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경제 기타

    '신문법 폐지'논란 어떻게 풀어야 할까요?

    찬 "신문·방송·인터넷 융합은 세계적 추세" 반 "언론 사유화…여론 독점현상 심화될 것" '신문 등의 자유와 기능 보장에 관한 법률', 즉 신문법을 폐지하고 대체 입법을 추진하는 문제를 놓고 논란이 불거지고 있다. 문화관광부는 언론의 자율성과 공정성을 확보하고 미디어의 산업적 활력을 제고하기 위해 신문법을 폐지하고 대체 입법을 추진하겠다고 대통령직 인수위원회에 보고했다. 대체 입법에는 매체융합 등 언론환경 변화에 대비해 신문·방송 겸영 ...

  • (79) 해외건설관련 직업

    세계 최고 빌딩을 내 손으로 짓는다 건설교통부와 해외건설협회에 따르면 2007년 해외건설 총 수주액은 2006년 기록인 165억달러의 2배를 훌쩍 넘기며 해외 건설 사상 최대인 398억달러를 달성했다. 현재 우리기업의 수주경쟁력과 호황을 누리고 있는 세계건설시장의 상황을 감안할 때 2008년 및 향후 3~4년간 안정적인 수주 상승세가 예상된다. 따라서 앞으로 몇 년간은 2007년과 비슷한 수준인 350억달러에서 400억달러 정도의 수주실적...

  • 학습 길잡이 기타

    (다산칼럼) '실용'을 잃어버린 세월

    박효종(朴孝鍾) 서울대 교수·정치학 ☞한국경제신문 1월16일자 A39면 요즈음 정권 교체와 더불어 뜨고 있는 화두(話頭) 가운데 하나가 '실용'이다. 이명박 당선인이 '실용정부'를 표방하자 이에 뒤질세라, 엊그제 선출된 손학규 대통합민주신당 대표도 '실용진보'를 내걸었다. 바야흐로 '실용'이 시대정신이 되는 것인가. 실용주의란 이상에 비해 현실을 중시하는 철학이다. 품위 있는 삶이 되려면 하늘도 바라보아야 한다. 땅만 바라보며 사는...

  • 신문기사를 활용한 나만의 창의논술 비법

    잘 읽은 신문 한 장, 열 참고서 안 부럽다 유승준 소장의 신통한 창의논술 ③ 신문과 통해야 논술이 쉬워진다 신문은 인류가 낳은 최고의 미디어 중 하나다. 미디어란 그 자체로 인간과 인간을,인간과 세상을 매개하는 도구다. 그동안 교육현장에서의 신문기사 활용은 시사이슈 파악,쟁점 정리 등 보조도구 수준에 머물러 있었다. 과연 신문은 참고서의 보조수단에 불과할까? 무게중심창의력연구소의 유승준 소장은 "신문이야말로 최고의 논술 텍스트"라...

  • 학습 길잡이 기타

    24. 미니스커트가 유행하면 진짜 불황일까?

    경기징후와 속설 흔히 경기가 나쁠 때 미니스커트가 유행하고 립스틱이 잘 팔린다는 속설이 있다. 또 불황 때는 소주가 잘 팔리고 호황 때는 맥주가 잘 팔린다고 한다. 남대문시장 상인들에겐 신사복지수라는 게 있어서 신사복이 잘 팔리면 경기가 좋아지고, 안 팔리면 경기가 나빠지는 신호로 본다. '경제의 날씨'라고 할 경기는 통계청 한국은행 등이 발표하는 공식 통계로만 파악되는 게 아니다. 공식 통계는 몇 달 뒤에나 알 수 있으니, 지금 당장...

  • 학습 길잡이 기타

    (38) 엄마와 교사들이 싫어하는 과학적 발견

    ⊙ 우리 아이가 달라졌어요 '애들이 줄었어요'라는 영화 제목과 혼동되는 TV 프로그램이 있다. 장난감을 사주지 않으면 백화점 바닥에 주저앉아 결사적으로 저항하는 아이. 집에는 장난감이 넘쳐나지만 사주지 않으면 아무것도 먹지 않고 심지어는 엄마와 아빠를 때리기도 한다. 달래기도 하고 어르기도 하지만 소용없다. 아동심리 전문가가 모니터로 아이와 아빠, 그리고 엄마의 오랜 실랑이를 관찰하고 처방을 내린다. 장난감을 사주기 전에 규칙을 정하...

  • 학습 길잡이 기타

    우리말의 비과학적 요소들 ②빚쟁이

    "그는 빚 독촉에 시달리다 결국 집을 빚쟁이에게 넘기고 말았다." "그는 사업에 실패해 빚쟁이가 돼 도망 다니는 신세가 됐다." 흔하지는 않지만 우리말에서 한 단어가 서로 반대되는 의미로 쓰이는 경우가 있기도 하다. '빚쟁이'가 바로 그런 경우다. '빚쟁이'란 본래 '남에게 돈을 빌려 준 사람을 낮잡아 이르는 말'이다. 첫 문장에 쓰인 '빚쟁이'가 그것이다. 그런데 둘째 문장에 보이는 '빚쟁이'는 좀 다르다. 여기서는 '빚쟁이'가 ...

  • 10. 첨삭의 출발은 소리내어 읽기부터 -<끝>

    남들보다 뛰어나다고 생각하는 자신의 장점, 특성 혹은 능력과 보완·발전시켜야 할 단점(특성 혹은 능력)에 대하여 기술하시오.(200자 내외) ① 내가 남들보다 뛰어난 장점은 성실성과 책임성,지속성이다. ② 성실성과 책임성, 지속성 은 고3 때 특히 잘 나타났다고 생각한다. 고3 초기에 성적이 하위권에 머물렀지만, 모의고사 시험 때마다 느끼는 한계에 굴복하지 않고 계속 공부를 하였다. 결과 9월 이후 상위권에 도달할 수 있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