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수야\! 놀자
-
영어 이야기
가뭄 끝에 단비 'blessed rain after a drought'
SK On has landed a deal to supply nearly 100 gigawatt hours (GWh) of electric vehicle batteries to Japanese carmaker Nissan Motor Co. The Korean company, also the world’s fifth-largest battery maker, announced that it will supply Nissan with 99.4 GWh of high-performance, high-nickel batteries from 2028 to 2033.Considering that the battery cells were recently sold at $104 per kilowatt hour (kWh), the total order value is estimated at 15 trillion won ($10.3 billion). The batteries, enough to power 1 million midsize EVs, are expected to be manufactured in SK On’s new plant in the US state of Kentucky, which is set to embark on mass production in the first half of this year.The deal comes as blessed rain following a drought to the money-losing Korean battery maker amid the protracted global EV chasm, or EV’s stalled transition to a mainstream auto segment.SK온이 일본 닛산자동차에 100GWh에 달하는 전기차용 배터리를 공급하는 계약을 체결했다. 세계 5위 배터리 제조업체인 SK온은 2028년부터 2033년까지 닛산에 총 99.4GWh 규모의 고성능 하이니켈 배터리를 공급할 것이라고 발표했다.최근 배터리 셀 가격이 kWh당 104달러였던 점을 고려하면 이번 계약 규모는 약 15조원(103억 달러)으로 추정된다. 중형 전기차 약 100만 대에 들어가는 물량으로 올해 상반기부터 미국 켄터키주에 새로 지은 SK온 공장에서 대량 생산할 예정이다.이번 계약은 전 세계 전기차 시장의 침체로 손실을 겪고 있던 SK온에 가뭄 속 단비 같은 희소식으로 여겨지고 있다.해설대표적인 친환경차인 전기차는 자동차 회사들의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탄소 배출을 줄일 수 있는 전기차로의 전환 수요가 점차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었기 때문이죠. 하지만 전기차 수요가 기대만큼 빠르게 증가하지 않아 전기차 제조사는 물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알고나면 민망한 말 '샅샅이'
“조◇◇ 국민의힘 의원은 ‘박×× 장관은 스스로 장관에 앞서 여당 의원이라고 선언했다. 정치적 중립 따위는 발에 낀 때 같은 존재라는 것’이라고 말했다.” 2022년 1월 국회 법제사법위원회에서 여야가 난타전을 벌였다. 당시 제20대 대통령선거를 앞두고 서로 상대 당 대선후보를 둘러싼 의혹을 부각하며 대리전을 벌인 것이다. 정치적 공방은 늘 있는 것이고, 우리 관심은 조 의원이 비유하는 말로 인용한 ‘발에 낀 때 같다’란 표현에 있다.“사타구니 깊은 데까지 자세히”란 뜻일상에서 무심코 하는 말 중에 “발에 낀 때같이 여긴다”라는 게 있다. “발가락에 낀 때”라고 하기도 한다. 하찮고 대수롭지 않은 것을 강조할 때 쓰는 말이다. 