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임재관의 인문 논술 강의노트

    복수 제시문 요약형은 논리적 관계를 살펴보자

    지난 시간에는 하나의 제시문을 요약하는 방법에 대해 다뤘습니다. 이번에는 다수의 제시문을 통합적으로 요약하는 요령을 알아보겠습니다. 예) 아래 세 제시문의 내용을 통합적으로 정리하시오. (서강대 23모의 기출지문 활용) [가] 우리 사회에서 상당수가 이들과 같은 ‘번아웃 증후군(Burnout Syndrome)’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번아웃은 어떤 일에 몰두하다가 신체적·정신적 스트레스가 계속돼 무기...

  • 시사 이슈 찬반토론

    저출산 대응·소비 진작…'결혼자금 증여세 면제 확대'는 어떤가

    정부가 ‘결혼 자금’에 대해 증여세 공제(비과세) 확대를 검토 중이다. 심각하게 악화된 저출산 대응책이다. 기획재정부가 발표한 2023년 하반기 경제정책방향에 포함된 내용이다. 자녀에게 세금 없이 줄 수 있는 자금은 10년에 걸쳐 1인당 5000만원이다. 3000만원이던 것이 2013년 법이 바뀌어 2014년부터 10년째 그대로다. 기재부가 이 한도를 올리려는 것은 비혼·저출산 타개책인 데다 소비 진작 효과도 ...

  • 대입전략

    논술전형, 45개 대학에서 1만1348명 모집…인문 선발 중 72.7%, 자연 64.2% 수능 최저 요구

    논술전형은 수시모집 전형 중 내신의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미미한 전형 중 하나다. 상당수 대학에서 수능 최저학력기준을 요구하고 있어 내신보단 수능의 영향력이 더 크다. 내신 4~5등급대 학생도 논술 실력과 수능 성적만 뒷받침된다면 도전해볼 만하다. 2024학년도 전국 논술전형 선발 규모와 수능 최저 수준을 분석해본다. 연세대·성균관대 등 ‘논술 100%’로 선발 수시 요강 기준으로 2024학년도 수시모집 논술...

  • 영어 이야기

    계획대로 잘 진행될 때는 'on track'

    HYBE hosts about 100 visitors per day on average at its headquarters, which occupies the entire 19 floors of the building, measuring 60,000 square meters in floor areas. “We are the world’s top entertainment lifestyle platform based on m...

  • 디지털 이코노미

    연결이 문제해결 능력 획기적으로 높여

    마키아벨리는 ‘군주론’에서 우민론(愚民論)을 주창했다. 대중은 어리석고, 어리석은 무리를 다루기 위한 방법은 권모술수가 유일하다는 주장이 그것이다. ‘구성의 오류’도 비슷한 개념이다. 개별적인 것이 합쳐질 경우 전체의 모습과 다를 수 있다는 것이다. 마키아벨리의 시각대로라면 한 사람, 한 사람은 똑똑한데 군중은 어리석을 수 있다는 것이다. 현실에는 반대 사례도 존재한다. 한 명의 의사만으로는, 한 명...

  • 경제 기타

    정부 시장 개입, 항상 좋은 결과 보장하진 않아

    정부는 자원배분이 비효율적으로 된 시장 실패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시장에 개입한다. 정부는 수많은 사전 조사를 바탕으로 최적의 정책을 수립한다지만, 시장 개입의 결과가 항상 의도한 대로 나오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자원배분을 더 비효율적으로 만들어놓기도 한다. 이런 상황을 ‘정부실패’라고 한다. 이번 주에는 정부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정부실패가 발생하는 원인과 해결 방안에 대해 살펴본다. 불완전한 정보의 한계 발생한 문제...

  • 테샛 공부합시다

    고대부터 현재까지 진행 중인 국가 개입 논쟁

    기원전 81년 중국 한나라 조정에서 큰 논쟁이 있었습니다. 당시 경제정책을 책임지던 어사대부 상홍양(그림)과 지식인들 사이에 무제(武帝) 시기의 각종 정책을 무제가 죽은 뒤에도 지속할지를 두고 토론이 벌어진 것입니다. 특히 ‘염철전매제’에 대한 논쟁이 치열했습니다. 이는 <염철론(鹽鐵論)>이라는 책에 기록돼 있습니다. 이 논쟁이 후대에 이름을 날릴 줄은 이들은 몰랐겠지요. 소금과 철을 국가가 독점 상홍양은 &...

  • 생글기자

    헷갈리기 쉬운 저량·유량 개념…경제공부 중요

    지난달 30일 미국 애플의 시가총액이 사상 처음으로 3조달러를 넘겼다. 시가총액은 주식 가격에 유통주식 수를 곱한 것으로, 한 기업이 시장에서 평가받는 기업가치의 총합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를 두고 많은 언론에서 ‘3조달러면 국가로 따졌을 때 7위에 해당한다’고 소개했다. 국가별 국내총생산(GDP)으로 따졌을 때 6위인 영국(3조1589억달러)과 7위인 프랑스(2조9234억달러) 사이에 있으니 7등이라는 것이다. 우리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