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임재관의 인문 논술 강의노트

    짧은 1,2번 문항…풍부한 글감으로 답해야

    지난 시간 문제의 해제를 시작하겠습니다. 우선 짧은 분량에 비해 문제의 요구사항이 상당히 많습니다. 무려 다섯 가지나 되네요!①[가]에 제시된 한글 맞춤법 제1장 제1항에서 한글 맞춤법의 대상을 밝히고 나서 ②서로 상충되는 두 가지 원리를 설명하고, 제2항의 아래에 제시된 예시를 참조하여 ③제1항과 제2항을 규정한 궁극적인 목적이 무엇인지 밝히시오. 그리고 [가]가 추구하는 목적을 참조하여 ④[나]와 [다]에 있는 문제점을 파악하여 제시하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⑤[라]와 같은 문학작품이 쓰인 이유를 밝히시오.동국대 문제를 풀 때 생각해야 할 원칙이 있습니다. 짧은 글일수록 더 높은 밀도로 풍부하게 기술하도록 노력하기, 그리고 긴 글에서는 논리적으로 답변할 것. 짧은 분량에서 별도의 제시문 정리는 불필요할 뿐만 아니라 분량상 불가능하기도 합니다. 동국대 기출문제를 풀면서 어떤 학생들은 마치 ‘퀴즈’ 같다는 반응을 보이기도 합니다. 문제의 요구사항에 일정한 패턴이 없기 때문에 최대한 당면한 문제에 대해 충실하게, 풍부한 글감으로 답변을 전개해야 합니다.우선 한글 맞춤법의 대상은 ‘표준어’입니다. 그리고 두 가지 상충하는 원리는 소리대로 적는 원리와 의미로 구분하는 원리입니다. 그런데 세 번째 요구사항을 봤을 때, 원리가 상충하더라도 결국 목적만큼은 동일합니다. 모두 의미 혼동을 막아 소통을 원활하게 하려는 것입니다. 이들을 제한된 분량 안에 논리적인 맥락을 살려서 기술하면 아래와 같이 답변할 수 있습니다.[부분 답안] 표준어를 대상으로 삼는 한글 맞춤법의 1항은 상충한다. 소리대로 적는 표음주의와 ‘업다’, ‘없다’처럼

  • 영어 이야기

    고의 방해는 'put a spoke in someone's wheel'

    Korea must embrace diversity to sustain K-culture: Sam RichardsThe country must encourage ideas from outside the center to continue its dynamic changes, the Penn State University professor says▲ Some critics say that Korean society lacks diversity and doesn’t fully embrace differences in terms of race, gender, class and others. Do you think this could affect K-culture’s power in the future?“Of course. I know that many Korean parents want their children to go to prestigious universities, work for conglomerates and live successful lives. Like them, people in the center of society want to remain as part of the center and they reproduce it. But cogs in the wheel are also very important - people on the margins or outside the center have less to lose and they can be more creative by seeing different possibilities and making dynamic changes. This is no exception for Korea.”K컬처를 지속하려면 한국은 다양성을 포용해야 한다: 샘 리처즈한국이 역동적인 변화를 이어가려면 외부로부터 다양한 아이디어를 적극적으로 받아들여야 한다고 미국 펜실베이니아주립대 교수는 말한다.▲ 한국 사회가 다양성이 부족하고 인종, 성별, 계급 등의 관점에서 차이점을 충분히 받아들이지 않는다는 지적이 일부에서 있습니다. 이런 현상이 앞으로 K컬처의 힘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보시나요?“물론입니다. 한국의 많은 부모님이 자기 자식은 명문대에 진학하고, 대기업에서 일하면서 성공적인 삶을 살기를 원한다는 것을 저도 잘 압니다. 마찬가지로 사회의 중심부에 있는 사람들은 그 지위를 자식들에게 물려주고 그대로 지키기를 원하지요. 하지만 사회 구성원 각자가 모두 소중합니다. 주변부에 있거나 소외된 사람들은 잃을 게 없기 때문에 더욱 독창적으로 다른 가능성을 바라보고 더 역동적인 변화를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일탈의 언어' 선보인 60년 전 비문논쟁

