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경제 기타

    정보 비대칭이 원인…고품질 상품 씨말리죠

    상대방이 어떤 유형의 경제주체인지 잘 안다면 거래를 하고 싶은 상대방만 골라 거래하면 될 것이다. 비싸더라도 품질 좋은 상품을 원한다면 그런 상품을 판매하는 사람을 찾으면 된다. 그런데 거래 상대방에 대한 정보가 부족하면 원치 않은 사람과 거래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이런 현상을 ‘역선택’이라고 한다. 역선택은 상품시장뿐 아니라 노동시장과 보험시장에서도 나타나므로 시장을 유형별로 구분해 역선택이 발생하는 상황을 살펴보자. ...

  • 숫자로 읽는 세상

    10년 걸린 삼성전자 송전선로 준공…평택 반도체 공장 전력공급 '숨통'

    2013년 건설 계획이 수립된 고덕~서안성 송전선로가 12일 준공됐다. 주민 반대로 갈등을 겪은 지 10년 만으로, 당초 계획보다 2년 늦은 ‘지각 준공’이다. 이로써 삼성전자 평택 반도체 공장은 전력난 우려에서 벗어나게 됐다. 공사비 3900억 원 삼성전자가 부담 한국전력은 이날 고덕~서안성 345㎸ 송전선로 건설을 끝내고 준공식을 열었다고 밝혔다. 이 송전선로는 경기도 안성시, 용인시, 평택시를 지나는 23.5km ...

  • 허리띠 조인 내년 예산안

    816호 생글생글은 내년 정부 예산안을 커버스토리에서 다뤘다. 윤석열 정부는 방만한 재정 운용으로 인한 폐해를 막기 위해 긴축예산을 선택했다. 예산안이 어떻게 편성되고 심의되는지 정리했다. 예산 결정 과정에 참여하는 정부 관료, 국회의원, 유권자와 이익집단 등의 행동을 설명하는 공공선택론과 선심성 예산(포크 배럴) 문제를 살펴봤다. 시사이슈 찬반토론은 ‘닭발 가로수’를 용인할지 따져봤다. 태풍·폭우 대비 등을 ...

  • 커버스토리

    나라 살림 허리띠 조인 내년 정부 예산안

    정부가 내년 예산안 지출 규모를 656조9000억 원으로 편성했습니다. 예산안은 정부가 이듬해 1년간 세금 등으로 거둬들일 수입과 여러 정책 집행에 쓸 지출을 정리한 계획표입니다. 나라 살림을 위한 수입·지출 계획표죠. 내년 지출 규모는 올해보다 2.8% 늘었습니다. 지난 정부 5년간 연평균 8.7%씩 증가한 것과 비교하면 윤석열 정부의 긴축 의지가 돋보인다는 평가가 나옵니다. 지난 정부는 서민 지원과 경기 진작을 명분으로 내세워...

  • 테샛 공부합시다

    드러난 '그림자 금융'…중국 경기침체 심화하나

    ○그림자금융(Shadow Banking System)= 은행과 비슷한 역할을 하면서도 중앙은행의 규제와 감독을 받지 않는 금융회사로, 고수익-고위험 채권을 사고파는 과정에서 새로운 유동성을 창출한다. 하지만 은행 대출을 통해 돈이 도는 일반적인 금융시장과 달리 투자 대상의 구조가 복잡해 손익이 투명하게 드러나지 않는다는 점에서 그림자라는 별칭이 붙었다. 최근 중국의 경제 위기 요인에도 그림자금융이 존재한다. 공식 통계에 잡히지 않아 감독 사각...

  • 임재관의 인문 논술 강의노트

    비교는 대상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규명하는 과정

    이번에 다룰 유형은 비교입니다. 비교는 사전에서 정의하듯, 둘 이상의 대상을 견주어 공통점과 차이점 등을 규명하는 사고-작업입니다. 비교를 공부할 때는 이 개념을 잘 이해해야 합니다. 비교에 대해 소위 ‘기준’이라는 것을 기계적으로 잡아 수행하는 일이라고 배우게 되면, 첫발부터 잘못 들어서서 교정하기가 매우 어렵습니다. 정석적으로 생각해보겠습니다. 비교는 상대와의 대립적 성격을 범주화하는 사유에서부터 시작할 수 있습니다....

  • 생글기자

    문해력 낮은 청소년…콘텐츠 강국 멀어진다

    코로나19 사태로 장기간 비대면 수업이 진행되면서 청소년의 문해력이 급격히 나빠졌다고 한다. 글자보다는 영상, 기성세대보다는 또래와의 인터넷 소통에 익숙한 청소년들이 “수업 내용이 무슨 말인지 모르겠다”라며 머리를 절레절레 흔드는 경우가 많다는 것이다. 영어 시간에 한글 단어의 뜻을 이해하지 못해 수업 진도를 나가지 못한다거나, 뜻을 오인해 과제 제출 기한을 맞추지 못하는 등의 문제도 학교에서 쏟아진다. 교육부 등의 국...

  • 생글기자

    국제중학교에 대한 오해와 진실, 바로 봐주길

    내가 다니는 대원국제중학교의 2023학년도 입시 경쟁률이 20 대 1을 넘었다. 선발형 고교 입시에 유리한 국제중학교에 진학하고 싶어 하는 학생이 많아졌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런 자연스러운 선택을 인정하지 않고 국제중학교의 존재가 많은 부작용을 낳는다며 폐지를 주장하는 사람들이 있다. 과연 그럴까. 이런 사람들은 국제중이 사교육을 부추긴다고 주장한다. 국제중학교 정기 시험의 70~80%가 영어로 출제되고, 영어와 수학은 성적순으로 분반해 수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