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대학 생글이 통신

    공부 스트레스 풀기엔 활발한 소통이 최고

    세계적으로 우리나라만큼 고등학생들의 입시 스트레스가 심한 나라가 없죠. 대학 진학 과정에서 엄청난 경쟁 압력을 받아가며 학업에 몰두해야 하니 스트레스가 이만저만 아닙니다.그런데 이 스트레스를 다스리지 못하고 압도당한다면 집중력 감퇴와 기억력 감소, 수면 방해 등으로 학업에 악영향이 올 수 있습니다. 따라서 학업 과정의 스트레스를 학생 스스로 관리하고 효과적으로 대처하는 것이 정말 중요합니다. 저는 고등학교 시절 이런 스트레스를 어떻게 관리했는지 공유하고자 합니다.첫 번째 방법은 ‘친구, 가족과 소통하는 것’입니다. 고등학생들은 공부에 몰두하느라 친구나 가족과의 소통이 현저하게 줄어들 수 있어요. 바쁜 일정 속에서도 친구나 가족과 함께 시간을 보내며 서로의 스트레스를 공유하고 위로해주는 일은 아주 중요합니다. 대화를 나누며 공부 꿀팁을 공유할 수 있고, 공부와 전혀 관계 없는 이야기를 하면서 잠시나마 학업 스트레스에서 벗어날 수도 있습니다. 식사를 할 때나 어딘가로 이동할 때 같은 짧은 시간이라도 서로 대화를 나누는 것은 긍정적 에너지를 얻을 수 있는 기회입니다.두 번째 방법은 ‘가사가 좋은 노래를 듣는 것’입니다. 음악은 우리의 감정과 정서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가사 내용이 긍정적이고 뭔가 격려해주는 듯한 노래를 듣는 것은 마음을 안정시키고 스트레스를 해소하는 데 매우 효과적이지요. 제 주변엔 시험을 볼 때 머릿속에서 노래가 맴돌까 봐 걱정되어 노래를 안 듣는 친구도 몇몇 있었습니다. 실제로 자극적이고 중독적인 노래는 문제를 풀 때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수능 금지곡’ 같은 노래는 추

  • 최준원의 수리 논술 강의노트

    수능 최저기준 일부 상향…동점자 처리 기준 유념해야

    경희대학교는 수리논술을 준비하는 학생들에게는 수리논술 합격을 위한 올바른 대비 전략의 기준을 제시하는 학교라고 할 수 있다. 경희대는 미적분 2~3등급대의 성적을 유지하면서 확률과 통계 및 기하의 개념을 빠짐없이 정리하고, 논술 답안 작성 훈련을 꾸준히 병행해온 학생들이 합격할 수 있는 가장 표준적인 대학이다. 따라서 경희대 수리논술 문제를 논술 답안으로 작성하는 데 어려움 없이 소화해낼 수 있는지가 경희대를 비롯해 다른 대학들의 수리논술 합격을 가늠할 수 있는 기준이 된다.경희대는 출제 난이도가 대체로 평이하고 경쟁률이 높은 만큼 동점자 처리 기준까지 감안해 논술 답안을 꼼꼼하고 자세하게 작성하는 연습을 해야 한다. 동시에 수능 최저기준도 가능한 한 높은 등급으로 확보하는 것이 좋다. ▶경희대학교 수리논술 대비전략 주요포인트◀1. 미적분 2~3 등급대 성적 유지 및 수능최저기준 확보- 탐구영역 최저기준 상향 (과탐 1과목 → 탐구 2과목 평균 반영)- 수능 전에 논술 대비 마쳐야 (8월~10월에 집중 대비)2. 동점자 처리기준 확인 (25’수시모집요강 추후 확인필요)- 논술난이도가 대체로 평이하고 선발인원 적어 당락에 영향- 문항배점 우위자 > 수능최저 등급합 우위자 > 수능 영역별 등급우위자 순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고무줄같이 늘었다 줄었다 하는 '1년째'

