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기타
-
경제 기타
개화 전, 장사는 천한 '말업' 큰 돈 벌면 장사 '끝'…개화 후, 큰 돈 벌어서 기업 이어가면서 '확장 경영'
박승직, 김성수, 김연수, 박흥식 등 초기의 기업가들 이야기를 세 번에 걸쳐 연재했다. 이들 개화기의 기업가들이 초기의 본격적 기업가들이기는 하지만 최초라고 말하긴 어렵다. 조선조에도 이미 원초적 형태의 기업가, 즉 상인들은 있었다. 하지만 그들을 본격적인 기업가라고 말하긴 어렵다. 박승직부터 시작되는 개화기의 신흥 상인들과는 행동 방식이 많이 달랐다. 그 차이에 대해서 알아보자. ■ 기억해 주세요^^ 기업가 정신이 우리나라에 생기기 시작한...
-
경제 기타
짐바브웨의 미친 물가…계란 3개에 1000억 Z$!
■ 체크 포인트 인플레이션은 물가수준의 지속적인 상승을 말해요. 물가수준이 오랜 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상승하게 되면 화폐의 가치는 하락하죠. 계란 3개 구입을 위한 1,000억 단위의 지폐 최근 전국적으로 극심한 조류인플루엔자(AI) 질병으로 인해 국내 계란 가격이 크게 올랐다. 계란 가격이 상승한 걸 고려해 대략적으로 계산해 본다면, 종류에 따라 차이가 있겠지만 계란 한판을 구입하기 위해서는 대략 1만 원짜리 지폐 한 장이나 혹은 천 원...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맞춤법 공략하기 (26) '손이 시렵다'란 말은 없다
우리는 흔히 쓰는 “손이 시려워, 발이 시려워”란 말은 잘못된 어법. ‘시려워’란 표현이 있기 위해선 ㅂ불규칙인 기본형 ‘시렵다’란 말이 있어야 하는데 아쉽게도 우리말에 그런 단어는 없어요. 이 말의 바른 형태는 ‘시리다’ 이고, 이를 활용하면 ‘시려’ 가 됩니다.^^ 아직은 한겨울 추위가 가시지 않았지만 남녘에는 어느새 봄이 가...
-
경제 기타
학생을 위해, 교사를 위해 현장의 목소리를 듣다
‘창의·융합형 인재 양성을 위한 수행평가 내실화 방안 토론회’에 사상 최초로 학생들이 패널로 참석했죠. 지난 1월 20일, 한국교육과정평가원 4층 대회의실에서는 ‘창의·융합형 인재 양성을 위한 수행평가 내실화 방안 토론회’가 열렸다. 더 나은 수행평가 방안에 대한 교사와 학생, 학부모, 그리고 교육계 인사들의 목소리를 듣기 위해 개최된 이 토론회는 평가원 사상 최초로 학생들이...
-
경제 기타
#경제동아리 #열공중 #리크루팅기간 #잘해보자
나는 학교에서 경제 동아리 회장을 맡고 있다. 고등학생이지만, 많은 친구들이 매주 신문을 읽고 토론하는 자리를 가진다. HR 시간에 15명의 학교 친구들과 경제 이야기를 나눌 때면, 어떤 공부보다 뿌듯하다. 지금은 동아리 신입생 모집 기간인데, 많은 학생들이 지원해서 회장으로서 정말 기쁘다. 하지만, 동아리 인원이 한정되어 있어서 모두와 함께 하지 못하는 부분은 조금 고민이 된다. 2017년 좋은 동아리원을 모집하여, 한층 더 성숙할 수 있는 ...
-
경제 기타
20만원 넘던 제주행 티켓, 반값으로 뚝! 항공권 가격혁신 주도한 'LCC 전성시대'
■ 금주의 시사용어 저비용항공사(LCC) "요즘 해외 여행객 10명 중 3명은 LCC를 탄다. 국내선뿐 아니라 국제선까지 LCC 점유율은 꾸준히 높아지고 있다. 업계에선 'LCC 전성시대'라는 말이 나올 정도다. …" ▶한국경제신문 1월31일자 A11면 "LCC는 기내서비스를 줄이고 가격을 크게 낮춰 실속파 여행객에게 인기가 좋아요. 10년 만에 국제선 점유율이 30%를 돌파했어요.&...
-
경제 기타
39회 테샛· 19회 주니어테샛 11일(토) 시행
‘제39회 한경 테샛’과 ‘제19회 주니어테샛’이 오는 11일(토) 오전 10시부터 11시40분까지 80분간 시행된다. 주니어테샛은 오전 10시부터 11시까지 60분간 치러진다. 이번 2월 테샛 시험은 제주를 포함한 전국 12개 고사장에서 시행된다. 주니어테샛은 서울, 인천, 수원, 부산, 대구, 대전의 테샛 고사장을 활용한다. 수험생은 당일 아침 늦지 않도록 자신이 지원한 고사장으로 가는 길을 테샛...
-
경제 기타
음악시장 순위 보면 '저작권 선진국' 보여요 !
■ 아하! 이런 뜻이 풍선효과(balloon effect) 어떤 행위를 억제하기 위한 정책 때문에 오히려 그 행위가 음지서 은밀하게 확산되거나 예상치 못한 부작용을 가져오는 현상. 풍선 한쪽을 누르면 다른 쪽이 불룩 튀어나오는 모습에 빗댄 것이죠. 최대 음악시장은 ‘팝의 본고장’ 미국 음악시장 규모에서 단연 1위는 미국으로 48억9800만달러(약 5조7000억원)에 달했다. 미국은 다양한 장르의 유행을 주도하는 &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