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학년도 정시 실질 경쟁률 분석
![[2025학년도 대입 전략] 서울 소재 대학, 추가합격 포함 실질 경쟁률 '2.6 대 1', 올해 추가합격 크게 늘듯…종합판단 후 지원해야](https://img.hankyung.com/photo/202412/AA.38993426.1.jpg)
![[2025학년도 대입 전략] 서울 소재 대학, 추가합격 포함 실질 경쟁률 '2.6 대 1', 올해 추가합격 크게 늘듯…종합판단 후 지원해야](https://img.hankyung.com/photo/202412/AA.38993427.1.jpg)
인문계 28개 대학 중 실질 경쟁률이 2 대 1 미만인 대학도 2곳이 나왔다. 정시 최초 평균 경쟁률은 4.57 대 1이었으나 추가 합격자까지 고려한 실질 경쟁률은 1.96 대 1이었다.
추가 합격을 고려한 실질 경쟁률이 2 대 1에서 3 대 1 미만인 대학도 20곳이다. 전체 대학 대비 비중이 71.4%다. 이들 20개 대학의 정시 최초 평균 경쟁률은 6.10 대 1이었으나 추가 합격자까지 고려하면 실질 경쟁률이 2.54 대 1로 크게 하락했다.
![[2025학년도 대입 전략] 서울 소재 대학, 추가합격 포함 실질 경쟁률 '2.6 대 1', 올해 추가합격 크게 늘듯…종합판단 후 지원해야](https://img.hankyung.com/photo/202412/AA.38993428.1.jpg)
자연계열에서는 27개 대학 분석 결과 추가 합격 고려해 경쟁률 2 대 1 미만인 대학이 2개다. 이들 2개 대학 정시 최초 평균 경쟁률은 4.55 대 1이었으나 정시 추가 합격자를 고려하면 실질 경쟁률은 1.98 대 1로 하락했다.
자연계열에서 추가 합격을 고려한 실질 경쟁률이 2 대 1에서 3 대 1 미만인 대학은 23개로 전체 대학 대비 85.2%다. 23개 대학의 정시 최초 평균 경쟁률은 5.86 대 1이었으나 추가 합격자를 고려하면 2.50 대 1로 하락했다.
자연계 3 대 1 이상 대학은 고려대·서울대 2개에 불과했고, 4 대 1 이상 대학은 없었다. 2개 대학의 정시 최초 평균 경쟁률은 4.44 대 1이었고, 추가 합격자를 고려한 정시 평균 경쟁률은 3.44 대 1로 하락했다.
인문계열의 경우, 정시 최초 경쟁률이 4.22 대 1에서 1.27 대 1로, 3.10 대 1에서 1.29 대 1로, 3.72 대 1에서 1.37 대 1로, 3.88 대 1에서 1.40 대 1로 지원 인원 대비 합격 비율이 80%까지 육박하는 학과도 나왔다.

올해 2025학년도에는 의대 모집 정원 확대, 무전공 선발 확대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중복 합격으로 인한 추가 합격이 늘어날 수 있다. 서울 소재 대학이라 하더라도 정시 선발을 안정적으로 모집할 수 있는 상황이 아닐 수 있다.
또한 학과에 따라 지원 인원의 80%까지도 합격할 수 있는 학과가 나타날 가능성도 매우 높아 정시 지원할 때 전년도 합격 성적, 학과별 추가 합격 규모와 함께 금년도 수시 추가 합격 규모, 합격자 지원 성향 등을 면밀히 살피면서 마지막까지 종합적으로 판단하고 지원하는 것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