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대입전략

    학생부교과, SKY 인문 평균 1.51·자연 1.34등급…학생부종합은 세특·비교과평가 반영 유의해야

    2026학년도 수시모집 원서접수가 두 달여 앞으로 다가왔다. 수시 및 정시 지원전략의 큰 얼개는 짜둬야 하는 시기다. 이럴 때 최근 입시 결과는 가정 먼저 참고해야 할 핵심 자료다. 특히 대입정보포털 ‘어디가’를 통해 공개되는 내신등급 합격선은 전국 대학을 50%컷, 70%컷 동일 기준으로 비교 가능해 활용도가 가장 높은 정보다. 주요 21개 대학의 어디가 발표 2025학년도 수시 입시 결과를 분석해본다.종로학원이 ‘어디가’를 통해 공개한 주요 21개 대학의 2025학년도 수시 입시 결과(일반전형 학과별 내신등급 70%컷 기준)를 분석한 결과, 21개 대학 전체 학생부교과 인문계열(인문자연통합 포함)은 학과별 최고 1.04등급(경희대 지역균형 한의예과(인문))에서 최저 3.60등급(경희대 지역균형 조리&푸드디자인학과), 자연은 최고 1.00등급(경희대 지역균형 의예과)에서 최저 3.82등급(세종대 지역균형 지구자원시스템공학과) 사이에서 합격선이 형성된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부종합 인문계열은 최고 1.11등급(서울대 지역균형 경제학부)에서 최저 6.15등급(국민대 학교생활우수자 글로벌한국어 전공), 자연은 최고 1.06등급(서울대 지역균형 의예과)에서 최저 6.13등급(중앙대 CAU탐구형인재 건설환경플랜트공학) 분포를 나타냈다.먼저 학생부교과를 자세히 살펴보면, SKY 인문은 평균 1.51등급(학과별 1.16~1.87), 자연은 평균 1.34등급(1.01~1.75) 수준에서 합격선이 형성됐다. 연세대 인문 평균은 1.48등급(1.16~1.87), 자연 평균은 1.28등급(1.01~1.48)으로 확인됐고, 고려대 인문 평균은 1.54등급(1.31~1.70), 자연 평균은 1.40등급(1.07~1.75)으로 집계됐다.주요 10개 대학 인문은 학과별로 최고 1.04등급에서 최저 3.60등급, 자연은 최

  • 대학 생글이 통신

    여름방학 공부시간 배분은 취약 과목 우선

    여름방학이 다가왔습니다. 길다면 길고 짧다면 짧은 여름방학을 어떻게 보내야 할까요? 방학이니만큼 평소보다 푹 쉬어도 좋겠지만, 수능을 목전에 둔 수험생 여러분은 편히 쉬기도 어려울 것입니다. 수험생에게 여름방학은 약점을 보완하고 수능까지 끌고 갈 학습 전략을 세울 마지막 ‘부스트 업’ 기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여름방학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보내느냐에 따라 가을과 겨울에 거둬들일 결과가 달라집니다.우선 시간을 효율적으로 쓰는 것이 핵심입니다. 스터디 플래너를 이용해 공부 일정을 잡고 시간을 관리하는 학생이 많습니다. 실현 가능한 목표를 잘 설정한다면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예를 들어 내가 국어 과목이 취약하다면 점심 전까지 오전 3시간은 국어에 할당하고, 오후 시간은 수학과 영어에 각각 2시간씩 할당합니다. 취약한 과목을 먼저, 그리고 많이 공부하도록 계획을 세우고 실천하는 것입니다.‘자투리 시간’도 잘 활용해야 합니다. 밥 먹는 시간이나 이동하는 시간 등이 자투리 시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밥을 먹으면서 취약 과목에 관한 인터넷 강의나 오답 분석 강의를 들으면 꽤 도움이 됩니다. 저는 식사 시간마다 국어 과목의 고전시가 해설 강의나 사회탐구 중 생활과 윤리 모의고사 해설 강의를 들었습니다. 자투리 시간을 잘 활용하면 시간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시간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면 무언가 이뤄냈다는 성취감을 느낄 수 있고,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실력이 크게 향상돼 있을 것입니다.그다음으로 중요한 것이 건강 관리입니다. 공부도 체력이 뒷받침돼야 잘할 수 있다고 합니다. 그렇다고 해서 수능을 코앞에 둔 수험생이