    “‘야만한 원색’은 어느 나라 말인지 모르겠고, ‘서기한 광채’는 아마 ‘瑞氣한 光彩’인 모양인데 ‘서기(瑞氣)’는 명사다. 명사 밑에 ‘-한’이 붙어도 좋다면 ‘인간(人間)한’ ‘지구(地球)한’ ‘적색(赤色)한’ ‘청색(靑色)한’도 다 말이 되어야 할 것이다.”(김동리)“‘야만(野蠻)’은 ‘야만한’ 따위로 얼마든지 쓸 수 있다. ‘서기하는 광채’는 기호지방, 특히 충청도에서 쓰는 말이다. 어둠 속에서 인광처럼 퍼렇게 빛나는 것을 ‘서기한다’고 한다. ‘고양이가 서기한다’ ‘서기하는 호랑이의 눈’이라고 얼마든지 말한다.”(이어령) 이어령-김동리 대가들도 국어문법성 다퉈1959년 2월, 20대 청년 비평가로 활동하던 이어령 선생의 번역시를 두고 경향신문을 통해 지상논쟁이 벌어졌다. 우리 사회 대표적 석학이던 고(故) 이어령 선생이 젊은 시절 당대 문단의 중진인 소설가 김동리 선생과 벌인, 이른바 ‘비문논쟁’의 한 대목이다. 은유와 비문(非文) 여부를 둘러싼 내밀한 공방 속에서 수사법과 국어 문법 사이의 거친 충돌을 고스란히 느낄 수 있다. 그들의 논쟁 가운데는 특히 ‘명사+하다’ 용법을 직접적으로 거론한 대목도 있다. 이를 통해 우리말에서 ‘규범의 준수’와 ‘일탈의 유혹’ 사이에 생기는 딜레마를 살펴보자.‘서기한 광채’에서 ‘서기’를 ‘瑞氣’로 해석한다면 어법적으로 ‘서기한’은 틀린 표현이다. ‘瑞氣’란 ‘상서로운 기운’이다. ‘기운하다’가 말이 안 되는 것처럼 ‘서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姑息之計 (고식지계)

    ▶한자풀이姑: 시어미 고息: 아이 식之: 갈 지計: 셈할 계부녀자나 어린아이가 꾸미는 계책근본책이 아닌 임시변통을 이름  -<시자(尸子)> 등고식(姑息)은 두 가지 뜻이 있다. 하나는 ‘잠시 숨을 쉰다’는 의미로, 우선 당장에는 탈이 없고 편안히 지내는 것을 비유한다. 또 하나는 부녀자와 어린아이를 아울러 이르는 말로 쓴다.전국시대 시교(尸校)가 지은 <시자(尸子)>에는 “은나라 주왕은 노련한 사람의 말을 버리고 부녀자나 아이의 말만 사용했다(紂棄老之言 而用故息之語)”는 구절이 있다. 널리 보는 지혜가 아니라 눈앞의 이익만 좇는 사람들의 말을 들으면 화를 가져온다는 뜻이다.주왕은 은나라 마지막 임금으로 술을 좋아하고 음란했으며, 가혹하게 세금을 거둬 백성들의 원망을 산 인물이다. 시교는 진(秦)나라 재상 상앙의 스승으로, 유가(儒家)·묵가(墨家)·법가(法家) 사상을 두루 아울렀다.<예기(禮記)> 단궁편에는 “증자가 말하기를, 군자가 사람을 사랑할 때는 덕으로 하고 소인이 사람을 사랑할 때는 고식으로 한다(君子之愛人也以德 細人之愛人也以姑息)”는 구절이 있다. 군자는 덕으로 사랑하므로 오래가고 소인은 목전의 이익을 두고 사랑하기 때문에 오래가지 못한다는 뜻이다.고식지계(姑息之計)는 ‘부녀자나 어린아이의 계책’이란 뜻으로, 근본적 해결책이 아닌 임시방편이나 당장에 편한 것을 택하는 걸 비유한다. 남존여비(男尊女卑) 사상이 깔린 한자성어다.바늘로 꿰매듯 임시적으로 일을 처리하는 미봉책(彌縫策), 아랫돌을 빼서 윗돌을 괸다는 하석상대(下石上臺), 제 귀를 막고 방울을 훔친다는 엄이도령(掩耳盜鈴), 신발을

