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기타
-
경제 기타
한국 최초 백화점으로 일본과 경쟁…무너진 조선 유통업에 변화를 심다
서울 종로2가 로터리에 상층부가 뻥 뚫린 특이한 건물, 종로타워가 서있다. 원래 이곳에는 화신백화점이 있었다. 오늘 이야기의 주인공 박흥식은 일제 강점기에 화신백화점을 세운 사람이다. 그 시절 가장 혁신적 기업가가 박흥식이었다. ■ 기억해 주세요^^ 박흥식 은 16세 어린 나이에 쌀장사로 돈을 벌어 종이 장사를 시작해요. 스웨덴 종이를 수입하는 수완도 발휘했어요. 서울 종로2가 ‘종로타워’ 자리에서 출발 박흥식은 ...
-
경제 기타
채권이 발달한 건 전쟁 때문이라고 ?
채권의 발달과 진화는 국가가 견인 필요한 자금을 타인으로부터 조달할 수 있는 가장 보편적인 방법 중 하나가 채권을 발행하는 것이다. 채권은 정부, 지방자치단체, 회사 등이 불특정 다수로부터 자금 조달이 필요할 때, 투자자에게 발급하는 유가증권을 의미한다. 더 쉽게 표현하자면, 돈을 빌릴 때 자신이 얼마만큼의 돈을 빌렸고, 언제까지 자금을 사용하다 이자와 함께 돌려줄 것임을 표시한 일종의 차용증서가 채권인 것이다. 이런 채권의 탄생은 자금 공급...
-
경제 기타
'계약이론'으로 본 훌륭한 신입사원을 뽑는 합리적 선택
고용시장에서 정보의 비대칭으로 일어나는 문제들을 인센티브를 통해 완화시킬 수 있어요. 2016년 노벨경제학은 올리버 허트(하버드 교수)와 벵트 홀름스트룀(MIT 교수)가 ‘계약이론(The Theory of Contracts)’에 대한 공헌으로 공동수상하였다. 두 교수는 계약이론 중에서도 기업의 주인-대리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인센티브 제도를 연구하였으며, 최근 많은 기업에서 실시하고 있는 성과연봉제의 이론적 바탕이 되기...
-
경제 기타
#문제집부자 #정말내가문제지 #책쇼핑
조만간 다가오는 새 학기를 위해 서점에 갔다. 나는 수학 과목이 약하기 때문에, 개념서와 기출문제집 각각 하나씩 구매하러 갔다. 아~~ 사실 나에게는 말 못할 고민이 있다. 개념서가 정말 다양하게 많다. 여기서 문제는 다 풀지 않았다는 것이다. 평소에 끈기가 부족하다고 생각하지는 않았는데, 수학문제집 앞에 서면 더 나은 문제집이 있을 것이라고 믿게 된다. 하지만, 이번에는 빈손으로 돌아왔다. 끈기가 최고의 방도인 것을 알았기 때문이다. 이번 겨...
-
경제 기타
메신저속 캐릭터는 움직이는 중소기업 라이언·프로도·무지…연 3000억 수익
■ 금주의 시사용어 이모티콘 “카카오에 따르면 하루 1000만명이 카카오톡 이모티콘을 사용하고 월평균 발송 횟수는 20억건에 달했다. 관련 시장도 급성장해 이모티콘 상품은 4800여개로 5년 만에 800배 증가했다.…” ▶한국경제신문 1월18일자 A28면 이모티콘(emoticon)에 등장하는 캐릭터들이 의류, 문구, 생활용품 등 다양한 상품에 활용되면서 어마어마한 규모의 ‘산업’으로...
-
경제 기타
생글생글을 가정에서도 받아볼 수 있어요 !
생글생글(생각하기와 글쓰기)을 아껴주시는 독자 여러분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한국경제신문은 중·고교생들에게 경제원리를 바르게 이해시키고 논리력을 키워주기 위해 전국 1300여개 고등학교와 150여개 중학교, 일부 도서관에 생글생글을 보내드리고 있습니다. 가정에서도 생글생글을 따로 받아볼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엔 6개월에 4만원, 1년에 8만원의 배송료를 받습니다. 한국경제신문을 신규 구독하실 땐 원하시는 경우 별도 부담 없이 생...
-
경제 기타
지구에서 가장 많이 생산되는 먹거리는?
■ 아하! 이런 뜻이 애그플레이션(Agflation) 애그플레이션(agflation)농업을 뜻하는 ‘애그리컬처(agriculture)’와 물가 상승을 뜻하는 ‘인플레이션(inflation)’을 합친 말. 농산물 가격 상승이 전체 물가 상승을 견인하는 현상을 말해요. 우유부터 면화까지… 세계 15대 식량 보니 이 집계에 따르면 세계 식량 생산액은 연간 1조6974억달러, 우리돈으로 약...
-
경제 기타
바다로 나가는 중국…세계 50대 컨테이너 항구 60% 장악
파키스탄의 과다르는 이란 바로 옆 아라비아해를 끼고 있는 항구다. 중국 정부는 2011년께부터 이 항구에 관심을 보였다. 2013년 파키스탄과 중국 정부는 항구를 건설하고 운영하는 내용의 계약을 맺었다. 540억달러 규모 중국·파키스탄 경제협력(CPEC) 방안의 일환이었다. 처음엔 상업적 이용에 관한 계약이었으나 2015년 파키스탄 정부는 아예 이 항구를 2059년까지 43년간 중국에 대여한다고 발표했다. 중국은 아라비아해로 진입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