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생 선배가 후배에게
6월 모평, 9월 모평과 이전 기출문제를 비교했을 때 문제의 배치가 바뀌었거나 올해 새로 나온 유형이 있는지를 확인하고 새로 나온 부분이 있다면 이에 대비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올해분의 사설 모의고사를 활용하는 것도 방법입니다.
6월 모평, 9월 모평과 이전 기출문제를 비교했을 때 문제의 배치가 바뀌었거나 올해 새로 나온 유형이 있는지를 확인하고 새로 나온 부분이 있다면 이에 대비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올해분의 사설 모의고사를 활용하는 것도 방법입니다.
![[대학 생글이 통신] 9월 모평, 6월에 드러난 약점 얼마나 보완했는지 확인해야](https://img.hankyung.com/photo/202108/AA.27324238.1.jpg)
또 9월 모평을 응시하는 수험생 역시 차이가 있습니다. 9월 모평에는 기존 현역과 재수생에 더해 6월 모평을 응시하지 않은 재수생, 그리고 여름방학 때부터 준비한 반수생들이 합류합니다. 이 중 학업능력이 우수한 사람이 많아 같은 실력과 성적이라는 가정하에 등급과 표준점수가 6월 모평에 비해 낮게 나올 가능성이 크다는 점을 기억해야 합니다. 수시 지원 일정과 겹치기 때문에 수시와 정시 성적이 모두 우수한 학생들이 9월 모평에서 비교적 약세를 보인다는 점은 학급 내에서의 등수나 일부 최상위권의 등급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즉 9월 모평 성적은 자신의 객관적인 위치를 확인하기 좋은 지표이긴 하지만, 난이도와 응시자 분포의 변수가 존재하기 때문에 지금의 등급, 등수에 지나치게 얽매이는 것보다 자신의 성취에 대해 점검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9월 모평을 보면서 6월 모평 때 확인했던 약점을 얼마나 보완했는가를 점검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이전 시험에서 국어 영역 문학 파트의 용어가 익숙하지 않았다면 이번에는 모르는 내용이 많이 줄어들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고, 탐구 과목에서 특정 단원의 문제나 유형을 풀기 어려웠다면 이번엔 얼마나 익숙해졌는지를 확인해볼 수 있습니다. 9월 모평에서 또 다른 약점을 발견했다면 그것을 수능 때까지 해결할 수 있는지가 앞으로의 과제가 될 것입니다. 또, EBS 연계 교재를 학습한 사람이라면 연계율이 얼마나 체감되는지를 점검해야 합니다. 내용을 숙지하고 있음에도 거의 체감하지 못한 사람이라면 EBS가 아닌 다른 학습 방법을 주력으로 삼는 식으로 학습 방향을 조정해야 합니다.
특히 지금부터는 올해 시험의 형식에 익숙해질 필요가 있습니다. 6월 모평, 9월 모평과 이전 기출문제를 비교했을 때 문제의 배치가 바뀌었거나 올해 새로 나온 유형이 있는지를 확인하고 새로 나온 부분이 있다면 이에 대비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올해분의 사설 모의고사를 활용하는 것도 방법입니다. 9월 모평 집중해도 모의고사 성적에 일희일비 말아야마지막으로 9월 모평에 최대한 집중해야 하지만 성적만 보고 일희일비하지 말 것을 당부하고 싶습니다. 11월 18일 수능, 9월 1일을 제외한다고 해도 공부할 수 있는 시간은 77일이나 남아있습니다. 공부가 거의 안 돼 있어도 그 내용을 머릿속에 익히는 데 충분한 시간이고, 세세한 약점을 해결하기에도 전혀 부족함이 없는 시간입니다. 반대로 성적이 잘 나왔다고 자만하고 노력을 덜 기울인다면, 그 이상으로 노력하는 사람들에 의해 뒤처지기에도 충분한 시간이기에 지금의 공부에 더 충실해야 한다는 점을 명심해야 합니다.
조승호 생글기자 13기, 연세대 경영학과 20학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