이 말은 몇 가지 변형된 형태로 쓰이는데, 우리 속담에 “발새 티눈만도 못하다”라는 게 그중 하나다. 이는 발가락에 난 귀찮은 티눈만큼도 여기지 아니한다는 뜻으로, 남을 몹시 업신여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이다. 이를 “발가락의 티눈만큼도 안 여긴다”라고도 하는데, 같은 말이다. ‘때’가 ‘티눈’으로 대체됐다.그런데 우리말을 좀 아는 사람은 이를 ‘발새에 낀 때’라고 한다. 또는 ‘발샅에 낀 때’라고 한다. ‘발새’는 발가락과 발가락의 사이를 가리킨다. <표준국어대사전>에는 “옥화가 당신을 좋아할 줄 아우. 발새에 낀 때만도 못하게 여겨요”(김유정, <두꺼비>)라는 용례가 보인다.‘발샅’ 역시 발가락과 발가락의 사이를 가리킨다. ‘발새’와 같은 말이다. 이때 보이는 ‘샅’이 흥미로운 말이다. 샅은 두 다리의 사
-
경제 기타
'용의자의 딜레마'…믿었던 측근이 배신하는 이유
가위바위보 할 때를 생각해 보자. 상대방이 무엇을 낼지 잠시 고민한다. 알 수는 없지만 짧은 순간 머리를 굴린다. 회사에서 신제품을 내놓는다. 소비자 반응은 어떨지, 경쟁사는 어떻게 나올지 고민을 거듭한다. 인생은 게임이다. 가위바위보부터 회사 신사업까지 우리는 상대방의 행동을 예상하며 의사결정을 해야 하는 ‘전략적 상황’에 처한다. 이런 상황에 놓인 경제주체들의 행동을 연구한 경제학 분야가 있다. 게임이론이다. 협력과 배신 사이게임이론의 고전적인 사례로 다양하게 응용되는 것이 ‘용의자의 딜레마’다. 검찰 수사를 받는 두 용의자가 있다. 검찰은 이들에게 징역 1년을 구형할 만한 범죄의 증거를 갖고 있다. 그런데 그보다 더 심각한 범죄에 대해선 심증만 있고 물증이 없다. 검사는 두 사람을 각각 다른 방에 불러 다음과 같이 제안한다.당신이 자백하고 공범이 부인한다면 당신은 무죄로 석방해 주고 공범에게는 징역 10년을 구형하겠다. 둘 다 자백하면 각각 징역 5년을 살게 하겠다. 둘 다 끝까지 부인하면 각각 징역 1년을 구형하겠다.두 사람이 받을 징역형의 총량을 따져보면 둘 다 끝까지 부인해 1년씩 구형받는 것이 가장 합리적이다. 그러나 이들은 상대방의 행동을 예측하기 어렵다. 만약 내가 부인했는데, 상대방이 자백한다면 상대방은 석방되고 나만 10년 형을 받는 최악의 상황이 된다. 그러느니 자백하는 것이 낫다. 자백하면 10년 형을 받을 일은 없고, 운이 좋으면 석방될 수도 있다. 결국 두 용의자 모두 자백한다. 두 사람 다 징역 1년씩만 받을 수 있는 선택지를 놔둔 채 둘 다 5년 형을 받고 만다.한때 동지적 관계였던 사람들이 범죄를 저지른 뒤 수사를
-
대학 생글이 통신
법조인·공직자 꿈에 다가가는 글로벌리더학부
글로벌리더학부라고 하면 구체적으로 어떤 분야를 공부하는 곳인지 잘 모를 수도 있을 것입니다. 먼저 로스쿨 제도에 대해 설명해야 할 것 같습니다. 2008년부터 로스쿨이 도입되면서 로스쿨을 설치한 대학은 학부 과정에 법학 전공 과정을 둘 수 없게 됐습니다. 그렇게 전국에 25개 로스쿨이 설립되면서 25개 법학과가 사라졌습니다. 학과 이름은 바뀌었지만, 과거 법학과의 성격을 계승한 전공을 둔 대학이 여러 곳 있는데요, 성균관대 글로벌리더학부 또한 그중 하나입니다.글로벌리더학부는 크게 법무 트랙과 정책학 트랙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법무 트랙은 법조인이 되기 위해 로스쿨 진학을 목표로 하는 학생들이 선택합니다. 주요 과목으로는 민법의 기초, 헌법의 이해, 범죄와 사회 등이 있습니다.정책학 트랙은 행정고시 등 국가고시를 준비하려는 학생들이 주로 선택합니다. 주요 과목으로는 재정학의 이해, 행정학의 이해, 인적자원 관리의 이해 등이 있습니다. 두 트랙이 완전히 분리돼 있지는 않아서 글로벌리더학부 학생이라면 원하는 트랙의 수업을 자유롭게 수강할 수 있습니다.저는 처음에 국가고시를 준비할 생각으로 글로벌리더학부에 입학했지만, 법학 과목에 흥미를 느껴 지금은 로스쿨 진학 쪽으로 마음이 조금 기울어 있습니다. 법학 과목은 고등학교에서 배우는 ‘정치와 법’보다 훨씬 방대한 분야를 공부합니다. 암기해야 할 내용이 많은 것은 물론이고, 판례를 이해하려면 논리력과 독해력이 필요합니다. 정책학 과목은 사회 이슈를 논리적으로, 또 실무적으로 어떻게 풀어나갈지 깊이 고민하고 해결책을 제시하는 방향으로 수업을 진행합니다.성균관대 글로벌리더학부에 다
