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대입전략

    서울대 인문계 이과생 합격률 62.8%까지 상승…수학 이과생 강세 → 남학생 강세로 이어져

    서울대 입시는 최상위권 학생들의 각축장이다. 그해 입시의 전반적인 특징과 쟁점이 뚜렷하게 드러나곤 한다. 통합수능 체제에서도 마찬가지다. 선택과목에 따른 문이과 유불리, 교차지원 등 통합수능의 특징이 고스란히 드러난다. 이 때문에 서울대의 입시 결과를 해석하는 것은 올해 입시 흐름을 이해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 서울대는 통합수능 2년차인 지난해 정시에 교과평가를 도입하는 등 큰 변화를 겪었다. 통합수능 전후 서울대 입시 결과를 분석해본다.현행 수능 국어, 수학은 공통과목과 선택과목으로 나뉜다. 예컨대 수학은 수학Ⅰ·Ⅱ를 공통으로 치르고, ‘미적분’ ‘기하’ ‘확률과 통계’ 중 한 과목을 선택해 응시한다. 공통과목으로 문이과 통합교육을 평가하면서도 수험생의 선택권 확대를 보장하겠다는 것이 통합수능의 핵심이다. 이처럼 국어, 수학은 선택과목에 따라 응시 영역이 달라진다. 하지만 성적은 전체 응시생을 통합해 일괄적으로 매긴다는 것이 문제다. 보는 문제가 다른데 평가는 같이 한다. 선택과목에 따른 유불리 문제가 발생할 수밖에 없다.특히 수학에서 문이과 유불리 문제가 확연하다. 종로학원이 수학 1등급 내 이과생(미적분 또는 기하 응시) 비중을 분석한 결과 2022학년도 85.3%에서 2023학년도 88.9%로 높아졌다. 통합수능 체제에서 수학 1등급 열에 아홉은 이과생이었다는 것이다. 통합수능에서 이과생 강세는 대입 지형을 바꿨다. 이과생들이 수학에서의 강세를 앞세워 인문계 학과로 대거 교차지원했다.서울대 입시 결과는 이 같은 변화를 확연하게 보여준다. 서울대 정시에서 예체능을 제외한 인문계 학과 최초합격생 중 이과생 비중은 2022

  • 대학 생글이 통신

    왜 공부해야 하는지 모를 때 생각해볼 질문들

    “솔직히 왜 공부해야 하는지 모르겠어요. 시간 낭비 같아요. 수능 공부할 시간에 디자인을 하고 싶어요.” 광고디자인 전공을 희망하는 한 학생이 어느 날 제게 이런 말을 했습니다. 아마 많은 학생이 비슷한 고민을 하고 있을 것입니다. 이런 고민을 먼저 한 사람으로서 작은 조언을 드리고 싶습니다. 저는 공부를 반드시 해야 한다고 생각하진 않습니다. 다만 다음과 같은 질문에 대해 생각해보면 좋겠습니다.# 내 꿈은 무엇이고, 꿈을 이루기 위해 무엇을 해야 하나공부는 재미가 없습니다. 결국 미래를 위해 하는 것인데, 미래에 이루고 싶은 목표가 없다면 공부할 이유도 없습니다. 미래에 대해 생각해보면 ‘돈 많이 벌기’ 같은 꿈이라도 생길 것입니다. 꿈을 정한 뒤에는 그 꿈을 이루기 위해 어떻게 해야 하는지 알아봐야 합니다. 애플 광고를 만드는 것이 꿈이라면 애플 광고 회사인 TBWA 홈페이지에 들어가보고, 그 회사에서 일하는 사람들의 포트폴리오를 찾아보며 로드맵을 세워보세요.# 공부를 하면 어떤 점이 좋은가제가 생각한 첫 번째 장점은 명성이 높은 대학교, 자신이 원하는 과에 갈 가능성이 커진다는 것입니다. 바람직한가를 떠나 현실적으로 좋은 대학에 가면 직장을 구할 때 면접관에게 긍정적인 인상을 남길 수 있습니다. 교수님이 연결해주는 직장의 종류도, 주변 사람들에게 얻는 정보도 달라질 수 있습니다. 두 번째 장점은 꿈을 위해 필요한 지식을 얻을 수 있다는 것입니다. 외국계 회사에 들어가기 위해 영어 실력을 쌓고, 광고를 만들 때 차용할 수 있는 문학 작품에 대해 배울 수도 있습니다.# 공부를 하지 않으면 어떤 점이 좋은가공부를 하지 않으면 시간이 많이 남습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다시 '독립신문 창간정신'을 새기는 까닭은 …

