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경제 기타

    6억 인구 아세안, 올해 말 AEC로 재탄생한다

    지난달 9일 미얀마 동부와 라오스 북부 국경을 가로지르는 메콩강 위로 ‘우정의 다리’란 이름의 교량이 놓였다. 통룬 시술릿 라오스 부총리 겸 외교부 장관은 이날 개통식에서 “우정의 다리는 미얀마와 라오스를 잇는 긴밀한 협력관계를 상징한다”며 “라오스는 이 다리를 통해 미얀마와의 무역과 관광을 활성화하고, 앞으로 인도와 방글라데시까지 진출할 수 있는 교두보로 삼을 것”이라고 말했다....

  • 경제 기타

    기술의 가치 측정하는 '기술신용평가사'

    경제학에서는 각 경제 주체가 자신의 경제적 이윤을 극대화하기 위해 행동한다고 전제하고 있다. 경제학에서 이윤을 극대화하는 방법으로 제시하는 개념에는 한계수입(marginal revenue·MR)과 한계비용(marginal cost·MC)이 있다. 한계수입과 한계비용은 특정 경제 행위를 한 단위 추가할 때 발생하는 수입과 비용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커피숍의 경우에는 커피 한 잔을 추가로 판매함에 따라 벌어들이는 수입...

  • 경제 기타

    매년 수십조 낭비하는 사교육…지대추구경합이 부른 '수능의 대가'

    해마다 11월 초부터 대학수학능력시험과 대입 관련 뉴스가 언론을 장식한다. 수능 문제에서 오류라도 발견되면 큰 소동이 벌어진다. 지난해 수능에서는 세계지리 문제에서 오류가 발견됐고 올해는 영어·생물Ⅱ에서 복수정답이 인정되는 소동이 빚어졌다. 분별력이 없는 ‘물수능’ 논란으로도 꽤나 시끄러웠다. 수능 제도를 개선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은 까닭이다. 현행 수능과 대입 경쟁은 고든 털럭이 일찍이 분석한 소모적인 &...

  • 경제 기타

    "쌀값 오른다고 시장 단속하면 혼란만 커져"…220년 전 연암도 외쳤던 '사익의 공익 기여'

    “전하, 흉년이 들어 서울의 곡물 가격이 하늘 높은 줄 모르고 치솟고 있습니다. 기회는 이때다 싶어 장사치들이 매점매석을 일삼고 있습니다. 곡물 가격을 엄히 통제하고 매점매석을 하는 장사치들을 엄벌에 처해야 하옵니다.” “아니 되옵니다, 전하. 옛사람이 시장에 인위적으로 개입해 그 흐름을 교란하지 말라고 경계한 까닭은 무엇 때문이겠습니까. 상인이란 싼 곳의 물건을 가져와 비싼 곳에다 파는 존재이며, 백성과 나라...

  • 경제 기타

    국회법 개정 위헌일까요

    여야가 시행령 등 행정입법에 대한 국회의 수정권을 강화하는 내용으로 국회법을 개정한 것을 둘러싸고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다, 종전 국회법 98조의 2는 ‘행정입법이 법률의 취지 내용에 합치하지 않을 경우 상임위원회가 그 내용을 행정기관의 장에게 통보할 수 있고 행정기관 장은 처리 계획과 결과를 지체 없이 상임위에 보고해야 한다’로 되어 있다. 그런데 이를 개정, ‘행정입법이 법률의 취지 내용에 합치하지 않을 경우...

  • 경제 기타

    조선의 기틀을 확립한 태종

    벌써부터 따가운 햇살이 내리쬐는 여름의 초입, 저는 조선의 왕 중에서도 가장 무서운 왕이자 조선 개국의 일등공신으로 평가받는 한 왕의 무덤을 찾아 왔습니다. 성균관에서 수학하였으며 16세에 이미 과거 급제를 하였고, 33세에 왕이 되어 조선을 호령한 왕, 바로 태종 이방원입니다. 그의 무덤인 헌릉 앞에는 무인석과 문인석이 각각 쌍으로 지키고 있습니다. 그리고 양과 호랑이, 말 모양의 돌로 만든 조각상이 함께 이 헌릉을 지키고 있지요. 왕권과 ...

  • 경제 기타

    '대구경원고: 논술은 사교육?…우린 생글로' 등

    대구경원고: 논술은 사교육?…우린 생글로 흔히 논술은 ‘사교육의 힘을 빌려야 하는 대표적 과목’으로 꼽히곤 한다.대입 면접 역시 학교에서 완전히 대비하기란 역부족이라는 인식이 지배적이다. 하지만 경원고 사회현상탐구 동아리 ‘탐하라’는 생글생글을 적극적으로 활용해 이런 선입견을 불식시키고 있다. 탐하라 동아리는 매주 월요일 배송되는 ‘생글생글’의 ‘시사이슈...

  • 경제 기타

    '생글생글'을 읽어야 하는 10가지 이유

    “나는 신문 없는 정부보다 정부 없는 신문을 택하겠다.” 미국의 정치가이자 교육자이며 철학자였던 토머스 제퍼슨은 이렇게 말했다. 그만큼 신문은 예로부터 지금까지 우리 삶의 중요한 일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그런 신문이 어느새 청소년들에게도 많은 부분을 차지하게 됐다. 생글 창간 10주년을 기념해 ‘생글 신문을 읽어야 하는 이유 10가지’를 생각해 봤다. 첫째, 다양한 생각을 가질 수 있는 계기를 만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