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역사 기타

    "한반도에 권력이 출현한 것은 2세기 후반이었죠…개별 '취락'에서 '읍락'으로 사회통합이 광역화 됐죠"

    지금까지 호남에서 발굴된 3∼4세기의 취락은 모두 139곳이며, 그에 속한 주거지는 총 3749기다. 취락의 규모는 다양했다. 주거지가 100기를 넘는 큰 취락이 있는가 하면 10기가 못 되는 작은 취락도 있다. 취락의 표준 규모를 구하면 주거지 50∼70기다. 여기서는 논의의 단순화를 위해 50기라고 하자.앞서 당시에는 5명 안팎의 소규모 세대가 10개 정도 모여 하나의 세대복합체를 이뤘다고 했다. 그렇다면 취락은 세대복합체 5개가 모여 사는 공간으로 소속 인구는 250명 정도였다. 당시 한반도의 총인구는 얼마였을까. 앞서 황해도, 평안도, 함경도를 아우르는 낙랑군의 인구를 대략 40만 명이라 했다. 그 남쪽의 마한(馬韓), 변한(弁韓), 진한(辰韓)의 인구에 관해서는 14만∼15만 호(戶)라는 중국 측의 기록이 있다. 호당 인구를 5명으로 잡으면 70만∼75만 명이다. 그렇다면 3세기 한반도의 총인구는 110만 명 정도였다. 물론 어림수인데, 터무니없지만은 않다. 당시의 사회·경제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이 같은 인구수를 전제할 필요가 있다. 오늘날 서울시 인구의 10분의 1 정도가 한반도 전역에 흩어져 살았다고 생각해 보라. 바다와 강의 물길이 닿는 지역을 중심으로 4400개 정도의 취락이 듬성듬성 이어져 있었다. 내륙으로 들어가면 사람 구경을 하기 힘든 가운데 노루, 멧돼지, 호랑이 등이 서식하는 수풀이 울창했다. 사람들의 경제생활에서 어로, 수렵, 채취가 여전히 큰 비중을 지닌 생태 환경이었다.권력의 출현이 같은 환경에서 국가로 향하는 권력의 출현이 뚜렷해지는 것은 2세기 후반부터다. 고고학자들은 적석목곽묘(積石木槨墓)라는 새로운 묘제(墓制)에서 이 같은 역사적 변화를 관찰하고 있다. 여기

  • 역사 기타

    2세기 후반부터 주거지엔 '부뚜막' 많이 갖춰…철기시대엔 소가족이 개별세대 이뤘다는 뜻이죠

    부뚜막은 불을 들이는 아궁이, 솥걸이와 솥받침을 놓는 연소부, 연기가 빠지는 연도(煙道·구들)로 구성됐다. 시설 재료는 초기에는 돌과 점토였는데 점차 판석재로 고급화했다. 그에 따라 부뚜막의 난방 기능이 강화됐다. 부뚜막이 설치됨에 따라 반지하 움집의 벽체도 고급화했다. 연도가 벽체에 시설되면 벽체는 내화성을 지녀야 한다. 이에 반지하 움집의 하부 벽체가 종래의 목재에서 점토를 덧칠한 더 견고한 형태로 바뀌어갔다. 벽체 높이도 높아져 반지하 움집이 점차 지상가옥으로 이행하는 양상을 드러냈다.연(烟)전회에서 지적한 대로 청동기시대 인간들은 야외 노지에서 공동 취사를 했다. 공동 취사 단위는 대개 20명으로 소규모 가족 4개의 복합체였다. 곧 청동기시대에서 생활자료의 취득과 소비 단위로서 개별 세대(household)는 20명 안팎의 가족복합체였다. 철기시대에 이르러 부뚜막이 주거지 내에 설치됐음은 소규모 가족이 개별 세대로 성립하기 시작했음을 의미한다. 414년 세워진 고구려 광개토왕비에서는 이렇게 성립한 소규모 가족의 세대를 가리켜 연(烟)이라 불렀다. 반지하 움집의 부뚜막에서 밥 짓는 연기가 지붕 위로 솟은 연도를 통해 피어오르는 모습에서 그런 백성 칭호가 고안됐다고 여겨진다. 551년 세워진 신라 단양적성비도 그의 백성을 가리켜 연이라 했다. 문명 역사시대의 상징으로 국가가 솟아오를 때 그 저변에는 소규모 가족이 공동 취사의 집단에서 분리돼 개별 취사의 세대로 자립하는 역사의 진보가 가로놓였다.세대복합체그렇지만 소규모 가족 세대로의 자립성은 아직 생산 과정에까지 미치진 못했다. 생산력 수준에 제약이 있어 생산 과정은 몇 개의 세대가 결