    “우리신문이 한문은 아니쓰고 다만 국문으로만 쓰난거슨 샹하귀쳔이 다보게 홈이라. 또 국문을 이러케 귀졀을 떼여 쓴즉 아모라도 이신문 보기가 쉽고 신문속에 잇난 말을 자세이 알어 보게 함이라.”(독립신문의 창간사설 중) 임오군란(1882) 갑신정변(1884) 을미사변(1895) 아관파천(1896)…. 열강의 각축으로 조선왕조의 운명이 백척간두에 서 있던 구한말. 1896년 4월 7일 우리나라 최초의 민간신문 ‘독립신문’이 탄생했다.쉬운 글말 쓰기…독자중심주의 표방독립신문은 한국 언론사(史)뿐만 아니라 국어사적으로도 획기적인 이정표를 세웠다. 창간사설에서 신문 최초로 한글 전용(한문은 아니쓰고 다만 국문으로만 쓰난거슨)과 띄어쓰기(귀졀을 떼여 쓴즉) 도입을 분명히 했다. 그리고 그 이유를 ‘상하귀천이 다 보게’ 하고 ‘아무라도 신문 보기가 쉽고 말을 알아보게’ 하기 위한 것이라고 밝혔다. ‘읽기 쉽고 알기 쉽게’라는, 신문의 글쓰기 원리를 생각할 때 지금 다시 봐도 무릎을 치게 하는 선구자적 혜안이다. 후대 언론인들은 그 정신을 이어받아 4월 7일을 ‘신문의 날’로 삼아 매년 기념하고 있다.하지만 신문언어의 현실은 사뭇 다르다. 신문의 글은 여전히 공급자 위주이고 독자 눈높이에 맞추지 못한다. 자동제세동기, 이주배경인, 그린택소노미, 알이백, 성인지감수성, 사보임, 촉법소년…. 언론에 자주 등장하는 용어 몇 가지만 나열해도 신문언어가 얼마나 일상의 말에서 동떨어져 있는지 알 수 있다.한동안 ‘자동제세동기’란 말을 자주 접했다. 5~6년 전쯤 지하철역 등 다중 이용시설에 배치돼 화제가 됐다. 자동제세동기(自動除細動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轍鮒之急 (철부지급)

    ▶ 한자풀이轍: 바퀴자국 철  鮒: 붕어 부  之: 갈 지  急: 급할 급수레바퀴 자국에 괸 물에 있는 붕어위급에 처하거나 상황이 매우 곤궁함  - <장자(莊子)>장자(莊子)는 자연적인 삶을 추구했지만 집안은 늘 가난했고 밥을 굶는 날도 많았다. 장자가 친분이 있던 지방장관 감하후(監河侯)에게 양식을 꾸러 갔다. “형편이 나아지는 대로 갚을 테니 얼마만 융통해주십시오.”감하후가 답했다. “좋소이다. 고을에서 세금이 들어오는 대로 삼백 금을 빌려드리겠소. 그리하면 되겠지요?”감하후의 속내를 알아챈 장자가 퉁명스럽게 쏘았다. “말씀만으로도 감사합니다. 하지만 그땐 무슨 소용이 있겠습니까?”그러고는 비유를 들어 감하후를 꾸짖었다. “어제 이리로 오는 길에 누가 저를 부르더군요. 그래 돌아보았더니 수레바퀴 지나간 자리에 붕어가 있지 않겠소. 어찌 된 일이냐고 물었더니, ‘나는 동해의 파신(波臣: 물고기)인데 어떻게 한두 바가지 물로 나를 살려줄 수 없겠소’ 하는 것이었습니다. 그래서 제가 ‘알았네. 내가 곧 오나라 월나라 임금을 만나게 될 테니 그때 서강(西江)의 물을 끌어다가 그대를 맞이하겠네. 괜찮겠지’ 하고 대답했더니 붕어가 화를 내며, ‘나는 잠시도 없어서는 안 될 것을 잃고 당장 곤란에 빠져 있소. 한두 바가지 물만 있으면 나는 살 수 있소. 그런데 당신은 그런 태평스러운 소리만 하고 있으니 차라리 일찌감치 건어물 가게로 가서 나를 찾으시오’라고 했습니다.”철부지급(轍之急)은 <장자> 외물편 이야기에서 유래하며, 수레가 지나간 바퀴 자국에 생긴 물웅덩이에 있는 붕어의 위급함이라는 뜻이다.

