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글생글
-
신철수 쌤의 국어 지문 읽기
수단(방법)과 결과(목표)를 말하는 문장 구조는?
< 18세기 이후 … 상민층에서는 ‘유학(幼學)’ 직역을 얻고자 하는 현상이 나타났다. … 유학 직역의 획득은 제도적으로 양반이 되는 것을 의미하였으나 그것이 곧 온전한 양반으로 인정받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었다. 당시 양반 집단의 일원으로 인정받기 위해서는 ㉠ 유교적 의례의 준행, 문중과 족보에의 편입 등 다양한 조건이 필요했다.(중략) 신분 세습을 비판한 유형원은 현명한 인재라도 ...
-
생글기자
무역전쟁 대비한 협상카드 충분한가
중국이 일본산 해산물 수입을 전면 금지한 것은 세계무역기구(WTO) 협정 위반이라며 일본이 철회를 요구했다. 최근 국정감사에선 한국이 일본산 수산물 수입 금지를 확대하면 WTO 분쟁이 일어날 수 있다는 해양수산부 장관의 우려가 있었다. 그러면 과연 WTO는 무역분쟁을 얼마나 공정하고 효율적으로 해결하고 있을까 의문이 생겼다. 2002년 시작해 10여 년을 끈 미국과 브라질 간 ‘면화 전쟁’을 보면 이런 의문이 조금 풀린다...
-
생글기자
114년 전 10월 26일 하얼빈 의거 잊지 말아야
지난 26일은 뜻깊은 날이었다. 정확히 114년 전인 1909년 러시아 하얼빈역에서 안중근 의사가 대한제국 초대 통감이자 국권 침탈의 원흉인 이토 히로부미를 사살한 날이다. 하얼빈 의거의 배경을 잠깐 살펴보자. 1905년 을사늑약으로 일본에 외교권을 빼앗긴 우리나라 국민은 본격적으로 저항하기 시작한다. 안중근을 비롯한 독립운동가들은 이토를 사살해야 한다는 데 뜻을 같이했다. 안 의사는 이토가 중국 하얼빈을 들른다는 사실을 알고 우덕순&midd...
-
디지털 이코노미
혁신은 정부·민간 장점 결합할 때 가속
혁신의 주체에 대한 의견이 다양하다. 민간이라는 의견부터 사실은 정부 없이는 불가능하다는 의견, 그리고 스타트업의 전유물이라는 주장에서부터 대기업이 오히려 혁신에 유리하다는 의견까지, 혁신의 주인공을 둘러싼 다양한 의견이 존재한다. 혁신을 둘러싼 의견은 경제학자들 사이에서도 다양했다. 애덤 스미스의 ‘보이지 않는 손’으로 담아내기 어려운 이슈였기 때문이다. ‘보이지 않는 손’은 이기적인 수요자와 공급...
-
과학과 놀자
투자수익 따라 상금액 바뀌고, 공동수상자엔 나눠 지급
지난 10월 2일 생리의학상을 시작으로 물리학상, 화학상, 문학상, 평화상, 경제학상 등 6개 부문에서 총 11명이 노벨상을 받았다. 과학 분야만 살펴보면 생리의학상은 코로나19 mRNA(메신저리보핵산) 백신을 개발한 2명, 물리학상은 아토초(100경분의 1초) 단위의 짧은 순간을 포착하는 빛을 만들어낸 3명, 화학상은 양자점을 개발해 관련 기술 상용화를 이끈 3명의 과학자에게 돌아갔다. 과학계는 대체로 수상이 유력한 분야에서 수상자가 나왔다고...
-
커버스토리
20여일 앞둔 수능…최대 변수는 국어
2024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이 20여 일 앞으로 다가왔습니다. 월드컵도 첫 경기가 중요하듯이 수능도 1교시가 중요합니다. 최근 몇 년간 수능에선 많은 수험생이 1교시 ‘불국어’ 때문에 어려움을 겪었습니다. 첫판부터 ‘멘붕’에 빠지지 않고 높은 점수를 얻으려면 반드시 잡아야 하는 게 국어입니다. 이번 수능은 이른바 ‘킬러 문항’은 배제한다고 합니다. 하지만 익숙하지 않은 글을 읽...
-
대학 생글이 통신
수능 D-24, 정시 집중과 마음의 여유가 중요
수능일이 다가올수록 마음이 싱숭생숭해져 공부가 잘 안 되는 수험생이 많을 겁니다. 저는 정시에 집중했는데도 10월 모의고사가 끝난 뒤부터 공부가 손에 잡히지 않아 힘들었습니다. 정신적으로 많이 흔들렸던 거죠. 하지만 저의 이런 경험을 토대로 조언해보자면 ‘흔들릴 때 흔들리라’고 말하고 싶습니다. 집중이 안 되는 상황에서 잡생각이 가득한 채로 공부하는 것은 정말 권하고 싶지 않습니다. 차라리 밖에 나가 산책을 하거나 좋아하...
-
최준원의 수리 논술 강의노트
'미분가능하면 연속'의 잘못된 이해
예시 논제 1번처럼 미분 가능성을 묻는 문제에서 상당수 학생이 연속성을 조사하는 과정을 먼저 기술하고, 이어서 미분 가능성을 조사하는 순서로 답안을 작성한다. 이는 'A이면 B이다'를 'A가 되려면 먼저 B가 되어야 한다'로 잘못 이해한 경우인데, 논리 관계로 보면 B가 필요조건이므로 B가 되더라도 A와는 관계가 없다. 즉, 연속이지만 미분 가능하지 않는 경우가 있을 수 있으므로 미분 가능성을 묻는 논제에서 연속성을 조사하는 과정은 채점에 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