-
임재관의 인문 논술 강의노트
대중문화는 현실 속에서 어떻게 작용할까
이번 호에서는 사회문화 영역에서 다루는 ‘대중문화’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이를 이해하려면 먼저 ‘대중’이라는 개념부터 짚고 넘어가야 합니다.대중(大衆)은 첫째, 수많은 사람의 무리를 뜻하며, 둘째로는 대량생산·대량소비를 특징으로 하는 현대사회의 다수를 말합니다. 흔히 엘리트와 대비되며, 수동적이고 감정적이며 비합리적인 특성을 가진다고 평가되기도 합니다.따라서 대중이 향유하는 문화, 대중을 중심으로 생산·소비되는 문화, 대중이 주체가 되는 문화를 ‘대중문화’라고 부를 수 있습니다.과거에는 ‘매스 컬처(mass culture)’라는 용어가 널리 쓰였으나, 최근에는 대중매체가 다수의 취향을 반영한다는 점에서 ‘파퓰러 컬처(popular culture, pop culture)’라는 표현이 더 일반화되었습니다. 대중문화는 가요, 영화, 드라마 등 사회 전반에 퍼진 문화적 흐름이며, 과거의 귀족 중심 고급문화와 달리 대중의 기호와 요구를 반영하며 매체의 발달과 함께 성장해왔습니다. 텔레비전, 라디오, 신문과 같은 전통매체는 물론, 디지털 기술 기반의 뉴미디어는 대중문화의 확산에 큰 역할을 했습니다. 대중문화는 사회적 유대감 형성, 문화 다양성 증진, 창의성 확대, 사회문제에 대한 인식 제고 등 긍정적 기능을 수행하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방탄소년단은 자아 존중과 정신 건강을 노래하며 한국 문화를 세계에 알렸고, 마블의 <블랙 팬서>, <샹치>는 다양성과 포용성을 강조했습니다. <오징어 게임>은 자본주의 사회를 비판적으로 조명하면서도 세계적 인기를 얻었고, 틱톡과 같은 플랫폼은 누구나 콘텐츠를 생산·공유할 수 있는 문화 생태
-
키워드 시사경제
美 관세에…닌텐도 가격 인상, 아이폰도 '유탄' 우려
닌텐도가 8년 만에 차세대 콘솔 게임기 ‘닌텐도 스위치 2’를 내놓는다. 한국 출시일은 6월 5일로 확정됐다. 화면을 공유해놓고 여러 사람과 음성 채팅을 하며 게임을 즐기는 ‘게임챗’ 기능을 새로 선보인다. 전용 컨트롤러 ‘조이콘’은 홈에 끼우는 기존 방식과 달리 자석으로 쉽게 탈착할 수 있다. 2017년 이후 전 세계에서 1억5000만 대 넘게 팔린 전작의 성과를 뛰어넘을지 관심을 끈다. “트럼프 상호 관세, 가격 줄인상 유발”그런데 신제품 공개 이후 게임 팬들 사이에서 논란이 일고 있다. “가격 차별이 너무 심하지 않냐”는 것이다. 닌텐도는 한국 시장 가격을 64만8000원으로 매겼다. 미국은 449.99달러(약 66만원), 유럽은 469.99달러(약 69만원)다. 반면 일본 전용 제품은 4만9980엔(약 50만원)이다. 게임 콘솔값이 국가마다 다른 일은 드물지 않지만 내수용과 해외판의 가격 차이가 40%에 달하는 것은 이례적이다.업계 일각에서는 ‘트럼플레이션’의 한 사례라고 분석했다. 트럼플레이션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이름(Trump)과 인플레이션(inflation)을 합친 신조어로, 트럼프 정부의 경제정책 때문에 발생하는 물가상승을 뜻한다.파이낸셜타임스(FT)는 “닌텐도가 관세로 인한 공급망 충격에 대비해 완충 지대를 구축하려는 것”이라고 보도했다. 또 닌텐도가 ‘닌텐도 스위치 2’ 수십만 대를 베트남 공장에서 미국으로 서둘러 선적했다고 전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해외 모든 나라를 상대로 때린 상호 관세의 여파가 게임 산업에까지 미쳤다는 것이다.스마트폰 시장에서는 아이폰 가격이 불안하다는 얘기가 나온다. 애플은 아이폰을 중국 공장에서 가
