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경제 기타

    "1000분의 1초 줄여라"… 스포츠도 과학이죠

    첨단 소재, 첨단 설계가 기록이다“침대는 가구가 아닙니다. 과학입니다”라는 광고 문구가 눈길을 끈 적이 있다. 단순하게 나무로 짜서 만든 가구가 아니라 인체 구조에 맞게 과학적으로 설계한 가구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이 광고를 벤치마킹하면 이런 말도 만들 수 있겠다. “스포츠는 운동이 아닙니다. 과학입니다.” 스포츠에서 과학이 그만큼 중요해졌다는 뜻이다. ‘스포츠 사이언스(sports science)’다.선수들은 1000분의 1초, 1㎝, 1점이라도 더 단축하거나 더 따내기 위해 첨단 소재, 첨단 기구, 첨단 설계, 첨단 생체의학에 의존한다. 개막일까지 100일도 남지 않은 평창 동계올림픽도 그 어느 때보다 풍성한 ‘스포츠 과학의 경연장’이 될 것이라는 분석이다.한국의 메달 종목인 쇼트트랙은 과학의 레이스라고 할 만하다. 트랙 둘레가 111.12m인 이 종목은 전체 주행의 70~90%가 곡선이다. 스포츠 과학자들은 곡선주행을 위해 쇼트트랙 스케이트 날의 위치를 양발 중심선에서 왼쪽으로 치우치게 설계했다. 스케이트 날도 미세하게 휘어져 있다. 미세한 휨 덕분에 몸이 회전 구간에서 얼음에 붙을 정도로 누워도 넘어지지 않는다. 물리학 방정식에 따라 계산된 위치와 휨 정도다. 선수들이 끼는 ‘개구리 장갑’도 과학이다. 일반 장갑이 아니라 손가락 끝이 개구리 발끝처럼 생겼다. 중심을 잡게 해주면서 속도를 줄이지 않게 에폭시수지로 감쌌다. 우리나라 선수들이 처음 쓴 뒤 다른 선수들도 따라한다.400m 트랙을 도는 롱트랙 스케이트 신발에도 과학이 들어 있다. 과거엔 날과 신발이 일체형으로 붙어 있었다. 지금은 자세히 보면 날의 뒷꿈치 부분이 얼음을 지치는 발을 바꿀

  • 과학과 놀자

    후계자 지명하지 않은 시진핑… 장기집권 포석?

    시진핑 2기 체제에서 또 하나 주목되는 것은 시 주석을 이을 후계자가 나오지 않았다는 점이다. 2012년 취임한 시 주석의 최대 임기는 원래 2022년까지다. 그가 국가주석 10년 임기 규정을 무력화하고 장기 집권을 노리는 것이 아니냐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중국엔 지도자 교체 원칙 중 하나로 ‘격대지정(隔代指定)’이란 불문율이 있다. 현재 지도자는 차기 지도자를 정할 수 없으며, 대신 한 대(代)를 뛰어넘어 차차기 지도자를 지정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 원칙은 마오쩌둥과 덩샤오핑 시대 후계 문제를 놓고 권력투쟁이 이어진 데서 유래했다. 폐단을 끊기 위해 덩샤오핑은 1992년 장쩌민에게 권력을 넘기면서 당시 만 49세인 후진타오를 다음 지도자로 지정했다. 미래 권력을 미리 낙점함으로써 기존 권력의 독재와 세습 가능성을 차단한 것이다. 시 주석은 후진타오가 아니라 장쩌민에 의해 세워졌다.이런 관례에 따르면 후진타오가 키운 후춘화 광둥성 당서기가 시 주석을 이을 차기 지도자로 이번에 상무위원에 진입하거나 다른 50대 상무위원이 등장했어야 한다. 신임 상무위원 다섯 명은 후계자가 될 수 없다. 중국에는 당 대회가 열리는 해에 만 68세 이상이면 정치국 위원 이상 간부가 될 수 없는 ‘7상8하’라는 원칙이 있다. 국가주석의 임기가 10년인 점을 감안할 때 이들은 최고지도자로서 두 번째 임기를 맞는 2027년엔 모두 이 규정에 걸리게 된다. 마오쩌둥이 세웠던 불문율을 25년이 지나 시 주석이 깨버린 셈이다.상무위원 자리를 시 주석의 측근이 대거 차지하면서 1982년 권력 집중의 폐해를 막기 위해 도입된 ‘집단지도체제’ 원칙도 사실상 유명무실해졌다는 평가다. 1인 체제를