  • 영어 이야기

    구불구불 움직이다 'snake along'

    Standing in the rain, lines of people snake along Nanjing Dong Lu, Shanghai’s bustling shopping street, outside a Miniso shop.It wasn’t different at a shop of Pop Mart, the global toy sensation behind the wildly popular Labubu dolls, and at TopToy, another local hotspot for collectible figurines.Pop Mart exclusively sells Labubu dolls -- fuzzy monster characters created by Hong Kong-born artist Kasing Lung.The MZ generation is also captivated by cute figurine characters beyond Labubu. That reflects a shift in their spending habits toward small indulgences.Miniso has recently opened its third Korean store in Gangnam in Seoul, after opening outlets in Daehak-ro in Jongno and Hongdae.The new shop immediately became one of the hottest spots in the area.비 오는 날씨에도 상하이 번화한 쇼핑 거리인 난징동루에 위치한 미니소 매장 앞에는 긴 줄이 구불구불 움직이고 있다.팝마트(Pop Mart) 매장과 또 다른 인기 피규어 매장인 탑토이(TopToy) 매장 앞도 상황은 마찬가지였다. 팝마트는 전 세계적으로 큰 인기를 끌고 있는 라부부 인형으로 잘 알려진 장난감 가게다.팝마트는 홍콩 출신 아티스트 카싱 룽(Kasing Lung)이 만든 보송보송하고 귀여운 괴물 캐릭터인 라부부 인형을 단독으로 판매하고 있다.MZ 세대는 라부부 외에도 다양한 귀여운 피규어 캐릭터에도 매료되고 있는데, 이런 현상은 경제적으로 큰 부담이 되지 않는 작고 귀여운 물건에 돈을 쓰는 것을 일종의 나를 위한 작은 사치로 여기는 소비 습관의 변화를 반영한다미니소는 종로 대학로와 홍대 앞에 매장을 연 데 이어 최근 서울 강남에 세 번째 매장을 열었다. 새 매장은 단숨에 그 지역의 인기 있는 명소 중 하나가 되었다. 해설 작고 귀여운 인형을 가방에 열쇠고리처럼 달고 다니는 것이 10대와 20대 사이에서 유행처럼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同工異曲 (동공이곡)

    ▶한자풀이同: 같을 동 工: 장인 공 異: 다를 이 曲: 굽을 곡서로 재주는 같으나 취향이 다름기교는 같아도 표현 형식과 내용은 다름 -<진학해(進學解)>동공이곡한유(韓愈)는 당나라를 대표하는 문장가이자 정치가다. 당송 8대가의 한 사람으로 글을 다 쓰고 마지막에 다듬기 작업을 뜻하는 퇴고(推敲)도 한유와 연관된 고사다. 당나라 시인 가도가 시를 지을 때 밀 퇴(推)와 두드릴 고(敲) 사이에서 망설이다가 한유를 만나 그의 조언을 따라 고(敲)로 결정했다는 데서 유래한다. 원래 시는 “스님이 달빛 아래 문을 밀다”였는데 “스님이 달빛 아래 문을 두드리다”로 바뀐 것이다.한유가 지은 <진학해(進學解)>에 “공부는 부지런함으로 정교해지고 노는 것 때문에 망가진다. 행동은 생각에서 이루어지고 무조건 남을 따라 하다가 망친다”는 유명한 문구가 나온다. 그는 “평범한 길을 따라가야 한다는 일이 옛 책이나 엿보며 그 내용을 도둑질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는 자신만의 방식으로 살아가려는 창의적 생각이 부족함을 꾸짖는 말이다.<진학해>에는 한유가 학생과 문답하는 내용이 나온다. 학생이 스승 한유의 학문을 높이 세우는 말이다.“스승님은 위로는 순(舜) 임금과 우(禹) 임금의 문장, 그리고 시경(詩經)의 바르고 화려함, 아래로는 장자(莊子)와 굴원(屈原), 사마천(司馬遷)의 <사기(史記)>와 더불어 工(공)을 같이하고 曲(곡)을 달리한다”고 말했다. 한유는 문체만 다를 뿐 내용에서는 옛날 위대한 문장의 글과 조금도 다를 것이 없다는 말이다.동공이곡(同工異曲)은 서로 재주는 같으나 취향이 다르다는 뜻으로, 기교는 같아도 표

