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글생글
-
최준원의 수리 논술 강의노트
함수 연속성의 궁극적 의미를 이해하자
지난 호 기사(6월 26일자 16면) 예시 논제에서 살펴봤던 함수의 연속성 의미를 좀 더 보완해 확실하게 점검하자. 수리논술을 본격적으로 준비하지 않은 학생들에게 함수의 연속이 무엇인지 물어보면 대부분 기계적으로 “좌극한=우극한=함숫값”이라고 답한다. 물론 수능에서는 이 공식으로도 문제가 해결된다. 그러나 논증 추론의 유형, 즉 증명 유형으로 문제가 나오면 위의 공식만으로는 한계에 부딪히는데, 가장 큰 이유는 함수의 연속성...
-
생글기자
2022 '우수 생글기자' 뽑았어요 !
한국경제신문 경제교육연구소는 2022 생글기자 가운데 뛰어난 활동을 보여준 학생을 ‘2022 우수 생글기자’로 선정했습니다. 지난 1년간 생글생글 지면에 게재된 기사의 수와 질을 평가한 결과입니다. 우수 기자상을 시상하지 못한 2021년 하반기 활동 생글기자도 포함했습니다. 수상자에겐 한국경제신문 사장상과 소정의 상품권을 수여합니다.
-
테샛 공부합시다
세계적 물부족 위기…물관리 산업 키워야
사진 속 건물을 보시죠. 멕시코는 지난 3월부터 폭염에 따른 가뭄으로 저수지와 강물이 말라가고 있다고 합니다. 그래서 16세기 지어진 사진 속 건물도 저수지가 만들어진 이후 60년 만에 처음으로 완전한 모습을 드러냈습니다. 전문가들은 폭염의 원인 중 하나로 기후변화를 언급하고 있죠. 엘니뇨와 애그플레이션 지난 6월은 때 이른 폭염이 세계를 뒤엎었다고 할 만큼 뜨거웠습니다. 멕시코는 최고 기온이 45도, 미국 텍사스 지역은 48도를 기록했다고...
-
시사 이슈 찬반토론
'추가 규제만 58개'…정부가 개별기업 '총수' 직접 지정·규제해도 되나
한국에만 있는 유별난 대기업 규제가 있다. 매출, 자산, 이익, 직원 수 등 기업을 평가하는 여러 요소 중 자산을 기준으로 5조원, 10조원부터 ‘대기업집단’으로 지정해 여러 가지를 제한하는 제도, 이른바 재벌 규제다. 중소·중견기업이 성장해 자산총액 5조원이 되면 ‘공시대상기업집단’이 돼 67개 규제를 새로 적용받는다. 기존 규제까지 합치면 규제 수는 217개로 늘어난다. 자산 10조원을...
-
대학 생글이 통신
소탐대실 않는 멘탈 관리가 성공에 이르는 길
이번에는 공부에 열중하기 위해 마음을 다스리는 효과적인 방법에 대해 이야기하고자 합니다. 저만의 첫 번째 멘탈 관리법은 ‘나에게 집중하기’입니다. 역설적이게도 굉장히 쉬우면서 동시에 어려운 것이 스스로에게 집중하는 것입니다. 시험 기간 교실 안이 공부의 열기로 가득 찰수록 급우들과의 경쟁 역시 치열해집니다. 그러다 보면 어느새 내 공부에 집중하기보다 친구들이 보는 교재, 듣는 인강, 쓰는 학습도구에 관심을 보이는 자신을 발...
-
대학 생글이 통신
수능까지 4개월…기본개념 이해와 자기확신 중요
기말고사 이후 수능이 4개월 정도 남은 시점에 되새기면 좋을 몇 가지 사항을 소개합니다. 먼저 과목별 단권화를 추천합니다. 이는 필수사항은 아니지만 탐구과목이나 수학 정도는 단권화를 해두는 것이 좋습니다. 자주 보는 교재 한 권을 바탕으로 자신이 헷갈리는 개념이나 공식을 교재의 여백이나 포스트잇을 활용해 정리해두는 것입니다. 시험장에서 마지막으로 볼 핵심 내용을 간추린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다음으로 기본개념을 정확히 이해하고 되짚어보는 것입...
-
스도쿠 여행
스도쿠 여행 (809)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인과관계 아닌데 '때문이다' 남용 곤란
연초부터 화제가 된 챗GPT는 기존 인공지능(AI)이 한 단계 진화한 버전이다. 그동안 AI는 이런저런 실수가 많은 것으로 알려졌다. “임진왜란이 언제 일어났어?” “임진왜란아~ 엄마가 깨우지 않아도 스스로 일어난 거야.” AI의 실수 또는 한계 사례로 이런 게 꽤 많이 유포됐다. 대화의 맥락을 알아채지 못하고 기계적으로 대입하고 해석하는 데서 오는 오류다. 뉘앙스 차이로 어색한 문장 많아 글쓰기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