  • 과학과 놀자

    권력 더 강해진 중국 '시진핑 2기' 시작

    중국은 10억 명의 인구와 고속 성장하는 경제를 앞세워 미국을 누르고 ‘세계 최강국’으로의 부활을 호시탐탐 노리고 있다. 이런 중국의 권력구도 향방을 결정짓는 공산당 제19차 전국대표대회(당대회)에 전 세계의 이목이 쏠린 이유다. 지난 24일 폐막한 이 행사에서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사진)은 예상대로 연임에 성공했다. 이뿐만 아니라 자신의 통치철학을 공산당 최고 지도이념인 당장(黨章·당헌)에 명기했고, 핵심 지도부를 자신의 측근들로 채웠다. 중국이 한층 강력해진 ‘시진핑 1인 천하’ 시대로 들어섰다는 평가가 나온다.올해 당대회의 최대 화제는 ‘시진핑 신시대 중국 특색 사회주의 사상’(시진핑 사상)이 공산당 당장에 삽입됐다는 점이다. 외신들은 시 주석의 위상이 덩샤오핑(鄧小平)을 넘어 마오쩌둥(毛澤東) 반열에 올라섰다고 평가했다. 중국 최고지도자가 생전에 자신의 이름을 단 사상을 당장에 삽입한 것은 중국 건국의 아버지로 불리는 마오쩌둥 이후 처음 있는 일이다. 집권 5년밖에 안 된 시 주석이 당내에서 절대권력을 구축했다는 의미로 해석되고 있다. 중국 특색 사회주의는 원래 덩샤오핑의 이념이다. 시 주석은 여기에 ‘신시대’를 붙여 경제를 넘어 세계 일류 군대를 갖춘 현대화 강국을 건설하고 중화민족의 부흥을 이루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시진핑 사상의 핵심 내용은 ‘5위일체(五位一體)’와 ‘4개전면(四個全面)’으로 요약된다. 5위일체는 샤오캉(小康: 모든 국민이 편안하고 풍족한 생활을 누림) 사회 건설, 사회주의 현대화 추진, 중국몽(中國夢: 중화민족의 위대한 부흥)을 실현하기 위해 경제·정치·

  • 경제 기타

    IS '칼리프국가' 3년 여만에 붕괴 직면… 핵심 근거지 락까, 국제동맹군에 함락당해

    이라크와 시리아에서 주민들을 억압하고, 해외 곳곳에서 연쇄 테러를 자행해 악명을 떨친 수니파 무장조직 이슬람국가(IS)의 기세가 급격히 쪼그라들고 있다. 자신들이 ‘국가 수도’로 삼아온 시리아 중북부 도시 락까에서 지난 17일 국제동맹군과의 전투에서 패해 쫓겨났다.미군의 지원을 업고 IS와 싸워온 쿠르드·아랍연합 시리아민주군(SDF)은 이날 “락까를 완전 장악했으며, 도시 전체를 통제하고 있다”고 밝혔다. 쿠르드군 등 아랍계 부대가 연합한 SDF는 최근 4개월여 동안 락까를 놓고 IS와 치열한 전투를 벌였다. IS 조직원들은 민간인을 붙잡고 저항했으나 락까를 함락당하기 며칠 전부터 잇따라 투항, 철수하며 전열이 와르르 무너졌다. 국제 인권단체 등에 따르면 4개월여의 락까 전투로 최소 3250명이 숨졌으며 이 중 3분의 1은 민간인이었다. 또 락까 시내의 80% 이상이 파괴된 것으로 알려졌다.IS는 1999년 작은 테러조직을 모태로 출발했으나 세계의 주목을 받은 것은 3년 전부터다. 2014년 1월 시리아 락까를, 6월 이라크 모술을 장악하고 인근 대도시와 고대도시, 유전지대 등으로 점령지를 확대했다. 시리아와 이라크의 수많은 민간인들이 IS를 피해 난민 신세로 떠돌며 고초를 겪었다. IS는 납치, 감금, 고문, 살해, 공개처형이 난무하는 공포정치로 주민들의 자유를 빼앗았다. 소수민족을 성노예로 삼기까지 하는 만행에 중동의 다른 수니파 국가들마저 등을 돌렸다.IS는 과거 여느 무장조직들과 달리 주권국가 흉내를 냈다. 이슬람 신정일치 국가인 ‘칼리프국가’를 선포한 뒤 화폐를 발행하고 세금도 부과했다. 불법 점령지에서 마치 정상적인 국가인냥 행세한 것이다. “이

