으로 마무리를 잘 하시기 바랍니다. 생글생글은 기획으로 수능대비 식사 관리 어떻게 할 것인가를 실었습니다. 체력은 국력이라지만 체력은 지력의 바탕도 되기도 하는 것입니다. 하루종일 책상에 앉아있다 보면 소화도 잘 되지않고 변비를 호소하는 친구들도 많습니다. 계속 책상에만 매달리지 말고 바깥 공기도 마시면서 건강 관리...
-
경제 기타
서울대 산학협력 기술지주사 생긴다 등
⊙ 서울대 산학협력 기술지주사 생긴다 교육과학기술부는 29일 서울대의 '서울대학교 기술지주주식회사',삼육대의 'SU 홀딩스' 등 두 개의 산학협력 기술지주회사 설립을 인가했다고 밝혔다. 서울대학교 기술지주주식회사는 현대상선 사장을 지낸 노정익씨가 대표이사를 맡았으며 총 자본금 69억4300만원(현물 39억4300만원,현금 30억원) 규모로 전액 서울대 산학협력단에서 출자한다. 서울대는 세계 50위권의 이공계 기술,코스닥 및 나스닥에 상장된...
-
경제 기타
韓美 중앙은행간 원화 달러 맞바꾼다
통화스와프 계약…원·달러 환율 안정될 듯 한국과 미국이 원화와 달러화를 상호 교환하는 통화스와프를 체결한다. 이에 따라 한국은 외환위기 등으로 달러가 부족해지면 원화를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에 맡기고 그만큼의 달러화를 가져올 수 있게 됐다. 이로써 그동안 우리 경제를 괴롭혀온 달러부족 현상과 국가부도 우려,이로 인한 환율 급등 등이 동시에 해소될 것으로 기대된다.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는 29일 새벽(한국시...
-
경제 기타
석유가 고갈되고 있다고…거짓말 마?
"땅속 깊은 곳에 뭐가 있나 알 수 없어" 반론도 많아 원유 수요 감소 전망에 유가 60$대로 급락세 국제 유가가 글로벌 금융위기를 겪는 와중에 널뛰듯 요동치고 있다. 올해 초 배럴당 90달러대 수준이던 서부텍사스원유(WTI)는 지난 7월 배럴당 147달러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가 이달 들어 다시 60달러대 초반까지 뚝 떨어졌다. 골드만삭스는 WTI가 배럴당 100달러를 돌파했던 지난 5월 "향후 2년 안에 국제유가가 배럴당 200달러...
-
커버스토리
복잡해도 알고 보면 재밌는 미국 대통령 선거제도
Q. 선거인단과 승자 독식이란. A. 대통령을 뽑는 선거인단 수는 총 538명이다. 이 숫자는 미국 상·하원을 합한 수인 535명에 워싱턴 D.C.대표 3명을 더해 538명으로 구성된다. 선거인단은 각 주에 인구 비례 등을 감안해 캘리포니아 55명, 텍사스 34명, 뉴욕 31명, 플로리다 27명 등으로 할당된다. 문제는 승자 독식이라는 재미있는 제도다. 승자 독식이란 11월4일 투표 결과 총득표 수가 '한 표라도 많은 쪽이 그 주의 선...
-
커버스토리
美대통령은 '선출된 군주'…막강 파워 자랑
전리품은 승자의 것 '엽관제' 정착 승리한 정당이 주요 공직 독차지 미국은 자유 민주주의와 개인주의를 기반으로 1776년 영국으로부터 독립을 선언했다. 당시로서는 세계적으로 유례가 없던 대통령제를 새로 탄생시켰다. 미국을 만든 사람들은 식민 종주국이었던 영국과는 다른 정부 형태를 만들고 싶었으며 강력한 중앙정부의 등장을 희망했다. 이런 배경 아래 탄생한 대통령제는 19~20세기 신흥국들의 새로운 체제 모델이 됐으며 끊임없는 논란 속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