  • 역사 기타

    국가의 성립이 원시시대와 문명시대 구분해요…한반도는 중국 연나라 진출로 철기시대 열렸죠

    인류 역사는 국가의 성립을 전후해 원시 선사시대와 문명 역사시대로 구분된다. 한반도에서 문명 역사시대로의 이행은 기원전 4세기 이후 장기에 걸쳐 완만한 과정을 밟았다. 기원전 4세기 한반도에 새로운 형태의 토기와 동검을 제작하는 청동기 문화집단이 출현했다. 이 집단에 밀려 송국리형으로 대표되는 기존 청동기 문화는 기원전 2세기까지 소멸했다.흉노 계통 옛 조선은 청동기 집단기원전 4세기 이후 중국 대륙은 전국시대의 혼란에 접어들었다. 동세기 중엽 중국인은 요하(遼河) 하류의 동쪽을 무대로 활동하는 조선(朝鮮)이란 정치체를 인지했다. 기원전 3세기 전반 조선은 요동으로 진출한 연(燕)과 충돌했다. 조선은 연에 밀려 한반도 청천강 이남의 평양으로 그 중심을 옮겼으며, 연은 그 이북에까지 세력을 확장했다. 한반도에 들어온 최초의 정치체 조선은 원래 스키타이, 오르도스, 요서의 넓은 지역을 무대로 하는 흉노와 밀접한 연관이 있는 문화집단이었다. 이 같은 정치적 변화와 같은 기간 벌어진 청동기 문화집단의 단절적 교체는 밀접한 상관을 지녔을 터다.철기시대와 문자생활 시작연의 서북 진출과 더불어 한반도에 철기시대의 문이 열렸다. 평북 영변군 세죽리 유적에서는 도끼, 낫, 칼 등 철제 농공구가 대량 출토됐다. 이후 철기 문화는 서해안을 따라 남하하거나 동부로 확산했다. 중부 이남에서는 청동기 문화가 강한 저항세를 보였다. 기원전 2세기 말 연이 망하자 위만(衛滿)이 조선으로 망명해 왕위를 찬탈했다. 조선의 준왕(準王)은 그의 무리를 이끌고 마한으로 내려가 왕이 됐다. 위만조선의 성립은 중국 철기 문화의 확산을 자극했다. 기원전 108년 한(漢)은 위만조선을 정복

  • 역사 기타

    역사적으로 군집→부족→족장사회→국가로 발전…한국의 청동기시대는 '군집'…단군신화와 역사는 달라

    송국리유형의 취락은 이전 유형에 비해 규모가 훨씬 컸다. 현재까지 발굴된 것 중에는 충남 보령시 관창리의 취락 유적이 가장 큰데, 특정 시점의 주거지가 100기 정도로 추정된다. 경남 진주시 대평리에서는 상이한 시점의 주거지를 합해 모두 350기의 주거지가 발굴됐다. 진주시는 대평리에 청동기문화박물관을 세워 관광객을 유치하고 있는데, 학습차 한 번쯤 들러볼 만하다.송국리유형의 취락을 둘러싸고서는 방호시설로 환호(環濠)와 목책(木柵)이 설치됐다. 이는 생활자료를 구하기 위한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취락 간 긴장이 높아진 시대가 됐음을 이야기하고 있다.단백질 공급원취락의 내외에는 분묘지와 경지가 조성됐다. 진주에서 발굴된 논의 규모는 평균 20㎡로, 한 사람으로도 개간과 관개가 가능할 정도의 작은 규모다. 반면 밭의 규모는 훨씬 컸다. 어느 밭은 이랑이 19개인데, 그중 하나는 길이가 123m에 달했다. 인골에서 추출된 안정동위원소 분석을 통해 그 사람이 평생 섭취한 식료의 종류를 알 수 있다.관련 연구에 의하면 신석기 시대 후기 인간들은 탄소열량을 주로 도토리나 벼와 같은 야생 식료 채취에 의존했다. 그에 비해 청동기 시대 후기, 곧 송국리유형에서 탄소열량의 주요 공급원은 조, 기장, 수수와 같은 밭작물로 바뀌었다. 다시 말해 밭농사가 경제생활의 불가결한 토대를 이룬 것이다. 단백질의 주요 공급원은 이전 시대와 마찬가지로 육상동물과 어패류였다. 수렵과 어로는 여전히 큰 비중의 생산활동을 이뤘다.송국리유형의 취락은 주거지, 농경지 외에도 공동의 분묘지, 저장시설, 공방(工房), 회의장, 외부와의 교역 장소 등을 보유했다. 고고학자들은 이 같은 구조의 취락을

