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2) 같은 현상을 다르게 설명하는 이론들
심리 철학에서 동일론은 의식이 뇌의 물질적 상태와 동일하다고 본다. 이와 달리 기능주의는 의식은 기능이며, 서로 다른 물질에서 같은 기능이 구현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이때 기능이란 어떤 입력이 주어졌을 때 특정한 출력을 내놓는 함수적 역할로 정의되며, 함수적 역할의 일치는 입력과 출력의 쌍이 일치함을 의미한다. … 기능주의는 의식을 구현하는 물질이 무엇인지는 중요하지 않다고 본다.

설(Searle)은 기능주의를 반박하는 사고 실험을 제시한다. ‘중국어방’ 안에 중국어를 모르는 한 사람만 있다고 하자. 그는 중국어로 된 입력이 들어오면 정해진 규칙에 따라 중국어로 된 출력을 내놓는다. 설에 의하면 방 안의 사람은 중국어 사용자와 함수적 역할이 같지만 중국어를 아는 것은 아니다. 기능이 같으면서 의식은 다른 사례가 있다는 것이다.

동일론, 기능주의, 설은 모두 의식에 대한 논의를 의식을 구현하는 몸의 내부로만 한정하고 있다. 하지만 의식의 하나인 ‘인지’ 즉 ‘무언가를 알게 됨’은 몸 바깥에서 일어나는 일과 맞물려 벌어진다. … 로랜즈의 확장 인지 이론은 이를 설명하는 이론이다.(중략)

확장 인지 이론은 의식의 문제를 몸 안으로 한정하지 않고 바깥으로까지 넓혀 설명한다는 의의를 지닌다.

- 2023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모의 평가 -
<지문의 주요 키워드> 동일론은…와 달리 기능주의는…설(Searle)은 기능주의를 반박…동일론, 기능주의, 설은 모두…로랜즈의 확장 인지 이론은이론은 어떤 현상(대상)을 설명하는 방식이다. 이론은 논리적이어야 하기 때문에 그 나름대로 근거를 갖고 있다. 그러나 이론은 완벽할 수 없다. 그러다 보니 같은 현상(대상)을 놓고 다르게 설명한다. 이를 잘 알고 있는 철수 쌤은 이론을 설명하는 글을 읽을 때 이를 감안해서 읽는 버릇이 있다.

우선 지문에서 ‘동일론은 …와 달리 기능주의는’을 읽으며 두 이론이 어떤 현상(대상)에 논의를 하고 있는지 파악한다. ‘의식이 … 의식은 …’이라는 내용을 고려하면 두 이론은 ‘의식’에 대해 설명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나아가 철수 쌤은 ‘…와 달리’를 고려해 다음과 같이 내용을 정리한다.
[신철수 쌤의 국어 지문 읽기] 이론의 차이점을 정확히 파악하는게 중요
철수 쌤은 의식에 관한 한 전문가가 아니기 때문에 ‘의식이 뇌의 물질적 상태와 동일하다’ ‘의식은 … 서로 다른 물질에서 같은 기능이 구현될 수 있다’가 정확하게 무슨 말인지 알 수 없으나, ‘…와 달리’를 고려해 서로 반대말이라고 생각하고 위 도식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각을 빨간색 부분으로 바꿔 이해한다.

‘설(Searle)은 기능주의를 반박하는’을 읽을 때도 마찬가지다. 설은 ‘기능이 같으면서 의식은 다른 사례가 있다’고 했다.
[신철수 쌤의 국어 지문 읽기] 이론의 차이점을 정확히 파악하는게 중요
지문에는 직접적으로 드러나 있지 않지만 기능주의를 ‘기능이 같으면 의식은 같다’라고 생각하며 읽은 이유는, 설이 기능주의를 반박했기 때문이다.

그런데 ‘동일론, 기능주의, 설은 모두 의식에 대한 논의를 의식을 구현하는 몸의 내부로만 한정하고 있다’고 하였다. 달라 보이는 이론들이지만 공통점이 있는 것이다. 그러면서 ‘‘인지’ … 몸 바깥에서 일어나는 일과 맞물려 벌어진다. … 로랜즈의 확장 인지 이론은 이를 설명하는 이론이’라고 하였다. 앞의 세 이론과 로랜즈의 확장 인지 이론은 다른 것이다. 뒤이어 그의 이론에 대한 자세한 설명이 있었는데 그 결론은 ‘확장 인지 이론은 의식의 문제를 몸 안으로 한정하지 않고 바깥으로까지 넓혀 설명한다’는 것이다. 이를 읽으며 철수 쌤은 다음과 같은 계층 구조를 떠올린다.
[신철수 쌤의 국어 지문 읽기] 이론의 차이점을 정확히 파악하는게 중요
사고 실험‘사고 실험’은 실행 가능성이나 입증 가능성에 구애되지 않고 사고상으로만 성립되는 실험을 말한다. 실험을 실제로 수행하기 힘들 때 생각만으로 실험 결과를 이끌어내는 것이다. 이론 체계에 존재할 수 있는 모순을 검토할 때 쓰인다. 지문에서도 ‘기능주의를 반박’하기 위한, 즉 기능주의에 존재하는 모순을 지적하기 위한 사고 실험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사고 실험은 실험에 필요한 장치와 조건을 단순하게 설정하고 상상만으로 실험의 결과를 유도하는 것이므로, 설의 사고 실험에서도 장치와 조건은 ‘중국어를 모르는 한 사람만 있’는 ‘중국어방’이고, 상상만으로 ‘그는 중국어로 된 입력이 들어오면 정해진 규칙에 따라 중국어로 된 출력을 내놓는다’고 실험 결과를 유도했다.

이 사고 실험에 따른 결론은 ‘방 안의 사람은 중국어 사용자와 함수적 역할이 같지만 중국어를 아는 것은 아니다’이고 이는 ‘기능이 같으면서 의식은 다’른 경우가 있다는 주장으로 이어진다.

결국 기능주의는 ‘기능이 같으면 의식도 같다’는 모순을 갖고 있다는 것이 설의 사고 실험의 결론이다.

사고 실험도 엄연한 실험이므로, 장치와 조건, 실험 과정, 실험 결과, 결론 등으로 나눠 내용을 파악할 필요가 있음을 유의하자. 포인트
성보고 교사
성보고 교사
1. 이론은 완벽할 수 없으므로 같은 현상(대상)을 놓고 다르게 설명하기도 한다.

2. 여러 이론을 설명하는 글에서는 각 이론이 어떤 현상(대상)을 설명하는지를 먼저 파악해야 한다.

3. ‘A와 달리 B’라는 문장 구조에서는 A와 B가 반대 관계임을 고려하자.

4. ‘사고 실험’은 실행 가능성이나 입증 가능성에 구애되지 않고 사고상으로만 성립되는 실험을 말한다.

5. 사고 실험도 엄연한 실험이므로 장치와 조건, 실험 과정, 실험 결과, 결론 등으로 나눠 내용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