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진학 길잡이 기타

    학생부전형 확대로 고교 교육 정상화에 기여

    중앙대(총장 이용구)는 2016학년도 입학전형에서 전체 모집인원 4867명의 66%인 3210명을 수시모집으로 선발한다. 수시모집은 학생부전형, 논술전형, 실기전형으로 간소화해 수험생, 교사, 학부모가 이해하기 쉽게 재편했다. 수험생의 사교육 부담이 큰 특기자전형을 폐지하는 한편, 학생부전형을 확대해 수시모집 인원의 62%인 2001명을 학생부 위주 전형으로 선발하는 등 고교 생활에 충실했던 학생이라면 누구든지 도전할 수 있도록 했다. 또한 수...

  • 진학 길잡이 기타

    "자주적 탐구인·국제적 한국인·독창적 전문인 목표"

    Q: 2016학년도 신입학 전형의 가장 큰 변화와 특징은. A: 모집단위에 변화가 있다. 서울캠퍼스에는 중국어교육과(17명)가 신설됐다. 프랑스학부(85명→70명)를 모집한다. 글로벌캠퍼스에선 ‘Global Business & Technology 학부’(70명)와 바이오메디컬공학부(35명)가 신설됐다. 국제금융학과(70명→30명)는 개편됐다. 모집인원에도 변화가 있는데 학생부교과·종합...

  • 테샛 공부합시다

    29회 테샛·15회 주니어 테샛 가채점…고교생 공동 1등 295점 이초아·조승완

    지난 16일 시행된 29회 ‘한경 테샛’ 응시자들의 평균 성적이 190점(300점 만점. 100점 만점 기준으론 63점)으로 나타났다. 지난 28회 평균(178점)보다는 높고 27회(193점)보다는 낮은 수준으로, 테샛위원회가 난이도 기준으로 삼는 점수(180점)에 근접한 것이다. 성적발표 예정일은 8월25일(화) 오후 3시이다. ○…한국경제신문 테샛위원회가 19일 29회 테샛 성적을 가채점한 결과 응시자들의...

  • 테샛 공부합시다

    제30회 테샛 원서 접수 중

    한국경제신문사는 ‘제30회 테샛’ 원서를 31일(월)까지 접수합니다. 30회 테샛은 9월12일(토) 서울 인천 수원 부산 대구 대전 광주 등 전국 9개 고사장에서 시행됩니다. 학교나 동아리가 30명 이상의 응시자와 자체 고사장을 확보할 경우 감독관을 파견해 특별고사장을 마련, 시험을 치르는 것도 가능합니다. 개인 성적 우수자에게는 상장과 상패, 장학금이 지급됩니다. 다만 9월 테샛에선 주니어 테샛과 동아리 대항전은 치러지지...

  • 테샛 공부합시다

    이스털린 역설

    한국은 1인당 국민소득이 2만달러를 넘었지만 삶의 만족도는 소득에 비해 높아지지 않고 있습니다. 이런 현상은 이스털린의 역설이 작용하기 때문입니다. 행복은 소득순이 아니에요 의식주 등 기본적인 욕구가 충족되면 소득이 늘어도 개개인의 행복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현상을 이스털린의 역설이라고 합니다. 한마디로 말해서 행복은 소득 순이 아니다, 이것입니다. 미국 경제학자 리처드 이스털린이 1974년 ‘소득과 행복이 반드시 비례하지 ...

  • 역사 기타

    이순신, 일본군의 기세를 꺾다

    1592년 발발한 임진왜란은 도요토미 히데요시에 의해 시작돼 그가 죽음으로써 막을 내리게 됩니다. 그런데 우리 입장에서 이 전쟁이 시작되기 1년 전부터 직감적으로 전쟁을 예감하고 준비했으며, 도요토미 히데요시 사후 물러가는 일본군에 결정타를 가했지만 안타깝게 산화한 영웅이 있습니다. 23전 23승의 전승을 올린 인물, 바로 성웅 이순신입니다. 조선의 상식을 실천한 이순신 이순신에 대해 제가 꼭 하고 싶은 말은 조선의 상식을 곧이곧대로 실천한...

  • 학습 길잡이 기타

    서울과학고 김국인 쌤의 재미난 수학세계-배시원 쌤의 신나는 영어여행

    서울과학고 김국인 쌤의 재미난 수학세계 - 오각형 쪽매맞춤 평면도형을 겹치지 않으면서 빈틈없이 평면을 채우는 것을 ‘쪽매맞춤’ 또는 ‘테셀레이션’ 또는 ‘타일링’이라 한다. 정다각형 중 쪽매맞춤이 가능한 것은 정삼각형, 정사각형, 정육각형 세 가지 뿐이다. 평면을 빈틈없이 채우려면 한 꼭짓점에 모인 각의 합이 360도가 되어야 하는데, 정삼각형의 한 내각의 크기는 60도이므로...

  • 경제 기타

    Back to 조선, 대한민국은 괜찮은가 등

    Back to 조선, 대한민국은 괜찮은가 1910년 조선은 일본의 식민 지배를 시작으로 역사 속으로 사라진다. 일본의 식민 지배가 외부적 원인이었으나, 이미 조선은 오랜 악습과 사회 병폐로 몰락 직전에 이른 상태였다. 조선의 몰락한 이유는 자유 의식의 부재, 시장과 경쟁의 미숙함, 사익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에서 찾을 수 있다. 이러한 요인은 주자학적 세계관을 전제로 한다. 주자학적 세계관은 ‘멸사봉공’ ‘사농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