  • 역사 기타

    한반도 정착 농경은 청동기 시대에 시작…당시 반지하 움집엔 저장·난방 시설 있었죠

    한반도에서 정착 농경의 성립은 기원전 13세기에서 4세기까지 청동기 시대의 일이다. 맨 처음 청동기 문화가 꽃핀 곳은 서북의 압록강과 청천강 유역이었다. 그것이 점차 남하해 기원전 12~10세기에 경기와 충청 일대에 가락동유형과 역삼동유형이란 두 문화를 성립시켰다. 정주취락의 전개가락동유형의 주거지는 대개 장방형으로 단축 5m, 장축 10m, 면적 50㎡의 반지하 움집이다. 역삼동유형의 주거지는 단축 3m, 장축 10m로 가락동유형보다 규모가 작으며 가늘고 길다. 지금까지 발굴된 주거지는 가락동유형이 34기, 역삼동유형이 136기다. 이들 주거지의 내부 시설, 상호배치, 주변 환경으로부터 청동기 시대의 경제생활이 어땠는지를 유추할 수 있다.반지하 움집에서 1인당 주거 면적은 대개 4∼5㎡다. 이에 가락동유형의 주거지에서 함께 산 인간(사람)은 10~12명으로 소규모 가족 2~3개의 결합에 해당한다. 주거지의 내부 시설로는 식료를 보관한 저장공(貯藏孔)과 불을 지핀 노지(爐址)가 있다. 주거지당 노지 수도 대개 2~3개다. 추정되는 소규모 가족 수와 노지 수가 일치한다는 사실에서 남녀의 성적 결합으로 자녀를 출산, 양육하는 단위인 소규모 가족은 일찍부터 성립해 있었다고 추정할 수 있다. 그렇지만 주거지를 복수 공간으로 구분하는 토벽과 같은 시설은 없었다. 이로부터 소규모 가족이 독자적인 생활단위로까지 성립했다고는 이야기하기 힘들다. 가락동·역삼동유형에서 개별 주거지는 소규모 가족의 복합체였다고 할 수 있다.가락동·역삼동유형에서 취락(聚落)은 주거지가 5기를 넘기 힘들었다. 취락 주변에는 소수의 예외가 있긴 하지만 분묘지나 농경지 같은 문화공간은 조성되지

  • 역사 기타

    1948년 5·10 전국 200개 선거구 첫 총선거...제주도 2개구는 좌익 폭력으로 뒤늦게 투표

    국민 대다수 참여한 첫 선거1948년 5월10일, 전국 200개 선거구에서 총선거가 치러졌습니다. 대한민국을 세우기 위한 첫걸음을 내딛은 것이지요. 이 선거에서 뽑힌 국회의원들이 해야 할 가장 중요한 임무는 대한민국의 헌법을 제정하는 일이었습니다. 5·10선거는 국민 대다수의 적극적인 참여로 성공적으로 이뤄졌습니다. 그런데 대표를 뽑을 수 없는 선거구가 있었습니다. 주민의 절반도 투표에 참여하지 않은 제주도의 두 선거구였습니다. 그때까지도 제주도에서는 제주 4·3사건의 갈등이 계속되고 있었습니다. 제주 4·3사건은 5·10선거에 대한 가장 강렬한 반대 투쟁이었습니다.해방 후, 미군이 일본군의 무장을 해제하기 위해 제주도에 들어간 때는 1945년 11월9일이었습니다. 육지보다 두 달이나 늦게 들어간 것이지요. 그 사이 제주도에서는 조선인민공화국(인공)의 지방 조직인 인민위원회가 세력을 키우고 있었습니다. 인공은 해방 직후 좌익 성향의 인사들이 만든 조직입니다. 처음에는 인민위원회도 미군과 협조해 순조롭게 질서를 유지해나갈 수 있었습니다. 그런데 1946년 8월 제주도가 전라남도로부터 분리되면서 미군정과 제주도의 좌익 세력 사이에 문제가 생기기 시작했습니다. 제주경찰감찰청이 새로 생기면서 경찰 수가 늘어났고 그 과정에서 갈등이 싹튼 것이지요.이후 제주도에서는 불법 시위를 벌이는 좌익 세력과 이를 진압하는 경찰 또는 미군 사이에서 충돌이 자주 일어났습니다. 미군정은 제주도의 질서를 유지하려면 좌익 세력을 없애야 한다고 생각했지요. 그래서 제주도의 관리를 강경한 사람들로 바꾸고 경찰을 더 많이 보냈습니다. 미군정은 제주도에서 총파업을