  • 대학 생글이 통신

    왜 이게 정답인지 알아가는 과정이 중요

    공부는 자신이 모르는 것에 대해 찾아가는 과정이라고 생각합니다. 대부분의 공부법이 ‘문제풀기’에 초점이 맞춰져 있는데, 저는 문제를 푸는 것보다 ‘왜 이게 정답인지’를 찾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이 글에서는 제가 국어, 영어, 수학 과목을 어떻게 공부했는지 말씀드리겠습니다.국어의 경우 크게 비문학, 문학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비문학을 공부할 때는 문제마다 근거를 찾는 연습을 했습니다. 비문학은 사실 확인과 본문에서 읽은 것이 맞는지 확인하는 문제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지문에서 근거를 찾을 수 있습니다. 오답인 선지는 왜 오답인지 선지를 수정한 다음, 나머지 선지의 근거들은 본문에서 찾아 밑줄로 연결하며 확인했습니다. 이렇게 근거를 확인하는 연습을 하다 보면 문제를 풀 때 지문에서 근거를 찾는 속도가 빨라지고, 문제를 출제할 때 어떤 기제로 본문을 변형시켜 가져오는지 파악할 수 있습니다.문학 작품의 경우 많은 작품에 노출되는 것이 좋습니다. 처음 보는 작품보다 이미 접해본 것이 읽기도 편하고, 문제를 풀기도 쉽습니다. 저는 <몽땅 벗기기>라는 책으로 공부했습니다. 유명한 작품이 대부분 수록돼 있는 책으로 각 작품의 갈래, 주제, 작품 해석을 공부했습니다. 소설 작품은 줄거리 위주로, 시는 비유법과 표현법 위주로 정리했습니다.수학은 문제를 풀면서 오답 위주로 공부했습니다. 저는 수학 문제를 노트에 푸는 습관을 들였고, 문제집에는 틀린 문제만 표시해뒀습니다. 틀린 문제는 최대 30분까지 고민했고, 그래도 방법이 떠오르지 않을 때는 답지를 보거나 선생님께 여쭤보았습니다. 한 번 틀린 문제는 두 번 이상 다시 풀었습니다.

  • 대입전략

    교과·종합·논술 선발 중 41%가 수능 최저 요구…수능·내신 균형 있는 학습이 수시전략의 핵심

    정시 모집뿐 아니라 수시에서도 수능 성적은 당락을 가르는 핵심 평가요소 중 하나다. 주요 대학 상당수가 수시에서 수능 최저학력기준으로 일정 수준 이상의 수능 성적을 요구한다. 이 같은 수능 최저를 맞추기 위해서는 선택과 집중 등 전략적인 수능 학습이 필요하다. 2024학년도 주요 21개 대학의 수시 수능 최저 수준을 분석해본다.주요 21개 대학의 2024학년도 수시 학생부교과 선발 인원은 전형계획안 정원 내 기준으로 7301명에 이른다. 이 중 73.3%(5355명)는 수능 최저를 요구한다. 예를 들어 국어, 수학, 영어, 탐구 중 ‘2개 등급 합 4’와 같은 식으로 일정 수준 이상의 수능 성적을 제출해야 한다. 내신 성적이 아무리 뛰어나도 수능 최저를 충족하지 못하면 불합격이다. 수시 전략에서 수능 최저는 가장 중요한 평가요소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다.논술전형은 5329명 선발 중 70.8%(3774명)가 수능 최저를 요구한다. 학생부종합은 수능 최저를 요구하는 대학이 상대적으로 적은 편인데, 전체 선발 인원 1만8583명 중 20.5%(3804명) 수준이다. 학생부교과, 학생부종합, 논술 전형을 합해 보면 수능 최저를 요구하는 비중은 평균 41.4%에 달한다. 총 1만2933명 규모다.각 전형 내 대학별 수능 최저 적용 현황을 살펴보면, 학생부교과는 20개 대학 중 15개 대학에서 수능 최저를 적용한다. 수능 최저가 없는 학생부교과전형은 연세대, 한양대, 이화여대, 건국대, 동국대 등 5개 대학 1946명에 해당한다. 논술은 18개 대학 중 14개 대학에서 수능 최저를 맞춰야 한다. 연세대, 한양대, 서울시립대, 단국대 956명 선발에 한해서만 수능 최저를 요구하지 않는다. 학생부종합은 21개 대학 중 6개 대학에서 수능 최저를 충족해야 한다. 서울

  • 신철수 쌤의 국어 지문 읽기

    비율을 고려한 글 읽기, "얼마를 곱해야 하지?"