  • 대학 생글이 통신

    모의고사 잘 활용하면 내신·실력 향상에 도움

    모의고사는 수험생에게 이정표이자 나침반입니다. 모의고사를 잘 활용하면 수능을 준비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1~2학년 때 내신을 챙기느라 모의고사 공부를 소홀히 하면 고3이 돼서 감을 잡는 데 많은 시간이 걸릴 수 있습니다. 내신과 모의고사는 결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내신 공부용으로라도 모의고사를 꾸준히 활용하는 게 좋습니다. 모의고사 활용법을 소개합니다.첫째, 실력 테스트용으로 활용하기. 과목이나 선생님의 특성상 모의고사와 유형이 비슷하다면 더 좋습니다. 모의고사 기출문제는 워낙 많고 다양해 주기적으로 공부하기에 그만입니다. 시간을 재며 테스트하고, 승부욕이나 경쟁심을 끌어올리는 데 활용해보세요. 다만, 어설픈 실력으로는 문제만 낭비할 뿐이니 먼저 기초 실력을 잘 다진 뒤 시도할 것을 추천합니다.둘째, 실력 향상 방법으로 활용하기. 모의고사 중에서도 일명 ‘킬러’로 불리는 문제가 많습니다. 난도가 높지 않더라도 학생에 따라 유독 시간이 오래 걸리거나 어렵게 느껴지는 문제입니다. 저는 모의고사를 다 푼 뒤에 그런 문제들은 따로 모아 한 번 더 짚어봤습니다. 우선 문제당 10~15분을 투자해 끈질기게 고민해봅니다. 그렇게 문제를 풀다 보면 ①금세 맞히는 경우 ②시간이 오래 걸리지만 맞히는 경우 ③틀리는 경우로 나뉩니다.①의 경우 풀이 과정을 꼼꼼히 확인해 운으로 또는 잘못된 방식으로 맞힌 것이 아닌지 확인합니다. 만약 잘못된 방식으로 맞힌 것이라면 ③으로 넘깁니다. 이때는 개념 자체를 잘못 아는 것일 수 있기 때문에 더 위험합니다. ②의 경우 풀이 과정에서 시간을 단축할 방법을 찾고, 문제는 따로 스크랩합니다. 다만 시간을 단

  • 최준원의 수리 논술 강의노트

    수식에 숨어 있는 의도를 파악하려면?

    수식 또는 식의 계산이 비교적 쉬운 문제는 기본 개념과 계산 능력을 간단하게 확인하려는 것이므로 어렵지 않게 해결할 수 있다. 그러나 수식이 복잡하거나 문제의 조건이 늘어날수록 문제를 해결하기가 어려워진다. 이때 수식 자체에만 집중하다 보면 출제 의도를 놓치기 쉬우므로 수식에 들어 있는 출제 의도를 파악하려는 것이 문제 해결에 도움 된다. 이 경우 수식이 가진 의미 단위로 문제를 재구성하거나 문제의 조건 중 놓친 부분이 없는지 다시 점검해볼 필요가 있다. 예시 논제를 통해 문제의 해결 과정을 따라가고 이를 다른 문제에도 적용해보자.포인트A=-B면 A=0이거나 A와 B의 절댓값이 같고 부호가 반대여야 한다.

