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글생글
-
경제 기타
(기자 수첩) 교내 도덕 붕괴 이대로 좋은가
학교 내의 공공도덕 붕괴에 많은 사람들이 걱정스런 목소리를 내고 있다. 오래전부터 암묵적으로 지켜져 온 교내 질서들이 무너지고 있어 학교별로 대책 마련에 부심하고 있다. 기자가 울산지역 23개학교를 조사한 결과 기존의 교칙을 엄격히 바꾸고 도덕성 교육을 위한 시간을 따로 마련하거나 질서나 배려와 관련한 인성 실천 사례를 수행 평가로 낸 학교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실,교내 도덕과 질서의 붕괴론은 오래전부터 나돌던 말이다. 실제로 울산의...
-
진학 길잡이 기타
고려대 2007학년도 정시 논술문제
[논제]다음 네 개의 제시문은 하나의 공통된 주제와 관련된 글이다. 그 주제를 말하고,제시문 간의 연관 관계를 설명하시오. 그리고 그 주제에 관한 자신의 생각을 논술하시오.(1600±100자) (1) 옛날 순(舜)임금이 기(夔)에게 "너로 하여금 음악을 관장하게 하니 천자와 경대부의 장자(長子)들을 가르쳐라"라고 명하였다. '음악을 관장한다'는 것은 단지 음악을 관장한다는 의미일 뿐인데 어찌하여 순임금은 기에게 사람들을 가르치라고 하였을...
-
(36) 항공기 조종사 … 누구나 한번쯤 꿈꿨던 일
인간은 오래 전부터 하늘을 날고 싶은 욕망이 강했다. 푸른 창공이나 우주를 비행하는 모습은 그 자체만으로도 수많은 사람들에게 선망의 대상이다. 더욱이 우리나라 최초의 우주인(후보)이 탄생하면서 최근 항공과 관련한 직업이 관심을 끌고 있다. 지구촌화,세계화가 가속화하면서 해외여행이 급속히 늘어 비행기는 일부 계층의 전유물이 아니라 일반인과도 아주 밀접한 필수 교통수단이 됐다. 게다가 정부는 앞으로 우리나라가 먹고 살 기초가 될 성장산업의 ...
-
진학 길잡이 기타
2008학년도 대학입시 무엇이 달라지나 ③ 논술
전국 45개 대학서 논술고사 실시 … 당락 좌우 2008학년도 대학입시에서는 45개 대학이 논술고사를 실시하며,이들 대학의 모집인원은 5만1807명에 이른다. 이 인원은 전체 모집인원 37만1755명의 13.9%이며, 작년 수능 원서 접수자를 기준으로 보면 전체 수험생의 30%가량이 논술고사를 준비할 것으로 예상된다. 물론 면접이나 인·적성검사를 전형방법으로 활용하거나,학생부와 수능만으로 모집하는 대학도 있다. 하지만 서울대를 포함한 주...
-
학습 길잡이 기타
제20회 논제 : '분배개선의 필요성 및 개선을 위한 다양한 접근 방안'
오는 2월 9일(금)까지 서울 남강고 이윤건 선생님께서 출제해주신 제21회 논제 '현대사회에서 인간소외의 발생 원인과 해결방안' 글쓰기가 진행 중입니다. '실전! 글쓰기'에 참여를 원하는 학생 여러분들은 생글생글i( www.sgsgi.com ) 홈페이지에 게재된 논제와 제시문을 보고 글을 올려주세요. 올려주신 모든 글에 대해서는 출제 선생님과 한경 논설위원 및 중견 기자들이 첨삭 지도를 해드립니다. 또한 최우수작 1편과 우수작 10...
-
학습 길잡이 기타
21. 일치(Agreement) ⑤ 실전문제
문제 풀면서 머릿속에 '쏙 쏙' 정리해보자!! ♣일치 관련 문제들을 풀어보며 지금까지 학습한 내용을 총 점검해 보도록 하자. [1~2] 다음 문장에서 밑줄 친 단어를 어법에 맞게 적절한 형태로 바꾸어라. 1. Many people who live in this part of the world be likely to be worried about the new terrorists. 2. The most important issue fa...
-
시사 경제용어 따라잡기
(7) 모름지기 군주는…
이제 생글생글도 휴대폰으로 본다! 휴대폰으로 생글생글을 읽고 모바일 글쓰기로 푸짐한 경품도 타세요. 매주 참여할수록 당첨 가능성은 쑥~ 올라갑니다! [문제] 괄호 안에 알맞은 단어를 넣어보세요. 해당되는 단어만 순서대로 적어주시면 됩니다. 모름지기 군주는 (①___)과 (②___)을 동시에 받아야 한다. 그러나 그 두 가지를 함께 누리기는 어려우므로, 둘 중 하나를 포기해야 한다면 (②___)을 받기보다 (①___)을 받는 편이 안전...
-
시사 경제용어 따라잡기
(17) 삼각수가 뭐야?
삼각형 모양으로 원을 배열했을 때 그 삼각형을 이루는 원들의 개수를 삼각수라고 한다. 예를 들어 아래의 그림과 같이 원을 배열할 때 첫 번째 삼각수는 1이고,두 번째 삼각수는 1+2=3이며,세 번째 삼각수는 1+2+3=6이다. 즉,삼각수란 1+2+3+…+n과 같은 꼴로 나타낼 수 있는 수라고 할 수 있다. 삼각수에 대한 수업 후 수학선생님께서는 학생들에게 재미있는 퀴즈를 제안했다. 선생님께서는 학생들에게 0부터 9까지의 숫자를 학생 임의대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