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경제 기타

    진정 우리가 집중해야 할 것은 무엇일까

    우리는 무엇을 위해, 무엇을 의식하면서 살아야 할까라는 것은 꼭 고민해봐야 할 문제인 것 같다. “우리는 보지만, 제대로 보지 못한다.” 알렉산드라 호로비츠의 저서 《관찰의 인문학》에 나오는 구절이다. 정말 우리는 제대로 보지 못하는 것일까? 우리는 제대로 보지 못하는 게 아니라. 제대로 보려 하지 않는다. 히말라야 중턱에서 카메라를 세워들고 작디작은 LCD 화면을 응시하면서 풍경을 담고 그것을 보고 왔다고 말한다. 이처...

  • 경제 기타

    자산 75만달러 넘으면 세계 상위 1% 부자죠…한국의 중산층 기준과 크게 차이 안나요

    ■ 체크 포인트 우리나라는 연간 소득을 기준으로 중산층을 가르는 경향이 있다. 미국 영국 등 다른 선진국들은 독서량, 건전한 정치 참여, 자원봉사 같은 영역도 중산층 평가 기준으로 삼기도 한다. 중산층 기준을 알아보자. 이 그래프는 한국경제신문 논설위원실이 발행하는 '한경 비탑민' 2016년 12월1일자에 실렸다. 크레디트스위스의 ‘2016 세계 부 보고서(World wealth Report 2016)’...

  • 경제 기타

    생글논술대회에서 논술실력 점검해보세요…23회 대회 6월 3일(토)…전국단위 석차 제공

    한국경제신문이 주관하는 23회 생글논술경시대회가 오는 6월3일(토) 열린다. 올해로 11년째인 생글논술대회는 국내 최대 논술대회로 자리매김했다. 누적 응시자는 10만명에 달한다. 생글논술대회는 실전 경험을 쌓을 수 있는 최적의 대회다. 특히 고교 3학년은 실전 시험을 대비하고 자신의 논술 실력을 확인할 수 있다. 1, 2학년의 경우 논술에 대한 기초 실력을 점검할 수 있다. 이번 대회는 고교 1~3학년은 물론 재수생까지 모두 참가할 수 있다....

  • 경제 기타

    세계경제 동반성장

    글로벌 경제가 ‘성장의 동조화(synchronization) 현상’을 보이고 있다. 중국 경제가 완연한 회복세로 돌아서면서 제 역할을 하고 있고, 유럽과 일본도 ‘기나긴 잠’에서 깨어나고 있다. 미국의 힘겨운 독주를 예상했던 지난해 말 전망과는 전혀 다른 양상이다. 美 물가 목표치 2% 돌파 미국 최대 자산운용사인 블랙록의 마이크 파일 거시경제리서치센터장은 지난 3일(현지시간) “글로벌 ...

  • 경제 기타

    기업의 은행 소유 금지는 타당할까

    한국에서도 인터넷전문은행이 본격적으로 영업에 들어가면서 기업들이 은행을 지배하는 문제,즉 ‘은산(銀産)분리’에 대한 논쟁이 뜨겁다. 한마디로 일반 기업들, 달리 말해 산업자본이 은행을 소유하고 경영을 허용하는 것에 대한 찬반 논란이다. 현행 법은 산업자본이 은행 지분을 10%까지 밖에 소유할수 없도록 제한하고 있다. 4% 넘는 지분에 대해서는 의결권도 없다. 한 마디로 제조업 등 일반 기업은 은행을 소유하지 말라는 취지다....

  • 경제 기타

    이병철 "기업인 잡지 말고 공장 지어 경제 기여토록"...박정희, 시멘트·비료·전자·석유화학 민간에 맡겨

    ■ 기억해 주세요^^ 박정희 의장이 5·16 쿠데타 직후 이병철 회장을 집무실로 불러 “어떻게 하면 좋겠냐”고 물었다고 한다. 그 대답이 바로··· 서울 지하철 4호선 명동역 5번 출구를 나오면 르와지르호텔이 있다. 원래 미나카이백화점이 있던 자리인데 해방 직후 원호처를 거쳐 국가재건최고회의 본부로 쓰이다가 지금은 호텔 건물이 들어섰다. 56년 전 5·16 ...

  • 경제 기타

    "다양한 경제지식과 입시 노하우 한번에 알 수 있었죠"

    지난 4월 1일 서울 고려대에서 열린 한경 고교 경제 리더스 캠프에 다녀왔다. 작년 중학교 캠프에도 참석했던 나는 고등학교 캠프는 어떻게 다를까 하는 호기심에 두 번째 발걸음을 하게 되었다. 첫 시간은 홍성국 전 미래에셋대우 대표님의 ‘미래의 변화와 대응’이었다. 강사님께서는 우리나라를 포함해 현재 많은 국가가 산업 혁명 후 최초로 저성장, 저투자, 저물가, 저금리가 고착되었고 인류 역사상 최초로 인구가 줄어들고 있는 위...

  • 경제 기타

    최초의 은행은 사원이었다?

    생각해봅시다 강력한 중앙정부가 형성되지 않았던 고대 도시국가들은 빈번히 다른 국가들과 전쟁을 치러야 했다. 이런 상황에서 자신의 재산을 안전한 곳에 보관하고자 하는 욕구는 그 어느 때보다 높았다. 이때 고대인들이 가장 먼저 떠올린 공간이 사원이었다. 오늘날 은행이 없는 일상생활을 상상하기란 쉽지 않다. 은행이 없다면 월급을 보관하기도 어려울 뿐만 아니라 일상생활의 소소한 지출은 모두 현금을 이용해야 할 것이다. 인터넷 요금, 휴대폰 요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