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글생글
-
학습 길잡이 기타
27. 마후라와 머플러‥일본식 표기의 잔재들
8·15 광복 이후 우리가 영어를 위주로 외래어(정확히는 외국어)를 지나치게 많이 쓰고 있다는 비판은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다. 하지만 한편으론 영어 열풍 덕분에 오는 긍정적 현상도 있다. 예전에 흔히 쓰던 뼁끼, 공구리, 도란스 같은 말이 빠른 속도로 사라진 게 그 예다. 일본을 거쳐 온 이런 엉터리 말들이 어느새 페인트, 콘크리트, 트랜스미션 등 본래의 발음 형태로 자연스럽게 바뀌었다. 뼁끼는 영어의 paint를 일본에서 자기네 글자(...
-
학습 길잡이 기타
과학에서 배우는 논리의 구조 (2) 여러 가지 균형 상(上)
◆ 사라지는 모델들 모델들이 죽어나가고 있다. 지난해 브라질의 아나 카롤리나 레스톤(21) 등 3명의 모델이 거식증으로 사망했다. 올해는 우루과이의 두 자매 모델이 심장쇼크로 사망했는데 심장마비의 원인이 영양실조라고 알려졌다. 불행한 사건들이 이어지자 국제 패션계에서는 너무 마른 모델을 기용하지 말자는 움직이 일고 있다고 한다. 이탈리아 정부와 패션업계는 '공동대응안'을 마련,모든 패션기업들로부터 건강하지 않은 깡마른 모델을 강제로 추...
-
진학 길잡이 기타
대학별 전형 및 지원전략 분석 ⑨ 경희대
수시 2-1은 논술, 수시 2-2는 학생부 위주 전형 경희대는 수시 1학기와 인·적성고사를 폐지하고, 공교육의 정상화를 위해 학생부 반영 비율을 대폭 높이는 2008학년도 입시전형을 발표했다. 수시모집 선발 인원이 서울캠퍼스의 경우 전체의 50% 이상, 수원캠퍼스는 70%까지 크게 증가한다. 올해부터 수시 2학기를 2-1과 2-2로 분리, 10개 이상의 다양한 전형을 신설·확대 모집하고 전형별로 수능 최저학력기준이 다르기 때문에 자신에게 ...
-
교양 기타
(38) 조지 오웰의 '동물농장'
러시아 혁명 풍자…20세기 최고 정치 우화소설 조지 오웰(본명 에릭 아서 블레어, 1903~1950)의 『동물농장』은 러시아 혁명을 풍자한 소설이다. 실제 사건 및 인물들을 우화의 형식을 통해 신랄하게 풍자한 20세기 최고의 정치 우화소설이다. 제목에서 알 수 있듯이 이 우화소설의 무대는 농장이고, 여기에 나오는 일단의 농장 동물들은 러시아 혁명가들이나 정치 사상가들을 상징하고 있다. 이 책 전반에 걸쳐 오웰의 문장 스타일은 단순, 명료,...
-
학습 길잡이 기타
31.중요 동사(Verbs) ②
가목적어 사용하는 다섯개 동사의 쓰임 예문으로 잘 익혀 두세요 ♣가목적어를 취하는 동사를 암기하라 가목적어를 취하는 동사에 대해서 철저히 알아둘 필요가 있다. 'make think believe find consider'와 같은 동사들은 '목적어+목적격 보어'가 뒤에 오는 문형에서 to부정사나 명사절을 목적어로 취하는 경우, 적어 자리에 가목적어 it을 두고, 진목적어(to부정사나 명사절)를 목적격 보어 뒤에 둔다. 가목적어를 사용하...
-
시사 경제용어 따라잡기
(18) 다음 문장을 흐름에 맞게 배열해 보세요
이제 생글생글을 휴대폰으로도 본다! 휴대폰으로 생글생글을 읽고 모바일 글쓰기를 통해 실력을 겨뤄보세요. [문제] 순서가 흩어진 다음 문장을 흐름에 맞게 배열해 보세요. ①물고기가 떼 지어 헤엄치는 것과 새가 V자형의 편대로 비행하는 것도 같은 이유에서일 것이다. ②물론 먹이를 서로 나누어야 한다는 문제가 있지만 떼 지어 사냥하는 것은 개개의 이기적 객체에게 유리하다. ③만일 동물이 무리를 지어 함께 산다면 그들의 유전자는 이 연합에 ...
-
시사 경제용어 따라잡기
4월 23일자
1. 아시안 게임은 제2차 세계대전 후 아시아 여러 나라의 우호와 평화를 증진할 목적으로 창설된 국제 스포츠 대회로 4년마다 열린다. 2014년 아시안게임 개최지로 최근 선정된 도시는 어디인가? 1)인천 2)대구 3)부산 4)평창 2. 더이상 '아저씨'이기를 거부하는 중년 남성을 의미하는 신조어로 신세대 못지않게 외모를 가꾸고 다양한 자기 계발에 힘쓰며 가족의 가치를 중시하는 자상한 가장형을 이르는 말은 무엇인가? 1)나우족 2)...
-
시사 경제용어 따라잡기
(28) 경로의 갯수
박 선생님은 집 근처에 있는 A역에서 학교 가까이 있는 F역까지 지하철로 출근하는데, 좀 엉뚱한 데가 있는 괴짜 선생님입니다. 그는 날마다 똑같은 출근길이 싫증나기도 해서 아래 지도에 나온 것과 같은 철도를 이용할 때 서로 다른 길이 얼마나 많은가 생각해 보았는데, 이 경로의 수가 그 학년도 동안 출근해야 하는 날수와 정확히 일치한다는 것을 알고 기뻐했습니다. 근무를 마치고 집으로 올 때 그는 항상 곧은 길 FEDCBA로 오지만, 아침에 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