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경제 기타

    이주여성에 대한 인권보호가 다문화사회의 첫걸음

    지난 2월 15일,한국인 남자와 결혼해 딸 둘을 낳고 일주일 만에 이혼당해 '씨받이' 논란을 불러일으킨 베트남 신부의 '양육자변경 심판청구'가 기각되었다. 베트남 신부 투하(26 · 가명)씨는 2003년 8월 이혼남인 A씨(53)와 결혼한 뒤 2년간 딸 두 명을 낳았으며 두 딸은 출생 직후 A씨의 전 부인에게 인도돼 양육되고 있다. A씨는 둘째딸이 태어난 지 일주일 만에 이혼을 요구했고 결국 본부인과 재결합했다. 또한 A씨는 재판부가 투하...

  • 학습 길잡이 기타

    2009학년도 한양대 수시 2-2 논술(인문계열) 기출문제 풀이 (下)

    기술의 발달은 예술의 대중화를 가져왔다 ⊙ 답안 작성 2번 문제는 수험생들의 생각과 가치를 묻는 문제가 아니기도 하지만,그것을 담아낼 수 있는 여지도 거의 없는 문제이다. 따라서 문제에서 요구하는 대로 제시문 (가)와 (나)의 차이를 비교하고 제시문 (나)의 입장에서 제시문 (다)를 해석하면 된다. 500자 내외이기 때문에 단락은 두 단락으로 가져가면 될 것이다. 첫 번째 단락에서는 제시문 (가)와 (나)를 비교하고 두 번째 단락에서는...

  • 학습 길잡이 기타

    ⑩ 묵적「묵자」

    “남을 위하는 마음이 세상을 구한다” 세상을 명쾌하게 설명해주는 '원리(原理)'에 대한 열망은 누구에게나 존재한다. 비단 통일장 이론의 정립을 꿈꾸는 물리학자들뿐만이 아니라,사회과학과 인문학을 따로 가릴 것 없이 어느 분야에 몸 담은 학자건 간에,혹은 학문연구를 업으로 삼지 않더라도 이 세상을 살아가는 모든 이는 세계의 원리가 간명하게 파악되기를 바란다. 서양의 경제학자 아담 스미스가 발견한 이 세상의 원리는 '이기심'이었다. 스미스는 ...

  • 학습 길잡이 기타

    '생사여탈권'이 아니라 '생살여탈권'이 맞다

    미국의 금융 위기가 전 세계 실물경제 침체로 확산되고 있는 요즘 한국 경제에도 '기업 구조조정'이 화두로 떠올랐다. 특히 경기흐름의 영향을 크게 받는 건설 · 조선 등의 업종에서부터 우선적으로 강도 높은 구조조정이 추진된다고 한다. 이럴 때 돈줄을 틀어쥐고 있는 은행들은 우량기업과 부실기업 선별을 통해 회생시킬 기업과 퇴출시킬 기업을 결정한다. 한마디로 자금 지원을 통해 기업을 살리기도 하고 죽일 수도 있다는 뜻이다. 은행 역시 예외가 ...

  • 학습 길잡이 기타

    84. '그을리다'와 '그슬리다'

    몸을 그슬리면 큰일 "햇볕에 그슬린 몸이 보기 좋구나." 햇볕을 오래 쬐어 살갗이 구릿빛으로 변한 사람을 보면 건강하다는 느낌을 받는다. 그럴 때 듣기 좋은 소리로 이렇게 말하는 이가 있다면 실수하는 거다. 몸을 그슬리다니? 그렇다면 당장 병원으로 달려가야 하기 때문이다. 햇볕이나 불,연기 따위에 쬐어 빛이 검게 변한 것은 '그을다'이다. '굴뚝이 연기에 그을었다/햇볕에 얼굴이 검게 그을었다'처럼 쓴다. 이에 비해 '그슬리다'는 ...

  • 학습 길잡이 기타

    김희연의 자연계 논술 노트 ③

    디지털 신호의 변환 「2008 서강대 정시 자연계 논술 中」

  • '마시멜로 이야기' 저자 포사다 강연을 듣고…

    나는 '마시멜로'의 유혹을 어떻게 떨쳐버릴까? 베스트 셀러 '마시멜로 이야기'의 저자 호아킴 데 포사다가 지난 5일 서울 방이동 보성고등학교에서 열린 '한국 청소년과의 만남' 행사에서 학생들을 대상으로 강연을 했다. 보성고 2학년에 재학중인 김태훈 생글기자가 그의 주옥 같은 강연 내용을 정리하고 느낀 점을 글로 보내왔다. 유명한 사람을 만나는 일은 그 자체로 가슴을 설레게 한다. '마시멜로 이야기'의 저자가 온다는 소식에 책을 읽으면서...

  • 학습 길잡이 기타

    23. 서정인「후송」

    의사소통과 신뢰가 부재하는 사회 ⊙ 소통하지 못하는 문화 대한민국의 남성들은 특별한 사유가 없는 한 대부분 군대에 간다. 남북으로 분단된 채 여전히 서로에게 군사적 긴장을 늦추지 않는 한반도에서 징병제는 어쩔 수 없는 선택일지도 모른다. 안타까운 것은 군 복무가 젊은이들에게 그다지 바람직한 사회 · 문화적 경험을 제공하지 못했었다는 사실이다. 요즘은 많은 부분에서 군대도 민주적인 절차와 의사 소통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과거에는 상급자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