  • 경제 기타

    선진국일수록 원자력 발전으로 에너지 만든다

    한국은 폐쇄··· 일본은 재가동문재인 정부의 탈(脫)원전 정책에 대한 논란이 뜨겁다.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 6월19일 고리 원자력발전소 1호기 영구정지 선포식에 참석해 “원전 중심의 발전 정책을 폐기하고 탈(脫)핵 시대로 가겠다”고 말했다. 지난 7월에는 “월성 원전 1호기 가동도 중단시킬 수 있다”고 말했고(실제로 가동 중단했다) “2030년까지 (원전을) 몇 개 더 폐쇄할 수도 있다”고도 했다.하지만 탈원전에 대한 우려도 많다. 탈원전의 롤모델이라는 대만의 경우 지난 8월 대규모 정전(블랙아웃) 사태가 발생했다. 오후 6시부터 약 4시간 동안 순차적으로 전력 공급이 중단되면서 대만 전체 가구의 3분의 2가 36도를 웃도는 폭염 속에서 큰 불편을 겪었다. 독일의 경우 2011년 탈원전 결정 이후 전기요금이 뛰었다. 가정용 전기료는 탈원전 선언 1년 전인 2010년 ㎾h당 23.69유로센트에서 2017년 29.16유로센트로 23.1% 증가했다. 원전이 위험하다면 과연 다른 나라들은 원전을 이용하지 않을까?세계적으로 원자력 발전은 증가하는 중위 그래프는 ‘OECD Factbook 2014’에 게재된 주요국 원자력 에너지 이용 현황이다. 전체 전력공급 중 원자력 발전이 차지하는 비중을 나타낸 것이다. OECD 34개 회원국 중 원전을 사용하는 나라는 18개국(2014년 기준), 없는 나라는 16개국이다. 사용하는 나라 중 8개국은 전력의 3분의 1 이상을 원전으로부터 공급받는다.원전 비중이 가장 높은 나라는 프랑스다. 전체 전력의 74.6%를 원전으로 생산한다. 주변 영국 독일 스페인이 20% 미만인 것과 대조적이다. 이어 슬로바키아(56.3%), 벨기에(52.9%)가 50%를 웃돈다. 한국은 31.1%로 핀란드(31.7%)에 이어 열 번째

  • 경제 기타

    일본보다 빠른 속도로 '저출산' '고령 사회'가 된 한국

    위 그래프는 통계청의 ‘장래인구 추계’에서 발췌한 ‘만 18세와 70세 인구의 변화 추이’를 나타낸 것이다. 이 두 연령을 비교해 보면 세계에서 가장 심각한 수준이라는 한국의 저출산 및 고령화 속도를 가늠해 볼 수 있다.고령화 사회와 고령사회 차이는?만 18세 인구는 1980년 92만3463명으로, 70세 인구(10만3717명)의 9배였다. 2020년이 되면 상황이 바뀐다. 저출산 여파로 18세 인구가 50만 명에 턱걸이 하는 수준으로 줄어든다. 급기야 2022년에는 18세 인구가 46만 명, 70세 인구가 47만 명으로 처음 역전이 일어날 전망이다. 8년 뒤인 2030년에는 44만 명 대 79만 명으로 70세 인구가 거의 두 배 많아진다.한국의 자녀수도 급격하게 변했다. 1975년엔 가구당 4.28명으로 다자녀 시대였다. 불과 15년 만인 1990년에 들어 한 자녀 시대(1.66명)에 접어들었다. 출산율 하락 속도로는 세계 1위에 해당한다. 하지만 기대수명은 점점 늘어나 1960년 52.4세 이던 것이 2014년 82.4세로 54년간 30세나 늘었다. 행정안전부 자료에 의하면 지난달 만 65세 인구는 725만 명으로 전체 인구 5175만 명의 14%를 차지했다. 한국이 ‘고령화’ 사회에서 ‘고령’ 사회로 진입했음을 보여줬다. 고령화 사회와 고령 사회의 차이는 유엔(UN)이 정한 기준에 따라 총인구 중 만 65세 이상 인구 비율이 7% 이상이면 고령화 사회, 14% 이상이면 고령 사회다. 한국은 고령화 사회로 진입한지 17년 만에 고령 사회로 말그대로 직행했다. 프랑스는 115년, 미국은 73년, ‘노인 대국’이라는 일본도 24년 걸렸다.노동력이 부족해진다이런 인구변화는 다방면에 충격을 준다. 우선 대학 정원은 현재 56만 명인데 대학진학률이 70%를 유지해도 2020년엔 40만