  • 대입전략

    의약학 지역인재 총 1998명 선발…호남 692명 최다 지역 학생만 지원…전국선발 대비 합격선 소폭 낮아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지방권 의대, 치대, 한의대, 약대는 지역인재로 40% 이상을 선발한다. 수의대의 경우 20~30% 선에서 지역인재 전형을 운영한다. 지역인재는 해당 소재 지역 학생만 지원할 수 있는 전형이다. 전국선발과 비교해 경쟁률 및 합격선이 소폭 낮게 형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2024학년도 의약학계열 지역인재 전형에 대해 알아본다.종로학원이 올해 의약학계열 지역인재 선발 규모를 분석한 결과 전형계획안 정원 내외 기준 총 1998명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인재를 시행하는 지역의 전체 선발 중 평균 43.8%에 달한다. 지방권 의대, 치대, 한의대, 약대는 대학별로 40% 이상을 지역인재로 선발한다. 단, 강원과 제주지역은 20% 수준으로 예외를 적용받는다. 수의대는 20~30% 수준에서 지역인재를 운영한다.지역인재 전형은 지방권 학생에겐 대입 전략의 핵심이라 할 수 있다. 지원 자격이 해당 지역 출신으로 제한되다 보니 경쟁률과 합격선이 전국선발과 비교해 소폭 낮게 형성된다는 것이 특징이다. 의약학 지역인재는 수도권을 제외한 14개 시·도를 6개 권역으로 묶어 시행한다. 호남권(광주, 전북, 전남) 충청권(대전, 충북, 충남, 세종) 대구경북권(대구, 경북) 부산울산경남권(부산, 울산, 경남) 강원권(강원) 제주권(제주) 등 6개 권역이다. 예를 들어 호남권 대학 중 한 곳인 전남대 지역인재는 ‘호남지역(광주, 전남, 전북) 소재 고등학교 전 과정을 이수(입학 일부터 졸업 일 까지)한 고등학교 졸업(예정)자’로 지원 자격을 제한한다.대학 그룹별로 지역인재 규모를 살펴보면, 의대가 1025명으로 가장 많다. 의대 지역인재 실시 지역 전체 선발 중 49.2%에 달하는 수치다. 치대는 200명(44.2%)

  • 영어 이야기

    의사를 타진할 땐 'sound somebody out'

    Samsung Pay boasts 16 million active users, more than one-third of South Korea’s population.Its move comes as Samsung Pay’s contracts with credit card firms participating in its mobile payment platform are coming due later this year.“Ahead of the contract expiration, Samsung Electronics is sounding out credit card companies about charging a fixed rate fee per transaction as Apple does,” said one of the credit card industry sources. In that regard, a Samsung Electronics official said it is open to all possible options, but has not yet finalized a decision.To verify the user’s identity, Samsung Pay charges a 5-10 won fee. But the money goes to the verification service providers.삼성페이는 국내 활성 사용자 수 1600만 명을 자랑한다. 대한민국 인구의 3분의 1이 넘는 규모다.삼성페이 플랫폼에 참여하고 있는 각 카드사와 삼성페이의 재계약 시점은 올해 하반기로 예정돼 있다.카드업계 한 관계자는 “계약 만기를 앞두고 삼성전자가 애플페이처럼 삼성페이도 결제 건당 정률 수수료를 카드사에 부과하는 가능성을 타진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와 관련해 삼성전자 관계자는 아직 정해진 것은 없지만 모든 가능성을 열어두고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삼성페이는 사용자 신원을 확인하기 위해 5~10원의 수수료를 부과한다. 하지만 이 돈은 삼성이 아니라 보안 인증업체에 돌아간다.해설애플페이가 지난달 21일 한국에서 서비스를 시작했습니다. 애플페이는 신용카드사에 결제 수수료를 부과합니다. 그동안 이런 수수료를 물리지 않았던 삼성페이가 맞대응 차원에서 애플과 마찬가지로 카드사에 수수료를 요구할지 관심이 모아진다는 내용의 기사입니다.삼성이 이런 방침을 적용할지를 두고 카드사를 상대로 의사를 타진해본다는 의미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