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교양 기타
-
경제 기타
역사 교과서에 '대한민국 정통성' 내용 실린다
교과부, 새 역사교과서 집필 기준 확정 중·고교생들이 2011년부터 배울 역사 교과서에는 이전보다 한층 강화된 대한민국의 정통성 내용이 수록된다. 또 특정 이념이나 역사관에 편향되지 않고 객관적으로 서술하되 우리 역사의 주체적인 발전과정을 중시하고 민족사에 대한 자긍심을 갖도록 기술된다. 교육과학기술부는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새 역사 교과서 집필 기준'을 최근 확정했다고 4일 밝혔다. 교과부는 2007년 2월 7차 교육과정을 수정하...
-
경제 기타
가계 저축률 지속 하락 등
⊙ 가계 저축률 지속 하락 국내 가계 저축률이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있다. 한국은행은 5일 '저축률의 국제 비교와 평가' 보고서에서 가계의 저축액을 국민총처분가능소득으로 나눠 계산하는 개인 저축률이 2006년부터 2008년까지 평균 4.8%를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약 20년 전인 1986~1990년의 16.9%에 비해 12.1% 포인트 떨어진 것이다. 개인 저축률은 △1991~1995년 16.3% △1996~2000년 14.2% △2...
-
경제 기타
22년만에 부활되는 서머타임제 '得일까 失일까'
“에너지 절감·삶의 질 개선” vs “근로시간만 늘어날 것” 정부가 내년 4월부터 서머타임(Summer Time) 제도를 시행하는 방안을 적극 추진하기로 했다. 서머타임은 평소보다 해가 떠 있는 시간이 긴 여름철 사람들의 활동시간을 인위적으로 한 시간 앞당기는 제도로 '일광절약시간제'라고도 불린다. 정부는 이 제도를 도입하면 에너지 소비를 줄일 수 있어 경제적 이득효과가 크고 국민들의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다고 설명한다. 하지만 근무시간...
-
커버스토리
유통시장 장악하면 제조업까지 지배한다
국내 유통업의 역사는 근대화의 역사와 맞물려있다. 재래시장과 동네 가게가 책임지던 소매 유통업 구조에서 발전을 거듭해 다양한 형태의 가게와 점포들이 깔려 있다. 대형마트 백화점 편의점을 비롯해 프랜차이즈 SSM 창고매장 등 나름대로 장점을 내세운 업태들이 소비자를 끌어들이려 하고 있다. 더욱이 인터넷 기술이 발달하면서 온라인에서 오픈마켓,인터넷 쇼핑몰,TV 홈쇼핑 등 다양한 유통채널도 존재한다. 유통의 규모가 커진다는 것은 기회도 그만큼...
-
커버스토리
SSM의 출현…소비자 편익이냐, 동네 상인 생존권이냐
대기업들의 '기업형 슈퍼마켓'(SSM) 사업 확대를 둘러싼 갈등이 새로운 국면에 들어섰다. 중소 상인들이 SSM 출점을 막기 위해 정부에 사업조정을 신청하고 천막 농성과 집회, 불매 운동 등 집단 행동에 나서자 물리적인 충돌을 우려한 유통업체들이 마찰을 빚고 있는 지역의 출점(점포를 새로 여는 것)을 잇따라 보류하고 있다. 지역 상인들의 거센 저항과 집단적인 반발에 유통업체들이 한발 물러선 형국이다. 정부의 중재로 양측을 대표하는 단체들이...
-
경제 기타
'경제 파트너십' 입맞춘 美·中… G2시대 열리나
제1차 전략경제대화서 경제·외교안보 등 공조 합의 “산 속의 오솔길이라도 계속 다니면 길이 되고, 한동안 다니지 않으면 곧 띠풀이 자라 길을 막는다. (山徑之蹊閒,介然用之而成路. 爲閒不用,則茅塞之矣.)”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이 지난 27일 워싱턴에서 열린 미국과 중국간 제1차 전략경제대화 개막연설에서 사서삼경 중 하나인 맹자에 나온 문구를 인용한 말이다. 이번 전략경제대화가 미·중 간 새로운 파트너십 구축의 시발점이 되기를 바란다는 뜻...
-
과학 기타
열차의 '속도 혁명' 정거장은 없다… "총알 타고 달려볼까!"
시속 350km 'KTX-Ⅱ' 서울~부산 2시간내 주파 모두들 기차여행에 대한 좋든 안좋든 추억쯤은 하나씩 갖고 있을 것이다. 40∼50대에게는 학창시절 완행열차를 타고 수학여행을 가던 기억들. 90년대 대학생들에게는 지금은 없어진 통일호를 타고 서울에서 가평, 강촌 등으로 MT를 가던 기억들. 아련하고 재미있던 기억이다. 요즘 고등학생들은 기차하면 수학여행도 아니고 아마 지하철을 떠올릴지도 모른다. 그래서일까. 고속도로도 잘 닦이...
-
경제 기타
인감증명제 폐지해도 괜찮을까요?
찬 “국민생활에 불편주고 유지비용도 많이 들어” 반 “인감제 만큼 신분 확인할 안전한 장치 없어” 인감증명제는 이제 폐지되는 게 바람직한가. 거래 당사자의 본인 여부를 확인하는 제도로, 100년 가까운 역사를 가진 인감증명제도의 폐지 문제가 도마에 올랐다. 정부가 내놓은 '인감증명제도 개편방안'은 인감증명 요구 사무를 올해 안에 60% 줄이고, 앞으로 5년 안에 제도 자체를 완전히 폐지하는 방안을 추진키로 한다는 게 골자다. 정부 쪽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