  • 학습 길잡이 기타

    수치형 자료는 히스토그램, 범주형은 막대 그래프

    통계청의 통계인재개발원에서 개최한 제27회 전국학생통계활용대회(www.통계활용대회.kr)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이 대회는 학생들이 자료 수집과 분석 등을 직접 수행해 통계 포스터를 작성해봄으로써 문제해결 능력과 통계적 사고력을 기르도록 하는 데 목적이 있습니다. 통계 포스터뿐 아니라 실생활의 문제 상황을 통계를 이용해 해결할 때에는 주제 정하기, 자료 수집하기, 자료 정리 및 분석하기, 결과 해석하기의 통계적 문제 해결 4단계 과정을 따르게 됩니다. 이 중 자료 정리 및 분석하기 단계에서는 수집된 자료를 자료의 특성과 자료 정리의 목적에 맞는 적절한 그래프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이에 관한 내용을 몇 회에 걸쳐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학교에서 배워 알고 있는 통계 그래프는 막대그래프, 꺾은선그래프, 원그래프, 띠그래프, 줄기와 잎 그림, 도수분포표, 히스토그램, 도수분포다각형, 상자 그림 등으로 다양합니다. 자료를 수집하고, 그 자료로 통계 그래프를 그릴 때는 보통 이 그래프 중 1개를 선택해 그립니다. 이때 자료의 특성에 맞는 적절한 그래프를 어떻게 선택해야 할까요?한 고등학교의 학급 학생들을 대상으로 시행한 설문조사에서 고등학교 학생들의 이성 교제와 관련해 다음과 같은 질문을 했습니다.가장 오래 사귀어 본 것은 며칠인가요?( )일학생들은 이 질문에 아래와 같이 답변했고, 그 자료를 [그림1]과 같이 막대그래프로 나타냈다고 합시다.학생들에게 어떤 자료를 그래프로 나타내보라고 하면 대부분 막대그래프를 그립니다. 그러나 사귄 날수가 너무 다양하다 보니 막대그래프로는 자료 전체의 분포 상태를 한눈에 파악하기가 어렵습니다.이를 알아보기

  • 임재관의 인문 논술 강의노트

    논술 전형 44개대로 확대…최종 요강 꼭 확인을

    논술전형 주요 일정 확인이 첫 걸음논술고사는 수시모집 전형에 속하므로, 우선 올해의 수시모집 논술전형의 주요 일정을 살펴보겠습니다.먼저 원서 접수 기간은 2025년 9월 8일부터 12일 중 학교별로 3일 이상 진행합니다. 학교마다 접수 기간이 다를 수 있으므로 지원 희망 대학의 정확한 일정을 미리 확인하고 준비해야 합니다.연세대: 9.9.(화) 10:00 ~ 9.11.(목) 17:00고려대: 9.8.(월) 10:00 ~9.10.(수) 17:00성균관대: 9.9.(화) 10:00 ~ 9.12.(금) 18:00서강대: 9.8.(월) 10:00 ~ 9.12.(금) 18:00한양대: 9.9.(화) 10:00 ~ 9.12.(금) 18:00위 5개 대학의 모집 일정만 보더라도 시기, 마감 시간 등이 모두 다릅니다. 현장에서는 접수 마지막 일정까지 모든 대학이 접수를 한다고 오인해 접수 시기를 놓치는 경우를 종종 경험하게 됩니다. 6시까지인 줄 알았는데 5시에 마감되어 접수 시간을 넘기거나, 다른 대학이 12일까지라서 12일에 경쟁률을 확인하고 지원하려고 생각하다가 마감 시한을 넘어 당황하는 경우는 매해 늘 발생하고 있습니다. 부디 계획하고 있는 대학의 수시모집 일정을 정확히 확인하고 일정을 놓치지 않도록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어떤 곳에서든 재가공된 자료를 신뢰하지 마시고, 반드시 최종적으로 작성된 각 대학의 수시모집 요강을 확인해야 합니다.이후 논술전형은 9월 13일부터 12월 11일까지 약 90일간 실시합니다. 합격자 발표는 12월 12일까지이며, 합격자 등록은 12월 15일부터 17일까지 총 3일간 진행합니다. 수시 미등록 충원 합격 통보 마감은 12월 23일(18시까지)이고, 최종 수시 미등록 충원 등록은 12월 24일(22시까지) 마감됩니다. 논술전형에서 예비 번호를 받은 경우뿐 아니라 예비 번호가 없더라도 미등록 충원 합격 통보를