  • 역사 기타

    (23) "UN 감시 아래 남북한 총선거 치르자" 소련 반대…좌익들 방화·테러로 방해

    미소공동위원회 1년 만에 해체미소공동위원회는 한반도 전체를 아우르는 임시정부를 세우도록 돕기 위해 만들어진 기구입니다. 그런데 미소공동위원회는 1946년 1월에 구성돼 1년여 만에 끝내 깨지고 말았습니다. 일이 여기에 이르자 미국 정부는 더 이상 소련과 함께 한국 문제를 논의할 수 없다고 판단했습니다. 그래서 1947년 9월 UN 사무총장에게 ‘한국 독립 문제’를 의제로 삼아달라고 요청했습니다. 이에 소련은 강력하게 반대했지요. 하지만 미국은 소련과의 합의안이었던 모스크바 삼상회의 결정을 무효로 만들고 한국의 독립 문제를 UN에 넘겼습니다.미국은 UN 감시 아래 남북한 총선거를 치르게 하자고 제안했습니다. 미국은 남북한의 인구 비례에 따라 국회의원을 뽑아야 한다고 주장했지요. 이 안에도 소련은 반대했습니다. 당시 남한 인구는 북한의 두 배에 달했습니다. 인구 비례로 국회의원을 뽑으면 임시정부 국회는 남한의 영향 아래 들어갈 것이라고 생각해 반대한 것입니다.UN은 소련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한국의 독립 문제를 정기 총회에서 다루기로 했습니다. 1947년 11월14일, UN 총회는 다음과 같은 한국 통일안을 43 대 9(기권 6)로 통과시켰습니다.① 남북한 전 지역에서 UN 감시 아래 인구 비례에 의한 자유선거로 국회를 구성한다.②그 국회가 남북에 걸친 통일 정부를 수립한다.③선거를 감시하고 준비하기 위해 UN한국임시위원단(이하 UN위원단)을 구성한다.④통일 정부가 만들어지면 90일 이내에 남북한에서 미국군과 소련군은 완전히 철수한다.남한내 좌익 폭력투쟁UN 총회의 결의에 따라 1948년 1월 UN위원단이 우리나라에 와서 활동을 시작했습니다. 그런데 북한에는 들어가지도 못

  • 역사 기타

    소련, 우익 단체를 제외시키려 온갖 책동…이승만 "남한만의 정부라도 세워야 한다"

    미소공동위원회 무기한 휴회미소공동위원회는 남북한을 아우르는 임시 정부 수립 문제를 우리 정당이나 사회단체 등과 협의하기로 하였습니다. 그런데 어떤 단체들을 그 협의에 참여시킬 것인가에 대해 미국과 소련은 합의하지 못했지요. 소련은 모스크바 협정에 반대하는 단체를 제외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모스크바 협정에서 언급한 신탁 통치에 반대하는 단체, 즉 우익 단체들을 협의에서 빼자는 것이었습니다. 그렇게 되면 한반도에는 소련이 원하는 정부가 세워지겠지요. 미국은 거기에 동의하지 않았습니다. 언론의 자유가 보장된 나라에서는 자신의 의견을 자유롭게 내놓을 수 있어야 하는데, 신탁 통치를 반대한 이유로 협상 대상에서 제외하는 것은 언론의 자유를 부정하는 일이지요. 그래서 동의할 수 없다는 게 미국의 입장이었습니다. 두 나라는 끝내 의견 차이를 좁히지 못했습니다.미소공동위원회가 무기한 휴회로 들어가자 이승만은 미국과 소련의 결정을 바라보고만 있을 수 없다고 생각했지요. 그래서 1946년 6월 전북 정읍에서 자신의 생각을 밝히는 연설을 했습니다. ‘정읍 발언’이라고도 하는 그 연설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무기 휴회된 공동위원회가 다시 열릴 기색도 보이지 않으며 통일 정부를 고대하지만 뜻대로 되지 않으니 우리는 남방만이라도 임시 정부 혹은 위원회 같은 것을 조직하여 38선 이북에서 소련을 철퇴하도록 세계 공론에 호소하여야 할 것이니 여러분도 결심하여야 할 것입니다.”이 발언에 나온 ‘남방만의 임시 정부 혹은 위원회’는 미소공동위원회가 만들려고 한 통일적 임시 정부의 남한만의 조직을 뜻하는 것이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