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글 학습·진로 기타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免而無恥 (면이무치)
▶한자풀이免: 면할 면 而: 어조사 이 無: 없을 무 恥: 부끄러울 치법을 어기거나 잘못을 저지르고도부끄러워하거나 반성하지 않음 -<논어><논어> 위정편(爲政篇)은 주로 통치자의 덕목을 적고 있는데, 여기에 공자의 이런 말이 나온다.“법제로 다스리고 형벌로 질서를 유지하려 한다면 백성들이 형벌을 면하는 것을 수치라고 생각하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덕으로 다스리고 예로 질서를 유지한다면 잘못을 수치로 알고 바르게 될 것이다(道之以政 齊之以刑 民免而無恥 道之以德 齊之以禮 有恥且格).”이는 법치(法治)보다 덕치(德治)와 예교(禮敎)를 내세우는 유가(儒家)의 통치 원리를 그대로 보여주는 말이다. 한비자의 주장처럼 법을 엄하게 시행하면 나라의 질서는 유지될 수 있다. 하지만 법이나 형벌이 지나치게 엄하면 백성들은 자신의 잘못을 수치로 여기기보다 형벌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자신의 잘못을 숨기려 들 것이다. 중국 천하를 통일한 진시황이 가혹한 형벌로 질서를 잡은 것이 대표적 예다. 그러나 법보다 덕으로 인도하고 윗사람 스스로가 모범을 보인다면 백성들이 자신의 잘못을 깨닫는 즉시 부끄러움을 느껴 고치려 할 것이라는 뜻이다. 참고로 정나라 재상 자산은 몸소 모범을 보이며 상하간 간극을 줄이고 백성의 생활을 안정시키는 정책으로 5년 만에 나라 질서를 잡았고, 공자는 노나라에 봉직할 때 덕으로 다스려 3개월 만에 질서를 되찾았다고 한다. 도불습유(道不拾遺)는 길에 물건이 떨어져 있어도 주워 가지 않을 정도로 나라를 잘 다스리고 있음을 비유하는 말이다.면이무치(免而無恥)는 법을 어기거나 잘못을 저지르
-
학습 길잡이 기타
힘·속도·무게 등의 관계 수학적으로 모델링 한 것
-
대입전략
치대 89.9%·한의대 94.1% 수능성적 반영…한의대 6곳, 인문계열 116명 별도 선발
전국에 치대가 11개, 한의대는 12개 대학이 있다. 의대와 함께 자연계열 최상위권을 형성하는 그룹이다. 한의대는 인문계열 학생들에게도 꽤 기회가 열려 있는 편이다. 12개 대학 중 6곳에서 인문계열 학생을 별도로 선발한다. 2025학년도 치대 및 한의대 입시에 대해 알아본다.치대 및 한의대도 의대와 함께 입시에서 수능이 끼치는 영향력이 대단하다. 전국 11곳의 치대는 2025학년도에 643명을 뽑는데, 수시 수능최저학력기준 또는 정시 등 수능 성적이 평가에 반영되는 비율은 89.9%(578명)에 달한다. 한의대는 수능 영향력이 더 크다. 12개 한의대 총모집 인원 757명 중 94.1%(712명)가 수능 성적을 평가에 반영한다.정시는 물론 수시에서도 100% 수능 최저학력기준을 설정한 대학 또한 상당수다. 치대의 경우 부산대·단국대(천안)·전남대·전북대·조선대·강릉원주대 등 6개 대학이, 한의대는 가천대·부산대·동국대(WISE)·대구한의대·동신대·상지대·우석대·대전대·세명대 등 9개교가 수시에서 100% 수능 최저학력기준을 적용한다.수시 최저학력기준이라고 만만히 볼 수준이 아니다. 연세대 치의예과 추천형(학생부교과), 활동우수형(학생부종합) 국·수(미/기)·과(1) 중 2개 등급 각각 1, 영어 3등급을 충족해야 하고, 경희대 치의예과 지역균형(학생부교과), 논술우수자(논술위주)는 국·수·영·탐(2) 중 3개 등급합 4로 그 기준이 상당히 높다. 한의대 중 그나마 수능 최저학력기준이 가장 낮은 곳 중 하나가 가천대인데, 이 대학 또한 학생부우수자(학생부교과), 가천의약학(학생부종합) 전형에서 국·수(미/기)·영·과(2) 중 2개
-
대학 생글이 통신
다전공, 졸업에 시간 더 걸리는 단점도 있죠