  • 경제 기타

    2000년 이후 기근으로 사망한 사람은 크게 줄어

    ‘인류는 굶어죽는다’는 책들많은 사람은 인구가 늘어날수록 식량이 떨어져 굶어 죽는 사람들이 많아질 것이라고 걱정한다. 환경 비관주의자인 레스터 브라운은 1974년 “농부들이 늘어나는 식량 수요를 더 이상 감당할 능력이 없다”고 예측했다. 20년이 지난 뒤 다시 “식량과 인구 사이의 불균형이 점점 커지고 있다. 인류가 이렇게 분명한 대규모 위기와 맞닥뜨린 일은 과거에는 거의 없었다”고 주장했다.기근을 예측한 사람은 레스터 브라운뿐만 아니었다. 윌리엄 패독과 폴 패독의 책 《기근. 1975!》과 폴 에를리히의 책 《인구 폭탄》은 기근으로 인한 종말론적 목소리를 내는 대표적인 책이다. 패독 형제는 《기근. 1975!》 첫 장의 제목으로 ‘인구와 식량 충돌은 필연이다. 미리 정해진 운명이다’라고 과장했다. 기근은 필연적으로 인류가 만날 운명이라고 주장했다. 폴 에를리히도 《인구 폭탄》에서 “필연적으로 대량 아사가 임박했으며 세계 인구는 20억 명으로 줄어들고 가난한 사람들은 더욱 가난해질 것이다”라고 예언했다. 하지만 이런 환경 비관주의자들의 주장은 모두 거짓으로 드러났다.2000년 이후 기근 지역은 소말리아 뿐위 그래프는 독일 저널리스트인 귀도 밍겔스가 독일 잡지인 슈피겔지에 게재한 자료를 기준으로 했다. 2000년 이후 기근으로 사망한 사람은 인구 10만 명당 3명 정도라고 한다. 가장 최근에 일어난 재난은 2011년 소말리아의 기근이다. 유엔식량농업기구(FAO)의 조사보고서에 따르면 소말리아 전체 인구의 4.6%에 이르는 25만8000여 명이 굶주림 끝에 사망했다고 전했다. 사망자의 절반은 5살 미만 아동으로 이는 소말리아 5살 이하 인구의 10%

  • 경제 기타

    석유고갈론의 오류…"기술발전 몰랐다"

    체크포인트석유가 고갈될 것이라는 주장이 끊이지 않지만 석유 매장량은 기술발전에 힘입어 매년 늘어나고 있다. 그럼에도 석유고갈론 같은 잘못된 주장이 계속 제기되는 이유를 토론해보자.끊이지 않는 석유고갈론도로 위에 차가 넘친다. 이 차를 움직이는 것은 석유를 정제한 휘발유와 경유다. 많은 사람은 기름을 이처럼 많이 사용하면 할수록 석유가 고갈될 시기가 점점 다가올 것이라고 생각한다. 1914년 미국의 광산국도 10년 내 미국의 석유 매장량이 바닥날 것이라고 예측했다. 하지만 10년이 지난 뒤에 석유는 고갈되지 않았다. 1939년 미국 내무부는 앞으로 13년간 사용할 석유만 남았다고 말을 바꿨다. 미국 내무부는 20년이 지난 뒤에 또 13년치밖에 남지 않았다고 반복했다. 1970년에 미국 지미 카터 대통령은 “다음 10년이 끝나갈 때쯤 우리는 전 세계의 확인된 석유 매장량을 모두 소비할 가능성이 있다”고 우려하기도 했다. 1970년대 초 인류의 미래를 연구하는 기관인 로마클럽은 ‘성장의 한계’라는 보고서를 통해 2000년대 초 석유 고갈을 예언하기도 했다.과연 석유가 바닥날 것인가? 위 그래프는 미국 에너지 정보청(EIA)이 집계한 세계 석유 매장량(proved oil reserve)이다. 1980년 6433억 배럴에서 1990년 1조 배럴, 2012년 1조5000억 배럴을 넘기더니 2014년엔 1조6556억 배럴을 기록했다. 2015년에는 1조6627억 배럴이다. 30여 년 동안 매장량이 2.5배로 불어난 것이다. 이는 세계가 55.4년간 쓸 수 있는 양이다. 세계가 하루 약 9000만 배럴, 연간 300억 배럴을 퍼 쓰는 데도 매장량은 되레 늘고 있는 것이다.기술 진보로 셰일오일 발견석유 확인매장량이 늘어나는 이유는 무엇일까? 바로 ‘기술의 진보&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