    “지역 경제를 지탱하는 상점들은 대부분 컨테이너 가건물에 의존하는 실정이고, 남은 주민들도 텐트와 가건물을 1년째 전전하고 있다.” 지난 2월 6일은 튀르키예 강진이 발생한 지 꼬박 1년이 되는 날이었다. 21세기 최악의 재해 중 하나로 꼽히는 튀르키예 지진 1년을 맞아 주요 언론은 일제히 로포를 실었다. 기사마다 등장한 핵심어 중 하나가 ‘1년째’다. 우리가 주목하는 것은 이 말의 고무줄 같은 쓰임새 때문이다.1년의 한 달 전후도 ‘1년째’라고 해‘1년째’는 몇 차례에 걸쳐 살펴보고 있는, 우리말에서 모호한 말, 대충 쓰는 말 중 하나다. 자칫 커뮤니케이션의 실패를 불러올 수 있는 말이란 점에서 이 말을 살펴봐야 한다. 우선 이 말을 특징 지우는 ‘-째’의 용법을 알아보자.‘-째’는 두 가지로 쓰인다. 하나는 차례나 등급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다. ‘두 잔째’ ‘세 바퀴째’ 같은 게 그런 쓰임새다. 다른 하나는 ‘동안’의 뜻을 더한다. 이때도 접미사다. ‘사흘째’니 ‘며칠째’ 같은 게 그런 예다. ‘차례’ 용법은 횟수를 나타내는 것이라 시빗거리가 되지 않는다.‘동안’은 좀 다르다. ‘동안’은 계속 이어지는 기간을 말한다. 그런데 단위가 커지면 두루뭉술해진다. 가령 닷새째니 일주일째니 하는 단수 개념은 명쾌하다. 6일 또는 8일 된 것을 일주일째라고 하지 않는다. 딱 7일째를 일주일째라고 한다. 하지만 한 달째 정도 되면 ‘엄격함’이 떨어진다. 며칠 모자라거나 조금 넘는 것도 두루 한 달째라고 한다. 이게 1년째쯤 되면 더 심해진다. 365일 꽉 찬 것을 두고 말하는 경우는 별로 없다. 1

  • 대입전략

    학생부교과·종합, 논술전형 수능최저<53.8%> 적용 늘어…연세·고려·성균관·경희·이화 등 논술 100으로 선발

    수시모집 학생부 위주 전형은 내신이 당락에 큰 영향을 끼친다. 동시에 수능 성적의 영향력도 상당하다. 주요대의 수시 수능최저학력기준은 높은 수준을 요구해 ‘내신+수능’ 전형이라고 불릴 정도다. 수시에 집중하는 수험생이라고 해도 수능 학습은 포기하지 말아야 한다. 2025학년도 주요 11개 대학의 수시 수능 최저에 대해 분석해본다.주요대 상당수가 수시에서 수능최저학력기준을 적용한다. 특히 학생부교과 전형은 ‘내신+수능’, 논술 전형은 ‘논술+수능’이라고 부를 수 있을 정도로 수능 최저의 영향력이 막강하다. 주요 11개 대학 학생부교과, 종합, 논술 전형에서 수능최저학력기준을 적용해 선발하는 인원은 전년 7561명(46.6%)보다 크게 증가한 8747명(53.8%)에 달한다.학생부교과를 살펴보면 2025학년도 연세대와 한양대가 수능 최저를 반영하면서, 주요 11개 대학 중 연세대·고려대·성균관대·서강대·한양대·중앙대·경희대·한국외대·서울시립대 등 9개 대학에서 수능 최저를 요구한다.서울대는 학생부교과 전형을 선발하지 않는다. 10개 대학 학생부교과 총선발 인원 기준으로 보면 인문은 90.0%(2000명 중 1799명), 자연은 87.1%(1547명 중 1348명)가 수능 최저를 적용해 선발한다. 수능 최저 요구 수준도 높다. 고려대 학교장추천 전형을 예로 들면, 국수영탐(2) 4개 영역 중 3개 등급합 7을 맞춰야 한다. 수능 영역별로 1~2등급을 받아야 하는 수준이다.이화여대는 학생부교과에서 수능 최저를 요구하지 않는다. 수능 성적에 부담을 느낀 상위권 학생들이 몰리면서 1등급대 초반에서 내신 합격선이 형성될 가능성이 높다. 실제 2023학년도 이화여대 학생부

