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경제 기타

    #39회 #테샛 #도전

    오늘은 친구와 테샛 시험을 쳤다. 생글생글을 구독하면서 메모해 왔던 경제 지식을 시험하기 위해서 시험을 신청하였다. 테샛을 공부하며 모르는 문제들도 분명 있었지만, 생글생글에 있던 경제 용어들이 정말 큰 도움이 되었다. 혼자 공부하기 어려울 때는 친구와 함께 고민도 하였다. 나의 영향을 받은 옆반 친구는 결국 나와 함께 테샛 시험을 응시하였다. 11일 테샛을 보고 친구와 함께 돌아오는 길에는 알 수 없는 뿌듯함도 느낄 수 있었다. 앞으로 학교 ...

  • 경제 기타

    혁신은 인류의 '놀이 본능'에서 나왔다

    “지난 시대보다 이 시대에 분명 멍청이들이 더 많다. 바보가 아니고서야 겉치레에 이렇게 집착할 리가 없다.” 《로빈슨 크루소》를 쓴 영국 소설가 대니얼 디포는 1727년 런던의 상점들이 인테리어에 공을 들이는 모습을 보면서 이렇게 개탄했다. 하지만 지금 시점에서 상점 주인들은 ‘근대 산업혁명을 촉발한 주역’으로 재평가할 수 있다. 17세기 말부터 들어선 고급 상점들은 사고팔 것이 있어야 장으로 향하던...

  • 경제 기타

    홍대입구에 게스트하우스 200곳 생긴 이유는? 지하철 뚫리면 돈이 몰린다…'역세권의 경제학'

    ■ 금주의 시사용어 역세권 인천국제공항역에서 서울역을 잇는 공항철도 역세권이 뜨고 있다. 정차역인 서울·공덕·홍대입구역 역세권이 외국인의 숙박·쇼핑 거점으로 떠오르면서 일대 상가와 주거시설 몸값도 높아지고 있다…. ▶한국경제신문 2월7일자 A25면 역세권은 보통 전철역 반경 500m, 도보 10분 이내 지역을 뜻해요. 스세권·포세권·학세권 등 재미난 신조어도 많...

  • 경제 기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한국 하위계층 삶 '나아졌다'

    ■ 아하! 이런 뜻이 지니계수 소득분배의 불평등 정도를 보여주는 수치. 0~1 사이 숫자로 표현하며 1에 가까울수록 불평등이 크다는 의미. 우리나라는 0.34로 소득 불평등이 상대적으로 적은 편이죠. OECD 34개 회원국 대상 조사 2008년 금융위기 이후 하위 10%와 상위 10%에 속하는 가구의 소득은 증가했을까, 감소했을까? 미국 온라인 경제매체인 쿼즈닷컴(qz.com)이 이것에 대한 답을 최근 내놨다. 조사를 위해 쿼즈닷컴은 경...

  • 경제 기타

    통화정책 강공나선 미국…트럼프 "중국·독일·일본에 바보처럼 당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그의 무역정책 최고 참모인 피터 나바로 국가무역위원회(NTC) 위원장이 지난달 31일(현지시간) 작심한 듯 중국 독일 일본을 환율조작국으로 몰아세우면서 사실상 통화전쟁에 돌입했다. 그동안 중국을 핵심 타깃으로 해왔으나 통화전쟁의 대상을 독일과 일본으로 확대했다. 독일과 일본은 환율을 조작하지 않았다며 즉각 반발했다. 4분기 수출 둔화가 통화정책 불 댕겼나 트럼프 대통령과 나바로 위원장이 “중국과 독일,...

  • 경제 기타

    공공부문에서 일자리를 많이 만드는 게 가능한가

    일자리 창출이 최대의 관심사가 됐다. 한국만의 현상도 아니다. 미국의 새 대통령 도널드 트럼프의 보호주의적 정책도 결국은 미국내에 일자리 유지와 만들기에 관한 것이다. 한국에서도 자칭타칭 대선 주자들이 일자리를 외치기 시작했다. 문제는 정부와 공기업 등 공공부문에서 일자리를 더 만들겠다는 공약까지 대거 나오기 시작했다는 점이다. ‘일자리만들기’가 아니라 단순히 ‘일자리나누기’에 가깝다. 기업이 중심이 ...

  • 경제 기타

    개화 전, 장사는 천한 '말업' 큰 돈 벌면 장사 '끝'…개화 후, 큰 돈 벌어서 기업 이어가면서 '확장 경영'

    박승직, 김성수, 김연수, 박흥식 등 초기의 기업가들 이야기를 세 번에 걸쳐 연재했다. 이들 개화기의 기업가들이 초기의 본격적 기업가들이기는 하지만 최초라고 말하긴 어렵다. 조선조에도 이미 원초적 형태의 기업가, 즉 상인들은 있었다. 하지만 그들을 본격적인 기업가라고 말하긴 어렵다. 박승직부터 시작되는 개화기의 신흥 상인들과는 행동 방식이 많이 달랐다. 그 차이에 대해서 알아보자. ■ 기억해 주세요^^ 기업가 정신이 우리나라에 생기기 시작한...

  • 경제 기타

    짐바브웨의 미친 물가…계란 3개에 1000억 Z$!

    ■ 체크 포인트 인플레이션은 물가수준의 지속적인 상승을 말해요. 물가수준이 오랜 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상승하게 되면 화폐의 가치는 하락하죠. 계란 3개 구입을 위한 1,000억 단위의 지폐 최근 전국적으로 극심한 조류인플루엔자(AI) 질병으로 인해 국내 계란 가격이 크게 올랐다. 계란 가격이 상승한 걸 고려해 대략적으로 계산해 본다면, 종류에 따라 차이가 있겠지만 계란 한판을 구입하기 위해서는 대략 1만 원짜리 지폐 한 장이나 혹은 천 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