    13. 윗글을 바탕으로 <보기>를 이해한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보기>갑의 재산으로는 A 물건과 B 물건이 있었으며 그 외의 재산이나 채무는 없었다. 갑은 을에게 A 물건을 무상으로 넘겨주었고 그로부터 6개월 후 사망했다. 갑의 상속인으로는 갑의 자녀인 병만 있다. A 물건의 시가는 을이 A 물건을 소유하게 되었을 때는 300, 갑이 사망했을 때는 700이었다. 병은 갑이 사망한 날로부터 3개월 후에 을에게 유류분권을 행사했다. B 물건의 시가는 병이 상속받았을 때부터 병이 을에게 유류분 반환을 요구했을 때까지 100으로 동일하다.(단, 세금, 이자 및 기타 비용은 고려하지 않음.)① A 물건의 시가 상승이 을의 노력과 무관한 경우 유류분 부족액은 300이다.② A 물건의 시가 상승이 을의 노력과 무관한 경우 유류분 반환의 대상은 A 물건의 3/7 지분이다.③ A 물건의 시가가 을의 노력으로 상승한 경우 유류분 부족액은 100이다.④ A 물건의 시가가 을의 노력으로 상승한 경우 유류분 반환의 대상은 A 물건의 1/3 지분이다.-2023학년도 9월 평가원 모의고사- 을의 노력과 무관한 경우…을의 노력으로 상승한 경우‘경우’에 따라 달라지는 결과에 관한 글은 판정도로 정리하며 읽으라 했다. ‘경우’에 해당하는 것이 판정의 기준이 될 것이다. 이 문제에서는 ‘노력’의 상관성 여부가 그것이다. 이와 관련한 지문의 내용을 찾아보면 다음과 같다.<<무상 처분된 물건의 시가가 변동하면 유류분 부족액을 계산할 때는 … 상속 개시 당시의 시가를 기준으로 해야 한다. 다만 물건의 시가 상승이 무상 취득자의 노력에서 비롯되었으면 이때는 무상 취득 당시의 시가를 기준으로 계

  • 대학 생글이 통신

    D-10일, 남은 시간 후회없이 사용하려면

    수능이 10일 남았습니다. 수험생 여러분이 남은 시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제 경험을 공유합니다. # 시험 시간에 맞춰 문제 풀어보기수능을 준비하는 분들은 지금 모의고사 기출 문제나 사설 모의고사, 혹은 문제집을 풀고 있을 거예요. 저도 그랬고, 선배들도 그렇게 준비했겠죠. 하지만 문제를 풀고 해설을 찾아보면서 틀린 문제를 확인하는 것보다는 실제 수능 시간에 맞춰 문제를 풀어보는 것이 더 중요합니다. 물론 문제를 풀고 틀린 문제를 보는 것도 중요하지요. 그런데 내가 본 기출 문제가 올해 수능에 나올 거라고 확신할 수 있을까요. 아마 대부분의 대답은 ‘No’겠지요. 맞아요. 보통 3년 주기로 문제가 조금씩 비슷하게 나온다는 얘기가 있지만, 한 번도 같은 문제가 나온 적은 없습니다. 그래서 남은 열흘간 시험에 익숙해져야 한다는 것이죠. 즉, 국어부터 탐구 과목까지 시험 시간부터 쉬는 시간 모두 맞춰서 풀어보는 걸 추천한다는 얘기입니다. ‘굳이?’라는 의문이 들 수도 있습니다. 그럼에도 이걸 가장 중요하게 말씀드리는 이유는, 이 패턴이 몸에 익으면 수능 당일 시험 시간에 집중하는 데 큰 도움이 되기 때문이에요. # 수면 시간 지키기며칠 동안 3시에 낮잠을 잔 사람은 잘 생각이 없어도 몸에 익어버린 생활 방식 때문에 3시쯤 되면 졸린다고 하죠. 시험 시간에 맞춰 문제를 풀어보는 것도 비슷한 맥락으로 이어질 거라고 생각합니다. 특히 수능 전날에는 너무 긴장한 탓에 잠을 못 이루는 수험생이 많을 거예요. 긴장감 때문에 잠을 못 이루는 것보다는 졸려서, 몸이 피곤해서 잠을 자는 게 수능 당일에 도움이 되지 않을까요? 잠을 못 자면 예민하고, 졸리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