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경제 기타

    생글 4주 방학휴간 끝…반갑습니다 ^^

    생글생글 독자 여러분 그동안 안녕하셨습니까? 오랜만에 인사드립니다. 생글생글이 4주간의 여름방학 휴간을 끝내고 480호로 다시 여러분 곁으로 왔습니다. 전국 중학교와 고교도 방학을 끝내고 새로운 마음으로 수업에 들어갔겠군요. 남은 여름도 건강하게 잘 지내시길 바랍니다. 고3 학생들은 조만간 있을 대입 수시전형을 준비하느라 바쁘겠습니다. 계획대로 잘 해서 좋은 결과가 있기 바랍니다. 다른 독자님들도 2학기를 보람 있고 알차게 보내기를 기원합니다...

  • 경제 기타

    제3회 전국고교생 금융경제 경진대회

    안산대학과 유비온이 주최하는 ‘제3회 전국 고교생 금융경제 경진대회’가 9월5일(토) 오후 2시 안산대 에서 열린다. 금융과 경제 시사상식 등에서 총 80문항을 100분 내에 푸는 이 대회는 고교생이면 누구나 참가할 수 있다. 참가비용 및 학습자료는 무료이며 개인 및 단체로 신청할 수 있다. 8월21일(금)까지 홈페이지( www.wowpass.com )에서 접수한다. 문의 안산대(031-400-7173, finan...

  • 경제 기타

    유연한 임금에 값싼 에너지·정부 파격지원…중국기업들 미국행 '러시'

    저임금과 저가의 대명사였던 중국 기업들이 본토를 떠나 미국으로 향하고 있다. 미국은 값싼 에너지와 낮은 물류비, 파격적인 세제 혜택 등 정부 지원까지 더해지면서 상대적으로 높은 인건비를 상쇄하고 있다. 반면 중국은 치솟는 임금과 정부 규제 등으로 ‘세계의 공장’이라는 명성을 잃고 있다. 값싼 중국은 옛말 미국 컨설팅업체 로디엄그룹 자료를 보면 올 상반기 중국 기업의 대미 직접투자 규모는 64억달러(약 7조4500억원)에...

  • 커버스토리

    '한강의 기적' 빈곤의 상징국가가 세계 중심국가로 도약

    광복 70년의 대한민국 발전상은 한마디로 ‘기적’에 가깝다. 경제·사회·문화적으로 반세기 남짓에 이처럼 커다란 변화를 이룩한 것은 역사적으로 유례가 드물다. 국내총생산(GDP) 세계 13위, 수출 6위, 세계에서 불고있는 한류(韓流)는 광복 70년만에 크게 높아진 대한민국 위상을 말해준다. 하지만 광복 70년은 또한 분단 70년이기도 하다. 남북이 평화적으로 통일을 이룰 때 진정한 광복이 된다는 의...

  • 커버스토리

    한국 독립문제 공식 논의한 카이로회담

    카이로회담은 제2차 세계대전(1939~1945년) 때 이집트 카이로에서 두 차례의 걸쳐 회담이 진행됐다. 1943년 11월22일부터 26일까지 열린 1차 회담에선 연합국 지도자 윈스턴 처칠과 루스벨트는 노르망디 상륙 작전에 대해 논의했다. 연이어 2차 회담에서는 미국 대통령 프랭클린 루스벨트, 영국 총리 윈스턴 처칠, 중국 총통 장제스가 참석해 대(對)일본 전쟁 수행 협력과 전후(戰後) 영토에 대한 의논을 거쳐 11월27일 ‘카이로선...

  • 커버스토리

    독립 선포한 이승만 대통령

    대한민국 초대 대통령 이승만(1875~1965)은 어떤 인물이었을까? 1945년 일제 강점기가 끝나고 3년의 미군군정을 거쳐 1948년 8월15일 대한민국을 독립국가로 세계 만방에 선언한 대통령이지만 그를 제대로 알고 있는 학생은 드물다. 그는 한국의 갈릴레오다 이승만 대통령을 제대로 설명하려면 갈릴레이 갈릴레오(1564~1642)와 비교해 보는 것이 좋다. 이승만 대통령은 갈릴레오와 같은 천문학자는 물론 아니다. 갈릴레오와 이승만 대통령은...

  • 커버스토리

    광복 70주년? 광복 67주년?…왜 헷갈리나

    최근 광복절 ‘주년’을 놓고 논란이 거세다. 서울대 이영훈 교수는 광복 70주년은 틀렸고 광복 67주년이 맞다고 지적한다. 이영훈 교수는 정부문서 등을 조사한 결과 광복절은 1951년과 1952년 사이에 헷갈리기 시작했다. 광복절은 독립기념일부터 말해야 이해가 된다. 대한민국은 총선거 등을 거쳐 1948년 8월15일 독립을 선포했다. 정부는 이듬해인 1949년 8월15일 제1회 독립기념일을 경축했다. 당시 1주년 포스터 공...

  • 경제 기타

    글로벌 운하개발 전쟁…중국, 니카라과 운하에 투자

    지난 6일 이집트 북동부 이스마일리아. 인구 20여만명의 소도시에 프랑수아 올랑드 프랑스 대통령과 드미트리 메드베데프 러시아 총리, 알렉시스 치프라스 그리스 총리 등 세계 정상급 지도자 40여명이 모습을 나타냈다. 각국 정상뿐만 아니다. 유기준 해양수산부 장관을 비롯해 김영남 북한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 등 6000여명에 달하는 외교사절과 사업가도 모여들었다. 제2수에즈운하 개통식에 참석하기 위해서였다. 이스마일리아는 수에즈운하 중간에 있는 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