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글생글
-
경제·금융 상식 퀴즈
4월 25일자
1. 한국은행이 기존 지표의 단점을 보완해 최근 새로 개발한 금융불안지수다. 위기 시 금융시장에 영향을 주는 가격변수를 별도로 측정해 금융위기를 사전에 탐지할 목적으로 고안된 이것은? ①조기경보지표 ②금융스트레스지수 ③하방리스크지수 ④소비심리평가지수 2. 인터넷뱅킹 등 전자금융 거래시 고정된 비밀번호 대신 1분마다 다른 비밀번호를 사용할 수 있도록 일회용 비밀번호를 생성해주는 기계다. 상대적으로 해킹으로부터 안전해 금융당국이 적극 ...
-
스도쿠 여행
스도쿠 여행 (171)
18세기 스위스의 천재 수학자 레온하르트 오일러가 고안한 스도쿠(Sudoku)는 가로와 세로 9×9의 상자 안에 1부터 9까지 숫자를 수직 · 수평은 물론 작은 3×3 상자 안에서도 서로 겹치지 않게 써 넣는 퍼즐게임입니다. 어느 한 곳의 숫자가 틀리면 스도쿠는 실패하게 됩니다. 스도쿠는 푸는 재미는 물론 자신도 모르게 논리적 · 수학적 지능을 높이는 효과도 있어 세계적으로 인기를 모으고 있습니다. 생글생글 독자들의 높은 수준을 감안해 다...
-
경제 기타
국가신용등급 등
나라의 신용 상태가 어떤지 알려주마! ⊙ 국가신용등급 ☞ 개인이나 기업,나라가 돈을 빌리거나 빌려줄 때엔 대출자의 신용이 어느 정도인지를 알 수 있는 객관적 자료가 필요하다. 그래야 돈을 빌려주는 쪽에서 대출에 따른 위험(리스크),가령 떼일 염려는 어느 정도나 되고 이자는 얼마나 받아야 될지를 결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신용이 높은 나라나 기업,개인일수록 보다 싼 이자에 돈을 빌릴 수 있다. 이처럼 각 경제주체들의 신용 상태...
-
커버스토리
'장하준의 자본주의'를 해부한다
한 나라가 부강해지려면 어떤 길을 가야 할까. 국가의 경제개발 전략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눠볼 수 있다. 하나는 시장경제와 개방 · 자유무역을 통한 경제개발이고,또 하나는 계획경제와 폐쇄 · 보호무역이 그것이다. 학교에서 배우는 경제학은 시장경제와 자유무역이 경제를 발전시키는 힘이라고 가르친다. 자원 배분이 수요와 공급 원리에 의해 시장에서 형성되는 가격에 따라 이뤄지는 시장경제는 경쟁과 창의성,혁신을 촉진시킴으로써 경제를 발전시킨다. ...
-
경제 기타
성장둔화·물가 '고공' 불가피··· 한은 물가 전망 상향
한국은행은 지난해 경제성장률이 6.2%,소비자물가 상승률이 2.9%였던 것과 비교하면 올해는 경제성장이 둔화하고 물가는 큰 폭으로 오를 것으로 예상했다. 이상우 한은 조사국장은 13일 '경제전망 수정' 브리핑에서 "구제역의 영향을 받는 축산물과 외식 가격 상승이 물가상승률을 0.3%포인트 끌어올릴 것"이라며 "국제유가 상승에 따라 0.4%포인트가 추가로 높아졌다"고 설명했다. 이 국장은 "정부의 물가안정 대책은 물가상승률을 0.4%포인트 낮...
-
경제 기타
1억원 이상 연봉자 20만명 육박 등
⊙ 1억원 이상 연봉자 20만명 육박 '꿈의 연봉'으로 불리는 1억원 이상 연봉자가 20만명에 육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4일 국세청이 발간한 '한눈에 보는 국세통계'에 따르면 2009년 전체 근로자 1429만5000명 중 연봉 1억원이 넘는 근로자는 19만7000명으로 작년에 비해 약 2000명이 증가했다. 이 중 서울 거주자가 9만3000명으로 전체의 47.7%를 차지했다. 서울을 비롯해 경기와 인천 등 수도권 거주자는 전체의 74...
-
커버스토리
'장하준의 자본주의'를 해부한다
▶ 장하준 교수의 주장을 반박하는 이유... 장하준 케임브리지대 교수가 쓴 책 '그들이 말하지 않는 23가지'는 30만부가 넘게 팔렸다. 자유시장 경제학자의 주장 23가지를 조목조목 비판한 책이 이렇게 많이 팔린 것은 놀랄 만한 일이다. 일반인들에게 이상한 것은 장 교수한테 그렇게 비판을 받는데도 왜 자유시장경제학자들은 제대로 대응을 하지 않는가이다. 여러 사람들에게 질문을 해보니 이유는 비슷했다. 장 교수의 책이 대중적 인기를 누리고...
-
경제 기타
도마위에 오른 'KAIST식 교육'···“수업방식 바꿔야” vs “개혁 지속” 팽팽
징벌적등록금·'영어강의논란' ···'서남표 리더십' 기로에··· '과학 수재'들이 다니는 KAIST가 사회적 논란의 중심에 섰다. 올 들어 학생 4명과 교수 1명이 스스로 목숨을 끊으면서 학사운영과 학생관리 방식이 도마에 올랐기 때문이다. 숨진 학생과 교수의 사연이 저마다 달라 공통점이 있다고 볼 수는 없지만 한 학교에서 이처럼 연달아 비극이 벌어진 것은 유례를 찾기 힘들어 많은 파장을 일으키고 있다. 한쪽에서는 서남표 KAIST 총장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