다전공의 장점을 소개한 글에 이어, 이번엔 단점을 이야기해보고자 합니다. 이 글은 서울대를 기준으로 했으며, 서울대 안에서도 과에 따라 세부 사항은 다를 수 있으므로 대략적으로 이해해주기 바랍니다.첫째, 졸업까지 걸리는 시간이 늘어난다는 점입니다. 전공 과목이 3개 이상이거나, 주전공 학과가 다전공에 우호적이지 않을 경우 졸업까지 걸리는 시간이 늘어납니다. 들어야 하는 총학점 수가 많아지기 때문입니다.경제학 단일 전공생이 졸업하기 위해서는 총 130학점 이상을 채우면 됩니다. 60학점 이상은 경제 과목을, 36학점 이상은 교양을 들어야 합니다. 복수전공 혹은 연합전공 때 본래 전공과 새 전공에서 들어야 하는 전공 학점이 약 60학점에서 40학점으로 줄어듭니다. 이 학생이 인류학을 복수전공한다고 칩시다. 40학점은 경제학, 40학점은 인류학, 36학점은 교양, 14학점은 원하는 과목을 들으면 130학점을 채우고 졸업할 수 있습니다. 이 학생이 인공지능 연합전공까지 한다면 총 120학점의 전공에 36학점의 교양을 들어야 하는 것입니다. 총 156학점을 따야 하니, 졸업하려면 5년 이상이 걸릴 것입니다.또 과에 따라 복수전공이나 연합전공을 한다고 해도 본래 전공에서 들어야 하는 학점을 줄여주지 않는 학과도 있습니다. 이럴 경우 다전공을 하기 힘들 수 있습니다. 따야 하는 총학점이 130학점이 넘어가면서 졸업이 예정보다 늦어질 수 있습니다. 복수전공과 연합전공은 졸업이 밀려 부담스러우니 학점을 적게 들어도 수료가 되는 부전공이나 연합전공을 신청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하지만 학위가 안 나오고 수강 신청 우선순위에서 밀리는 단점이 있습니다.둘째, 경쟁률이 높은 전공은 진입하기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후보직 사퇴'는 비논리적인 표현
“○○ 경선에서 4·10 총선 강북을 후보로 결정된 XXX 변호사가 후보직 사퇴를 선언했습니다.” “○○○ 위원장은 비례대표 순번 발표 이후 보도자료를 내고 후보직 사퇴 의사를 밝혔습니다.” 총선이 눈앞에 다가오면서 각당 공천 과정과 공천자 선정을 두고 연일 논란이 거세게 일었다. 우리말 관점에서도 주목해볼 만한 말이 있었다. ‘후보직’이 그것이다. 자주 지면에 오르고, 무심코 흘려보내곤 하지만 한편으론 눈에 거슬린다. 이 말의 정체는 무엇일까?후보는 ‘직(職)’ 아니라 ‘후보직’ 안 돼‘직(職)’은 맡은 직위나 직책을 나타내는 말이다. 직업을 가리키기도 한다. 단독으로도 쓰이지만, 일부 명사 뒤에 붙어 ‘직분’ ‘직업’ ‘직위’의 뜻을 나타내기도 한다. ‘사제직, 장관직, 부장직’ 같은 게 그런 예다. ‘후보직’은 그런 쓰임새 중 하나로 나온 듯하다. 하지만 이 말은 왠지 어색하다. 그 어색함은 어디서 오는 것일까.일단 ‘후보’란 ‘(선거에서) 어떤 직위나 신분을 얻으려고 일정한 자격을 갖춰 나선 사람’을 뜻한다. ‘직’이란 ‘맡은 직위나 직무’를 말한다. “그는 여러 직을 두루 거쳤다” “경비직을 그만뒀다”처럼 쓴다. 사제직이나 장관직, 경비직 같은 말에서 공통점을 찾을 수 있다. ‘-직’과 결합하는 말이 구체적 직위나 직무를 나타낸다는 점이다.그런데 ‘후보’는 어떤 직위를 얻으려고 나선 사람을 가리킨다. 후보 자체는 직위나 직무가 아닌 것이다. 그러니 ‘후보직’이란 말은 성립하지 않는 말이다. 홍길동이란 사람이 “국
-
대학 생글이 통신
꾸준한 공부 습관 수능 때까지 유지해야
시험 기간이 다가오면 한정된 시간 안에 최선의 결과를 내고자 무리한 계획을 세우곤 합니다. 하지만 공부하다 보면 느끼듯이, 단기간에 좋은 결과를 내기란 여간 어렵지 않죠. 불확실성에 기대는 것이라 볼 수 있습니다. 다가오는 시간에 쫓기지 않기 위해서는 꾸준히 공부하는 습관이 필요합니다. 꾸준한 공부를 위해 제가 고교 시절 지켰던 세 가지 습관을 공유하고자 합니다.먼저, 규칙적인 생활 습관입니다. 당연한 얘기겠거니 생각할 수 있지만, 잘 지켜지고 있는지 돌아볼 필요가 있습니다. 저는 고교 시절 아침 6시에 기상하고 자정이 되기 전 잠드는 수면 패턴을 지켰습니다. 밤늦게까지 공부하는 것보다 아침 일찍 일어나 누구보다 일찍 등교하는 것이 저에게 만족감을 주기도 했고요. 자신이 아침에 공부가 잘되는지 저녁에 더 집중하는지 판단을 내려 효과적인 생활 습관을 계획하는 것입니다.수면 패턴뿐 아니라 주기적인 운동도 마찬가지입니다. 고교 생활을 하면서 체력이 중요하다는 사실을 매일같이 느꼈습니다. 