  • 대학 생글이 통신

    번아웃 막으려면 운동·휴식·공부 균형 잡아야

    수험생에게 여름방학은 수학능력시험과 대학입시를 앞둔 마지막 방학입니다. 그런 만큼 어떻게 보내야 할까 많이 고민하게 되고, 부담감에 짓눌릴 수도 있습니다.여름방학을 알차게 보내기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적절한 루틴을 만드는 일입니다. 방학을 앞둔 수험생들은 지나친 욕심에 온종일 공부에만 매달리겠다는 계획을 세우곤 합니다. 그러다 보면 방학 후반부에는 번아웃이 와서 정작 중요한 시점에 공부에서 손을 놓는 상황이 벌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운동과 휴식, 공부를 적절히 섞어 균형 잡힌 루틴을 만들어야 합니다.시간이 지날수록 체력이 한계에 다다르기 때문에 운동은 필수입니다. 방학이니 학기 중보다 조금 더 자는 것은 좋지만, 너무 늦게 자고 늦게 일어나선 안 됩니다. 하루하루를 가능한 범위에서 최선을 다해 채워나가는 것이 중요합니다. 공부의 흐름이 끊기면 그동안 쌓아놓은 것이 조금씩 무너집니다. 매일 한 문제라도 풀어보는 습관을 이어나가야 합니다.휴식이나 여가 활동은 너무 억제하려고만 하지 말고 일정한 시간을 정해놓고 하는 것이 좋습니다. 저는 한 달에 한 번씩 영화를 보러 갔고, 매일 밤 11시경 웹툰을 봤습니다. 공부해야 한다는 생각에 제대로 놀지도 못하고 그렇다고 공부에 집중하지도 않는 어정쩡한 시간을 보내기보다 공부할 땐 확실히 하고 쉴 땐 확실히 쉬기를 바랍니다.여름방학부터는 자신의 부족한 부분을 채우면서 실전 감각도 키워나가야 합니다. 모의고사를 풀 때도 오답 노트를 아주 꼼꼼히 작성해야 합니다. 또 틀린 문제는 문제를 잘못 이해해서인지, 모르는 개념이 나와서인지, 순간적으로 헷갈려서인지 등 틀린 이유를 정확히 파악할 필요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하늘의 별 따기'와 [하늘에 별 따기]

    “나는 내가 빛나는 별인 줄 알았어요/한 번도 의심한 적 없었죠/몰랐어요 난 내가 벌레라는 것을/… 밤하늘의 별들이 반딧불이 돼 버렸지… 그래도 괜찮아 난 빛날 테니까.” 황가람이 리메이크한 노래 ‘나는 반딧불’이 역주행하며 화제를 모으는 중이다. 소박하면서도 진솔한 노랫말은 많은 이에게 깊은 울림을 전한다. 어느새 ‘국민 위로곡’이라 불릴 정도로 공감을 얻고 있다. 발음에 이끌려 ‘-의’를 ‘-에’로 잘못 써그런데 노래들 듣고 가사를 익힌 이들에겐 실제 표기와 발음이 달라 주목해야 할 곳이 한 군데 있다. ‘밤하늘의 별들이~’가 그곳이다. 대부분은 여기를 [밤하늘에 별들이~]로 이해했을 것이다. 실제 노래 속 발음도 그렇기 때문이다. 마찬가지로 우리말에 “무엇을 얻거나 성취하기가 몹시 어려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이 있다. ‘하늘의 별 따기’가 그것이다. 흔히 쓰는 말이지만 막상 이를 ‘하늘의 별’인지 ‘하늘에 별’인지 헷갈리는 사람이 많다.답부터 말하면 ‘하늘의 별’이 바른 표기다. 이를 발음에 이끌려 ‘-에’로 적는 경우가 흔하다. 조사 ‘-의’를 쓰느냐 ‘-에’를 쓰느냐에 따른 사소한 차이인 듯하지만, 글쓰기에서 의외로 고민에 빠지게 하는 요소다. 우리말에 이런 유형의 표현이 꽤 있다. “나무랄 데 없이 훌륭하거나 좋은 것에 있는 사소한 흠”을 이르는 말은 무엇일까? ‘옥의 티’? ‘옥에 티’? ‘옥에 티’가 바른 표현이다. “눈앞에 닥친 절박한 일이나 어려운 일”을 뜻하는 말은? ‘발등의 불’일까 ‘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