  • 대학 생글이 통신

    입시는 긴 싸움…운동이 집중력 높여준다

    새 학기가 시작됐습니다. 많은 학생이 성공적인 한 해를 보내기 위해 열정적으로 학교생활을 하고 있겠죠? 그런데 초반부터 앞만 보고 달리다 보면 정신적·체력적으로 힘든 시기가 금방 찾아옵니다. 긴 입시 기간을 어떻게 버텨나가는 게 현명할까요?제 경우 고등학교 2학년 2학기에 힘든 시기가 찾아왔습니다. 곧 고3이 되는 데다 계속해서 잘해야 한다는 압박감이 정말 컸죠. 지금 저와 비슷한 과정을 겪고 있는 학생이 많을 텐데요, 그럴 땐 운동을 해보세요. 저는 공부에 피해를 주지 않는 선에서 달리기를 하거나 자전거를 탔습니다. 여기서 주의해야 할 점은 운동을 공부보다 우선순위에 두어선 안 된다는 것입니다.시간을 정해놓고, 자신이 감당할 수 있을 만한 운동을 하는 것이 건강한 수험 생활에 도움이 됩니다. 그래서 저는 하루 1시간씩 매일 운동을 했습니다. 생각보다 긴 시간이지만, 이를 통해 체력이 좋아지는 것을 느꼈고 집중력을 향상하는 데도 큰 도움이 되었죠.저는 고등학교 2학년 때까지 운동에 대해 부정적이었습니다. 공부할 시간이 줄어드는 데다 운동하고 나면 피곤해지는 등 체력적으로 감당이 안 된다고 생각했죠. 그래서 운동할 시간에 차라리 공부를 하겠다고 다짐했어요. 그렇게 운동은 전혀 하지 않았는데, 그 때문인지 공부에 집중이 잘 안 됐습니다.2학기가 되어 저는 학교에서 맡은 일이 많아 여러 가지 복잡한 생각을 자주 하는 편이었습니다. 이게 스트레스를 낳는 원인이 되었죠. 하지만 운동을 시작하고 나서는 공부에 집중이 잘되었습니다. 운동하는 동안엔 잡생각이 들지 않았고, 스트레스도 많이 해소됐기 때문이죠.공부를 할 때는 체력 관리가 중요합니다. 몸이

  • 학습 길잡이 기타

    '집합'으로 명제의 참·거짓 구분할 수 있어

    지난 지면(2024년 3월 4일 자)에서는 ‘논증’을 다뤘는데, 이는 어떤 주장을 담은 문장(명제)을 근거가 되는 문장(명제)으로 뒷받침하는 것을 말하죠. 구조에 따라 연역논증과 귀납논증으로 구별할 수 있습니다.오늘은 논리적 대화 혹은 글을 쓰는 상황에서 생길 수 있는 오류 위주의 이야기를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이러한 시각에 익숙해지면 중요한 토론에서 나의 오류를 감추고 상대 주장을 꺾을 수 있습니다. 자신의 글이나 소논문을 비판적으로 바라보고 수정해나갈 수 있는 기회가 될 수도 있겠네요.기본적으로 논증은 (참인 근거)+(옳은 형식)=(참인 주장)으로 이루어집니다. 여기서 근거와 형식, 둘 중 하나라도 무너지면 설령 주장 명제가 참일지라도 논증이 빛바랠 것입니다.먼저 근거가 되는 문장을 분석해봅시다. 근거가 되는 문장 각각은 하나의 명제로서 이 명제가 거짓임을 밝히는 가장 좋은 방법은 반례를 찾는 것입니다. 명제의 가정을 만족하지만, 결론을 만족하지 못하는 예를 찾아내면 됩니다. 그 후에 이 문장은 반례가 있기에 참이 아니라고 지적한다면 논증이 무너지게 됩니다.명제인 한 문장을 이루는 앞부분은 가정, 뒷부분은 결론이라고 지칭하는 것은 비교적 상식입니다. 그러나 그 명제가 참임을 인지하는 데는 약간의 직관과 언어적 상식을 바탕으로 할 수밖에 없습니다. 이러한 점을 그 어떤 이견(異見)도 없도록 확실하게 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개념이 필요합니다. 문단(논증)에서 문장(명제)으로 분해한 것을 더 작게 분해해서 봐야 합니다.이러한 측면에서 이론적으로 명명백백하고 완벽하게 표현 가능한 시스템을 구축하고자 독일의 수학자 게오르크 칸토어는 ‘집합&rsqu

  • 영어 이야기

    침묵하거나 반응이 없을 때는 'mute'