하지만 운동에 온전한 시간을 투자하는 것은 어렵기에, 가까운 거리는 걸어다니고 체육 시간을 체력 향상을 위해 적극 활용했습니다. 수능 시험의 경우 비교적 아침 일찍부터 집중력을 쏟아내야 하는 만큼, 평소 쌓아온 생활 습관으로 수능 당일날 최적의 컨디션을 유지할 수 있었습니다.두 번째, 쉬는 시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것입니다. 사소한 쉬는 시간을 어떻게 활용하느냐에 따라 시험 기간 때의 부담이 줄어들기도 합니다. 저는 10분 남짓한 쉬는 시간을 다양하게 활용했습니다. 복잡한 수학 문제를 체계적으로 정리하거나, 수업 시간의 내용을 정리하고, 간단한 수행평가
-
임재관의 인문 논술 강의노트
수리문제, 논술 평가의 결정적 요소 아니다
지난호(2024년 3월 18일 자)에 이어 이번 호에서는 연세대 신유형의 자료 해석과 수리논술 유형을 2023학년도 2번 세트를 중심으로 다뤄보겠습니다.연세대학교의 신유형은 2020학년도부터 출제된 유형을 뜻합니다. 2019학년도까지는 소문항으로 나누기보다 1·2번 문항을 보통 1000자 내외로 출제했고, 수리논술과 관련된 문항이나 영어 제시문의 출제가 없었습니다.그러나 2020학년도부터는 수리논술과 영어 제시문을 전 계열 공통으로 출제하고 있고, 그에 따라 수리적 역량과 영어 제시문의 논지 이해력 등에 균형적 역량을 갖추고 있어야 합격을 기대할 수 있게 변화했습니다. 또 문항도 각 1·2번이 소문항 2개씩으로 분할되어 있는데, 이번 호와 다음 호에 이어서 다룰 2번 세트는 대체적으로 자료 해석과 수리논술을 포함하고 있습니다(1번 세트는 일반적인 한글 및 영어 지문으로 비교, 평가, 분석 등의 유형).연세대 수리논술 역대 기출문제는 아래와 같습니다. 2020학년도(시험 2019년) 모의논술은 실질적으로 수리논술이 없었으나, 2020학년도 실제 시험에서는 2개 교시에서 조건부확률과 확률밀도함수 문제가 출제됐습니다. 2021학년도 수시 문제부터는 출제 범위가 확률과통계에서 수학2로 이동했습니다. 선택과목인 확률과통계가 아니라 공통과목인 수1·2에서 출제해 선택에 따른 유불리를 없애고자 한 의도가 엿보입니다. 문제의 난이도 관점에서는 21학년도가 가장 어려웠고, 이후 매년 쉬워지는 추세였습니다.기본적으로 수학의 개념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제시문을 평가하는 논리적 사고 전개 능력을 보는 데 주안점을 두고 있는 모습입니다. 수학 고난도 문제풀이의 해결력은 합격을 좌우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以暴易暴 (이포역포)
▶ 한자풀이以: 써 이 暴: 사나울 포 易: 바꿀 역 暴: 사나울 포폭력을 폭력으로 다스리다힘에 의지하는 정치를 이름 -<사기(史記)>이포역포(以暴易暴)는 ‘폭력으로 폭력을 다스린다’는 뜻으로, 나라를 힘에 의지해 통치하는 것을 이르는 말이다. 이와 관련한 고사가 <사기> 백이숙제열전 편에 나온다.백이와 숙제는 고죽국(孤竹國)의 왕자였는데, 왕은 아우 숙제로 하여금 자신의 뒤를 잇게 했다. 그러나 왕이 죽자 숙제는 형 백이에게 왕위를 물려주었다. 백이는 아버지의 명을 따라야 한다고 나라를 떠났고, 숙제 또한 그 뒤를 따라갔다. 이때 백이와 숙제는 서백(西伯) 창(昌)이 노인을 잘 봉양한다는 소문을 듣고 그를 찾아가 의지하고자 했지만 그는 이미 죽어 문왕(文王)에 추존되었고, 그의 아들 무왕(武王)이 아버지의 위패를 수레에 싣고 은(殷)나라의 주왕(紂王)을 정벌하고자 했다. 백이와 숙제가 무왕의 말고삐를 잡고 간(諫)했다.“부친의 장례도 치르지 않고 바로 전쟁을 일으키는 것을 효(孝)라 할 수 있는가. 신하된 자로서 군주를 시해하려는 것을 인(仁)이라고 할 수 있는가.”무왕의 호위 무사들이 백이와 숙제를 죽이려 했으나 왕은 이들을 의인이라고 하며 돌려보내게 했다.무왕이 은을 평정해 천하가 주(周) 왕실을 종주로 섬겼으나, 백이와 숙제는 그 백성이 되는 것을 치욕으로 여겼다. 지조를 지켜 주나라의 양식을 먹으려 하지 않고, 수양산에 들어가 고사리로 배를 채웠다. 그들은 굶주려 죽기 전에 이런 노래를 지었다.“저 서산에 올라 산중의 고비나 꺾자구나. 포악한 것으로 포악한 것을 다스렸으니(以暴易暴), 그 잘못을 알지 못