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글생글
-
경제 기타
도요타의 '굴욕'… 日 장인정신의 자존심 뿌리째 '흔들'
부품 결함으로 품질관리 구멍… 대량 리콜사태 휘말려 '품질 신화의 자부심'으로 세계 자동차업계 1위를 지켜온 일본 도요타자동차가 대규모 리콜에 휘말리며 그동안 쌓아온 아성이 송두리째 무너질 위기에 처했다. 이번 사태는 지나치게 빠른 속도로 해외사업 확장에만 치중하다가 도요타를 지탱해온 '장인정신의 DNA', 즉 '모노즈쿠리(物作り)'를 잃으면서 품질관리에 구멍이 뚫린 게 가장 큰 요인이라고 요미우리신문을 비롯한 주요 언론들은 전했다. '모...
-
경제 기타
알몸투시기 공항 설치 어떻게 봐야하나요.
찬 “승객의 생명·안전 지키는 게 무엇보다 우선” 반 “사생활 침해 소지에 테러 방지 효과도 미지수” 인천공항을 비롯 김포공항,김해공항,제주공항 등 국내 주요 공항에 전신검색기, 이른바 '알몸투시기'를 설치하는 문제를 놓고 찬반 논란이 뜨겁다. 검색대상은 1차 검색에서 문제점이 발견된 사람이나 테러와 밀수 의심자 등으로 제한하며, 검색을 위해 본인의 동의를 얻도록 하고, 신체 특정 부위가 흐릿하게 처리되는 전신투시 스캐너(full-body...
-
경제 기타
대형 할인점 출혈경쟁… 기업, 언론, 소비자 함께 반성해야…
대형 할인점 간의 가격 경쟁이 과열되고 있다. 자연스러운 경쟁을 통해 제품의 시장가격이 낮아지는 것은 바람직한 일이지만,이번 가격 경쟁은 유통업체 간 자존심 싸움의 성격이 있어 우려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경쟁적 가격 인하에 불을 붙인 것은 지난 1월 중순,업계 1위를 지키고 있는 대형 할인점이 주요 일간지에 낸 생필품 가격 인하 방침에 대한 광고였다. 해당 업체는 광고를 통해 소비자들이 자주 찾는 삼겹살,즉석 조리식품 등의 가격을 파...
-
경제 기타
SAT 문제 유출… 양심마저 저버린 비뚤어진 교육열
미국 대학수학능력시험(SAT) 문제 유출 사건이 점입가경의 경지로 접어들고 있다. 지난달 18일 태국에서 SAT 시험지를 빼돌려 한국 학생들에게 유포한 혐의로 김모씨(37)가 붙잡힌 지 얼마 되지 않았는데 또 이 같은 일이 발생했다. 지난달 26일 SAT 문제를 유출한 R어학원의 장모씨(36)도 구속돼 사회적으로 큰 이슈가 되고 있다. 한국에서 SAT 부정행위 논란은 어제 오늘 일이 아니다. 2005년부터 문제 유출에 관한 문제가 제기되...
-
경제 기타
아직 '특성화 학교'에 대해 잘못된 선입견 갖고 있나요?
꿈의 학교,푸른꿈 고등학교,간디학교의 공통점은 무엇일까? 답은 이 세 학교가 모두 특성화 학교라는 것이다. 특성화 학교는 공교육제도의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만들어진 종래의 학교와 다른 학교이다. 그러나 특성화 학교는 소위 말하는 '대안학교'로 사람들의 인식 속에 부정적으로 각인되어 있다. "대안 학교(alternative school)는 세계화에 맞는 글로벌 리더 양성에 따라 세워진 학교입니다. 장애아나 소위 문제아로 불리는 학생들이 다니...
-
경제 기타
대학 진학…, 학교냐 학과냐 그것이 문제로다!
올 봄에 대학교 신입생이 되는 장 군은 남들이 보기에는 '행복한 고민'에 빠졌다. 희망하던 대학에 합격하였기 때문이다. 하지만 문제는 전공하고 싶었던 학과가 아닌 다른 학과에 합격했다는 것이다. 타대학의 인기 학과에도 합격하였지만 대학을 한 단계 낮춰 간다는 것은 자존심이 허락하지 않는다. 우리나라는 아직 대학 간판이 중요하며 대학 간판을 따라 가면 대학 생활 동안 또 다른 흥미를 찾을 것이라는 의견과 전공 선택을 잘못하면 평생 원치 않...
-
경제 기타
학원 심야교습 금지, 진정 학생들을 위한 정책?
최근 전국의 학원가는 혼란에 빠져 있다. 서울에서 시행하고 있는 학원 심야 교습 금지 제도를 전국으로 확대하려는 움직임 때문이다. 전국의 지방 도교육청은 학원의 교습 시간을 오후 10시까지로 제한한다는 조례안을 마련해 입법 발표하였고 학원가는 이에 반대하는 의견서를 교육청에 제출하거나 교습 시간 억제 철폐를 요구하는 집회를 여는 등 이에 반발하고 있다. 전국의 도교육청은 지나치게 높은 사교육비를 줄이려는 목적으로 위와 같은 조례안을 마련하...
-
경제 기타
아직도 우리의 소원은 통일인가요?
우리의 소원은 통일/꿈에도 소원은 통일/이 정성 다해서 통일/통일을 이루자/이 겨레 살리는 통일/이 나라 살리는 통일/통일이여 오라/통일이여 오라……. 이 노래를 알지 못하는 사람은 거의 없다. 대부분이 이 노래를 부르고 있지만 예전만큼 많은 사람들이 이 노래처럼 통일을 바라지 않는다. 예전에 했던 한 조사에 따르면 통일 비용 부담에 대해서는 기성세대의 87%,청소년의 63%가 긍정적으로 답했고 통일의 당위성을 믿고 있는 중 · 고교생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