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뉴스
-
제27회 다산경제학상 수상자 이승훈 교수 특별강연
"시장은 재산권 보호가 확실해야 제대로 작동한다" 정년 퇴임을 눈앞에 둔 나이에 다산경제학상을 받으니 영광스럽고 기쁘다. 대학생 시절 나는 한국 사회의 모든 문제가 궁극적으로 가난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생각했다. 대물림돼 내려오는 빈곤만 떨쳐버릴 수 있다면 우리 사회의 모든 부조리가 없어질 것 같았다. 경제학 공부를 시작한 것도 한국의 가난과 빈곤 퇴치 문제를 탐구해 보자는 생각에서였다. 1990년대 중반 태국 방콕에서 열린 유엔 산하기...
-
경제 이해력 검증시험 '테샛' 1회 시험 실시
상산고·민사고도 참여, 대학생들과 실력 겨뤘다 한국경제신문이 국내 주요 경제·경영학 교수들을 출제위원으로 위촉해 개발한 경제이해력 검증시험 '테샛'(TESAT)이 2일 서울 건국대와 경북대 부경대 전남대 등 전국 10개 고사장에서 처음으로 치러졌다. 이날 시험에는 취업을 앞둔 대학교 4학년생을 비롯해 40~50대 직장인과 경제 경시대회를 준비 중인 특목고 학생들, 그리고 한국경제신문그룹 입사 지원자 등 약 3000명이 참여, 경제 기초 이론...
-
학습 길잡이 기타
2009학년도 경희대 2차 모의논술고사 문제 (上)
문화를 어떻게 바라봐야 하는가? ※ 다음 제시문을 읽고 질문에 답하시오. 가 예전에는 고급 문화와 통속 문화라는 이분법으로 문화를 인식하였다. 통속 문화는 저급한 것으로 보았고 그래서 멀리해야 마땅한 것으로 생각하기도 하였다. 국가가 세운 문화 회관에서 대중 가요 가수가 공연하는 것을 허락하지 않은 적이 있었던 것은 이러한 지난날의 문화 인식을 반영하는 사례다. 그러나 사회의 발전과 더불어 대중이 보편적 가치를 대표하는 존재로 인식되...
-
학습 길잡이 기타
2009학년도 경희대 2차 모의논술고사 해제 (上)
문화의 속성은 '구분'이 아니라 '융합'에 있다 ⊙ 경희대 문제의 분석 경희대는 시험시간 2시간 40분에 2800자라는 거대한 분량으로 인해 많은 수험생들의 공포를 자아냈던 학교였다. 하지만 또 수능성적과 상관없이 논술 성적만으로 학생을 30%가량 뽑았기 때문에 무시할 수도 없었던 매력적인 학교였던 것도 사실이다. 거기에 놀랍게도 수리논술(이라고 부르기엔 다소 민망하지만!)까지 있으니 당황하지 않을 수도 없었던 것이다. 실제로 1차 모...
-
학습 길잡이 기타
우리말 속 취음어 엿보기③
'동림백사건'에 담긴 우리말의 역사 # 1967년 7월 어느 날,당시 중앙정보부는 대규모 간첩단 사건을 발표한다. 한국에서 유럽으로 건너간 유학생과 교민들이 동베를린의 북한대사관과 평양을 드나들며 간첩교육을 받고 대남 적화활동을 했다는 게 골자였다. 특히 연루된 인물 중엔 재독 작곡가 윤이상 씨를 비롯해 화가 이응로 씨,시인 천상병 씨 등 유명 인사들이 다수 포함돼 있어 한국 사회를 발칵 뒤집어 놨다. 2006년 국가정보원 과거사위원회에...
-
학습 길잡이 기타
68. '거리끼다'와 '꺼리다'
'거리낌' '꺼림'은 있어도 '꺼리낌'은 없다 # '임원들은 언제 어디서든 일이 생기면 사장에게 전화를 걸어 상의한다. 중간 간부급은 물론 평직원들도 그에게 직접 전화하는 데 꺼리낌이 없다. 흔히 볼 수 있는 문장이지만 조금만 살펴보면 한 군데 이상한 말이 눈에 띌 것이다.' 꺼리낌? '꺼리낌'이란 말은 뭘까. 얼핏 떠올릴 수 있는 게 '꺼리다'이다. '꺼리다'는 '사물이나 일 따위가 자신에게 해가 될까봐 피하거나 싫어하다'란 뜻이...
-
학습 길잡이 기타
Intagrate Essay ⑤-Isn't that something?
여러분이 어디에선가 이 칼럼을 읽고 공부를 하며 또 이 칼럼이 조금이나마 도움이 된다면 정말 행복한 일이다. 필자의 이메일로 지방에서 또는 서울 근교에 거주하는 학생들이 자주 질문을 한다. 가장 많이 하는 질문은 영어적인 표현을 어떻게 하면 익힐 수 있는가와 칼럼에 나오는 문법에서 가끔 그 문장이 왜 오답인지 이해가 안 갈 때가 있다고 하는 것이다. 그리고 Independent Essay를 더 연재해달라는 요청이 자주 있다. 질문에 답을...
-
학습 길잡이 기타
유경호의 자·수·전(36)
자연계 논술 주제별 FINAL 「테일러 다항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