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글생글
-
커버스토리
등록금에 허리 휘는 대학생 ··· " 알바로 공부시간 모자라요 "
대학생 A씨(23)는 지난 2월8일 강원도 강릉의 한 원룸에서 숨진 채 발견됐다. 방안에선 A씨가 마지막으로 희망을 걸었을 즉석복권과 학자금 대출서류가 발견됐다. 지난해 11월 대구에서는 밀린 학자금 대출 상환을 고민하던 여대생 B씨(21)가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경찰은 B씨가 돈을 벌기 위해 대학을 휴학한 채 직장을 구하려 다녔으며 자살 전날 어머니를 붙잡고 울며 미안하다는 말을 되풀이했다고 전했다. 2009년에는 명문대를 다니다 등...
-
경제 기타
해커들의 무차별 공격··· 소니 이어 IMF·FBI도 뚫렸다
글로벌 해커집단 '룰즈섹(LulzSec)'은 지난 13일 미국 상원의 웹사이트를 해킹해 얻은 파일들을 온라인에 공개했다. 국제통화기금(IMF) 전산망도 최근 사이버 공격을 당했는데 일부 전문가들은 중국이 연루돼 있다고 지목해 논란이 일기도 했다. 해킹 배후로 지목되는 곳은 룰즈섹이나 '어나니머스(Anonymous · 익명이라는 뜻 )' 같은 해커집단이 대부분이지만 일부에서는 정부 간 경쟁에 해킹이 이용되기도 한다는 얘기가 나온다. 구글은 ...
-
경제 기타
'공유지의 비극'에 대처한 조선인의 지혜
경제학에는 공유지의 비극이라는 개념이 있다. 이는 소유권이 없는 공유지 또는 공유자원이 과다소비로 인해 고갈되는 현상을 의미한다. 공유자원이란 재산권이 확립돼 있지 않기 때문에 누구든지 마음대로 사용할 수 있는 자원을 의미한다. 소유자가 정해져 있지 않은 호수의 물고기,생수의 취수원이 되는 지하수 등은 공동 소유 자원의 대표적 예라고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표적인 공유자원인 주인 없는 목초지의 경우 저마다 자유롭게 양들을 풀어 놓고,풀...
-
경제 기타
전세값 상한제 도입해야 하나요
찬 “아무 대안없이 무조건 상한제 비판해선 안돼” 반 “정부의 인위적 가격 통제는 바람직하지 않아” 전세값 상한제 도입 문제가 뜨거운 이슈로 부각되고 있다. 집값 상승세는 잠잠해졌지만 수도권과 서울 일부 지역, 특히 학군 수요가 높은 서울의 대치동 목동과 같은 지역의 전세값이 다시 큰 폭으로 뛰면서 여야할 것 없이 정치권에서 전세값 상한제 도입이 급물살을 타고 있다. 이들 지역에서 최근 전세값이 꿈틀대는 것은 재건축으로 기존 아파트를...
-
학습 길잡이 기타
(63) "도표와 통계는 하나의 스토리에 부합돼야"
지난 연재들을 통해 우리는 ①공통점 찾기 ②비교하기 ③설명하기 ④비판하기 유형에 대해 가볍게 익혔습니다. 그리고 복수의 제시문 문제를 다룸으로써 어떤 식으로 문제유형을 만들어내는지 보았지요. 이제 또 중위권 문제의 또 다른 대표유형인 도표와 통계에 대해 익힐 필요가 있습니다. (이 내용은 2011년판 중급교재 p.31에 있습니다). 중위권 대학의 주요한 특징이라면, 혹은 상위권 대학의 문제들과의 차이라면 분명 <현실에 기반을 둔 시...
-
경제 기타
진로적성, 스스로 탐색하며 수정·보완해 나가야
자신의 진로적성에 대한 학생들의 관심이 과거에 비해 부쩍 커졌다. 진로 설정의 중요성이 어려서부터 강조되고, 입시에도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얼마 전에는 입학사정관제에서 좋은 평가를 받기 위해 학생부의 장래희망을 고쳐 사회적 이슈가 된 웃지 못할 해프닝까지 연출된 바도 있다. 사람들에 따라서는 처음부터 확실한 직업을 정해 끝까지 관철하는 경우도 있을 것이고, 처음 목표와는 전혀 다른 적성을 뒤늦게 발견하는 경우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
-
경제 기타
왜~ 우리에겐 통일이 필요할까요?
지금껏 나는 통일에 별 관심이 없었고, 왜 통일을 해야 하는지에 대한 필요성조차 느끼지 못하고 살아왔다. 그러나 6 · 25 전쟁 발발 60주년을 맞아 진지하게 생각해 보게 되었다. 같은 민족이면서 남한과 북한이 왜 휴전선을 사이에 두고 60년 가까운 세월동안 둘로 갈라져 서로가 반목하면서 살아왔는지. 한 가족이면서 떨어져 살아가는 이산가족의 아픔을 견디며 가슴 속의 한을 쌓아놓고 지내야 하는지에 대해 곰곰이 생각해 볼 수 있는 기회가 되...
-
경제 기타
반값 등록금 학생들에겐 꼭 필요해요!
현재 반값 등록금을 촉구하는 움직임이 전국적으로 확대되고 있다. 한나라당이 지원 대상을 B학점 이상으로 제한하려는 움직임에 맞서 시민단체들과 대학생들은 '조건 없는 반값 등록금'을 외치며 비판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고려대 · 서강대 · 숙명여대 · 이화여대 등의 서울지역 4개 대학이 반값 등록금 동맹휴업을 추진하고 있어 더욱 파장이 커질 기세다. 우리나라 대학들은 지난 10년간 등록금을 매년 5~10%씩 인상해 왔다. 우리나라 사립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