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커버스토리

    돈풀기 같은 포퓰리즘이 국가경쟁력 떨어뜨려요

    스위스 국제경영개발대학원(IMD)이 최근 발표한 ‘2023년 국가경쟁력’ 평가에서 우리나라는 조사 대상 64개국 중 28위를 기록했습니다. 지난해(27위)보다 한 계단 떨어진 순위입니다. 문재인 정부 때 국가재정(나라 살림)을 방만하게 운영한 결과 재정적자가 악화하고 국가채무가 늘면서 ‘재정 경쟁력’이 지난해 32위에서 40위로 여덟 계단 추락한 것이 원인으로 꼽힙니다. 돈풀기 포퓰리즘이 국가경쟁력 순...

  • 디지털 이코노미

    영국 퀘이커 교도들의 비즈니스 성공 비결은?

    기업의 생존을 위해 수익이 필요하다. 하지만 지속가능한 수익 창출을 위해서는 기업활동의 ‘동기’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기업은 사회적으로 막대한 영향력을 갖기 때문이다. 사람들은 기업의 제품과 서비스가 우리에게 피해를 입히지 않는다는 확신이 있을 때 안심하고 소비할 수 있다. 비행기 회사가 안전에 소홀할 경우 수백 명을 해치는 무기로 둔갑할 수 있다. 보잉737 맥스8 항공기는 2018년 10월 29일 오전 자카르타에서 이...

  • 강홍민 기자의 직업의 세계

    "지구온난화로 해충 급증…수요 팽창할 전문영역이죠"

    지구온난화가 가속되는 요즘, 낯선 해충이 더 많이 출몰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바퀴벌레를 비롯한 각종 벌레를 파악하고 퇴치법을 연구해 서비스하는 직업 ‘해충방제전문가’가 더욱 주목받을 수밖에 없다. 18년째 해충방제전문가로 일하는 홍성준 케어원 선임매니저를 만나 직업의 세계를 들여다봤다. ▷방제전문가를 SC(서비스 컨설턴트)라 부르나요. “회사에서 저희를 부르는 호칭입니다. 의사가 환자를 치료하는 것처럼 해...

  • 생글기자

    2023 생글생글 학생기자 합격을 축하합니다

    한국경제신문 경제교육연구소는 ‘2023 생글기자’ 62명을 최종 선발했습니다. 고등학생(19기) 49명과 중학생(12기) 13명으로 구성된 합격자들은 오는 7월 27~28일 서울 방화동 국제청소년센터 유스호스텔에서 열리는 ‘1박2일 오리엔테이션’을 거쳐 학생기자로 본격 활동하게 됩니다. 생글기자는 자신의 학교와 지역 소식뿐만 아니라 국내외 경제·사회·문화 등 다양한 분야의 ...

  • 생글기자

    2022 '우수 생글기자' 뽑았어요 !

    한국경제신문 경제교육연구소는 2022 생글기자 가운데 뛰어난 활동을 보여준 학생을 ‘2022 우수 생글기자’로 선정했습니다. 지난 1년간 생글생글 지면에 게재된 기사의 수와 질을 평가한 결과입니다. 우수 기자상을 시상하지 못한 2021년 하반기 활동 생글기자도 포함했습니다. 수상자에겐 한국경제신문 사장상과 소정의 상품권을 수여합니다.

  • 테샛 공부합시다

    세계적 물부족 위기…물관리 산업 키워야

    사진 속 건물을 보시죠. 멕시코는 지난 3월부터 폭염에 따른 가뭄으로 저수지와 강물이 말라가고 있다고 합니다. 그래서 16세기 지어진 사진 속 건물도 저수지가 만들어진 이후 60년 만에 처음으로 완전한 모습을 드러냈습니다. 전문가들은 폭염의 원인 중 하나로 기후변화를 언급하고 있죠. 엘니뇨와 애그플레이션 지난 6월은 때 이른 폭염이 세계를 뒤엎었다고 할 만큼 뜨거웠습니다. 멕시코는 최고 기온이 45도, 미국 텍사스 지역은 48도를 기록했다고...

  • 최준원의 수리 논술 강의노트

    함수 연속성의 궁극적 의미를 이해하자

    지난 호 기사(6월 26일자 16면) 예시 논제에서 살펴봤던 함수의 연속성 의미를 좀 더 보완해 확실하게 점검하자. 수리논술을 본격적으로 준비하지 않은 학생들에게 함수의 연속이 무엇인지 물어보면 대부분 기계적으로 “좌극한=우극한=함숫값”이라고 답한다. 물론 수능에서는 이 공식으로도 문제가 해결된다. 그러나 논증 추론의 유형, 즉 증명 유형으로 문제가 나오면 위의 공식만으로는 한계에 부딪히는데, 가장 큰 이유는 함수의 연속성...

  • 대학 생글이 통신

    소탐대실 않는 멘탈 관리가 성공에 이르는 길

    이번에는 공부에 열중하기 위해 마음을 다스리는 효과적인 방법에 대해 이야기하고자 합니다. 저만의 첫 번째 멘탈 관리법은 ‘나에게 집중하기’입니다. 역설적이게도 굉장히 쉬우면서 동시에 어려운 것이 스스로에게 집중하는 것입니다. 시험 기간 교실 안이 공부의 열기로 가득 찰수록 급우들과의 경쟁 역시 치열해집니다. 그러다 보면 어느새 내 공부에 집중하기보다 친구들이 보는 교재, 듣는 인강, 쓰는 학습도구에 관심을 보이는 자신을 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