    South Korea has remained muted to a new gold rush fueled by various central banks gobbling up the precious metal.According to the World Gold Council, total gold holdings by central banks across the globe added 39 tons in January, extending the latest gold run after reaching 1037.4 tons in 2023 and 1081.9 tons in 2022. Over the past two years, the total net purchase of gold by foreign central banks exceeded 2000 tons.China, the world’s second-largest economy, has added 300 tons of the precious metal to its foreign reserves since the People’s Bank of China renewed buying it in October 2022. As of the end of 2023, the central bank’s gold reserves amounted to 2235.3 tons.Its counterpart in India also upped its gold reserves to 803.5 tons in 2023 from 754.1 tons in 2021.각국 중앙은행이 앞다퉈 금을 사들이고 있지만 한국은 이런 골드러시에도 별 다른 움직임을 보이고 있지 않다.세계금협회에 따르면 전 세계 중앙은행의 전체 금보유량은 2023년 1037.4톤, 2022년 1081.9톤에 이어 올해 1월에는 39톤 증가해 금 매입세가 이어졌다. 지난 2년간 각국 중앙은행은 2000톤이 넘는 금을 순매입한 것으로 나타났다.세계 2위 경제대국인 중국은 2022년 10월 인민은행이 금 매입을 재개한 이후 300톤의 금을 외환 보유량에 추가했다. 2023년 말 기준 인민은행의 금 보유량은 2235.3톤에 달한다.인도는 금 보유량을 2021년 754.1톤에서 2023년 803.5톤으로 늘렸다.해설금 가격이 역대 최고 수준으로 치솟은 가운데 각국 중앙은행은 지난 2년간 앞다퉈 금을 사들여 현재 대규모 평가이익을 누리고 있습니다. 반면 한국 은행은 지난 10년간 금을 매입하지 않아 투자수익을 올리지 못할 우려가 있다는 기사의 일부입니다.예문 윗부분에 ‘침묵하는’을 뜻하는 ‘muted’라는 단어가 쓰였습니다. mute의 과

  • 대입전략

    국어·수학, 백분위·표준점수 높은 선택과목 탐색…평가결과에 나타난 강약점 분석해 보완학습을

    올해 고3 첫 전국모의고사가 3월 28일 실시된다. 고교 재학 중 통합수능 방식으로 처음 경험해보는 시험이다. 고3 들어 본인의 전국 위치를 점검해볼 수 있는 첫 시험이며, 연간 학습 전략을 결정짓는 중요한 시험이다. 고1, 고2 기간 동안 체감하지 못했던 국어, 수학에서 선택과목 유불리 문제를 본격적으로 고민하고 대응해야 할 시기다. 3월 모의고사의 의미를 짚어보고, 시험 직후 분석 포인트 및 수능 학습 전략을 소개한다.통합수능 3년 차인 지난해 대입에서 이과생의 강세는 더욱 뚜렷해졌다. 종로학원 표본조사 결과 2024학년도 수능에서 수학 1등급 내 이과생(미적분 또는 기하 응시) 비중은 97.5%로 2023학년도 81.4%와 비교해 더 높아진 것으로 추정된다. 수학 1등급 열에 아홉은 이과생이라는 의미인데, 국어에서도 이과생 강세가 여전했다. 국어 1등급 내 ‘언어와 매체’ 비중이 72.1%에서 72.7%로 높아진 것으로 분석된다. ‘언어와 매체’는 이과생의 비중이 높은 과목이다. 2024학년도 수능에서 문과생 중 ‘언어와 매체’를 응시한 비중은 29.4%에 그쳤지만 이과생의 경우 52.4%가 ‘언어와 매체’를 선택했다. 결과적으로 국어 1등급 내 ‘언어와 매체’를 선택한 그룹의 독주는 곧 이과생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 통합수능이 바꾼 대입 지형, 이과 강세 뚜렷통합수능 체제에서 이과생 강세 현상은 대학 입시의 지형을 바꿨다. 이과생들이 수학, 국어 강세를 앞세워 인문계 학과로 대거 교차지원에 나섰다. 지난해 서울대 결과가 아직 발표되지 않았지만, 2022·2023학년도 서울대 합격자 분포를 살펴보면 이과생 강세를 확인할 수 있다. 서울대 정시 인문계 학과 합격생 중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