-
생글기자
'지브리 프사' 유행…AI의 저작권 침해 우려
인공지능(AI)을 이용해 사진을 지브리 애니메이션과 비슷한 느낌으로 바꾸는 일명 ‘지브리풍 이미지’가 유행하고 있다. 나이대를 불문하고 자기 사진을 지브리 스타일의 그림으로 바꿔 SNS 프로필 사진으로 쓰는 사람을 많이 볼 수 있다. 스튜디오 지브리는 ‘하울의 움직이는 성’,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 등으로 유명한 일본의 애니메이션 제작사다. 미야자키 하야오 감독의 작품이 특히 유명하다.AI 대중화 시대를 맞아 새로운 유행으로 등장한 지브리풍 이미지 제작에 문제점은 없을까. 생성형 AI가 생겨난 이후 저작권 침해 소송이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라고 한다. 지브리 스타일의 이미지 만들기도 저작권과 관련된 문제를 낳을 수 있다.만약 지브리 사진을 무단으로 판매한다면 저작권 침해나 상표권 침해로 법적 책임을 져야 할 수 있다. 타인의 사진을 허락 없이 수정하거나 편집하면 초상권 침해 문제가 걸린다. AI가 대중화하면서 이미지를 합성해 허위로 조작하는 딥페이크 문제도 심각해졌다. 딥페이크는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범죄행위다. 창작자들의 설 자리가 사라질 위험도 크다. AI 기술이 더 발전하면 화가와 일러스트레이터 등 예술가들이 일자리를 잃게 될지도 모른다.지브리 열풍은 AI가 몰고 오는 문화적 환경 변화를 보여준다. AI는 앞으로 더 발전할 것이고, 이에 따라 AI를 이미지 생성에 활용하는 일도 더 많아질 것이다. 하지만 AI로 인해 인간이 만들어낸 순수 창작물이 가치를 잃어버리는 일은 없어야 할 것이다.방은혜 생글기자(대전신일중 3학년)
-
경제 기타
국가간 자본거래 급증…자본수지 중요해졌죠
가계와 기업 경영에서 수입과 지출이 일치하지 않으면 적자나 흑자가 발생한다. 국가와 국가 사이의 거래 과정에서도 나라에 들어온 돈과 밖으로 나간 돈이 일치하지 않으면 적자나 흑자가 발생할 수 있다. 이처럼 국가와 국가 사이에 발생하는 적자와 흑자를 측정하기 위해 고안한 개념이 국제수지(balance of payments)다. 대외 거래를 통해 국가 안으로 들어온 돈과 밖으로 나간 돈이 일치하면 국제수지가 균형을 이루었다고 한다. 국가 안으로 들어온 돈이 더 많으면 국제수지가 흑자가 되고 국가 밖으로 나간 돈이 더 많으면 국제수지는 적자다. 국제수지와 국제수지표국제수지는 일정 기간 한 나라가 다른 나라들과 거래한 경제활동의 결과를 화폐로 환산해 보여주는 것이다. 대외 거래의 화폐적 측면을 보여주는 지표라고 할 수 있다. 나아가 국제 거래는 자국의 화폐가 아니라 달러와 같이 신뢰도가 높은 외환이 사용되므로 국제수지는 한 나라 외환보유액의 증감도 보여준다. 기업이 재무 상태를 파악하기 위해 회계장부를 작성하듯 국가도 국제수지를 파악하기 위해 국제수지표를 작성한다. 국제수지표는 일정 기간에 발생한 한 나라의 모든 대외 거래를 요약해놓은 표로 국제수지표의 작성과 관련해서는 이후 자세히 다룰 예정이다. 경상수지와 자본수지국가 간 자금이 이동하는 거래는 크게 경상거래와 자본거래로 구분할 수 있다. 경상거래는 재화와 서비스를 수출하고 수입하는 거래를 의미한다. 경상거래를 통해 한 나라로 유입된 금액과 나간 금액을 비교해서 국제수지를 측정한 것을 경상수지(current account balance)라고 한다. 자본거래는 상품의 거래 없이 국가 사이에 자금만 이동된 것을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