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시사 경제용어 따라잡기

    (21) 다음문장을 흐름에 맞게 배열해 보세요

    이제 생글생글을 휴대폰으로도 본다! 휴대폰으로 생글생글을 읽고 모바일 글쓰기를 통해 실력을 겨뤄보세요. [문제] 순서가 흩어진 다음 문장을 흐름에 맞게 배열해 보세요. ①어떤 범죄 행위의 용의자가 A와 B 둘 중 하나인데, 범인이 B라는 증거는 없지만 A가 범인이라는 증거는 불완전하므로 범인은 B이다. ②그런데 창조론자들은 A와 B의 처지를 바꿔도 논리에는 전혀 하자가 없다는 것을 간과하고 있다. ③진화론의 증거가 불충분하다고 해도 ...

  • 시사 경제용어 따라잡기

    5월 14일자

    1. ( )는 해양의 명칭이나 경계 등을 조정하는 국제기구로 우리 정부는 이번에 열리는 제17차 총회에서 '일본해 표기 삭제'와 '동해/일본해 병행표기'를 추진할 계획이다. 일본 정부는 '일본해 단독표기'를 확정짓겠다며 공세적인 입장을 표명했다. ( )에 들어갈 용어는? ①WTO ②IAEA ③WHO ④IHO 2. 지난 6일 실시된 프랑스 대선 결선투표에서 우파 대중운동연합의 ( ) 후보가 53.6%의 지지를 얻어 대통령으로 당선됐다. ...

  • 시사 경제용어 따라잡기

    (31) 주사위 게임 - <끝>

    혜정이는 남동생 정현이와 언제나 새로운 놀이를 즐기곤 하는데 때때로 놀이를 더욱 재미있게 하기 위하여 용돈을 조금씩 걸기도 합니다. 어느 날 혜정이는 주사위 하나를 두 번씩 던져 그 차를 계산하는 간단한 놀이를 생각해냈습니다. 그 차는 0,1,2,3,4,5 가운데 하나일 것이므로 공평하게 그 차가 0,1,2일 때는 혜정이가 이긴 것으로 하고,그 차가 3,4,5일 경우에는 정현이가 이긴 것으로 하기로 했습니다. 정현이는 주사위를 몇 번 던져...

  • 교양 기타

    (41) 닐 포스트먼 '테크노폴리'(Technopoly)

    과학기술이 정말 인류를 행복하게 할까? 현대인의 생활에서 과학기술이 끼친 영향을 제외한다면 아마 우리는 한순간도 제대로 살아가기가 쉽지 않을 것이다. 이젠 필수품이 된 휴대폰과 컴퓨터는 일상적인 커뮤니케이션 수단이며, 버스 지하철 등 교통수단과 함께 현대인의 공간적 영역을 확장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100년 전 우리 선조의 삶과 현재 우리 삶을 비교해 보면, 분명히 우리는 발달한 현대 과학기술 덕분에 풍요롭고 행복한 삶을 누리고 ...

  • 커버스토리

    이미지는 진실을 말하나

    '싸이월드'는 대한민국 국민들을 모두 사진작가로 만들어버렸다. 디카 하나 들고 거리로 뛰쳐나가 아름다운 풍경, 맛있는 음식, 다양한 사람들의 표정을 찍고 그것들을 '미니홈피'에 올리도록 만들었다. 개성적인 미니홈피를 자랑하려는 경쟁은 남들보다 '예쁘게, 특이하게, 멋있게' 찍도록 만들었고 프로작가 못지않은 아마추어 사진작가들도 대거 등장했다. 주말 서울 '삼청동'거리는 예쁜 간판과 풍경을 담기 위해 수많은 '작가'들로 마치 '저그'들처럼 ...

  • 경제 기타

    5만원ㆍ10만원권 2009년 상반기 발행 확정

    지폐 초상인물 김구ㆍ정약용ㆍ신사임당ㆍ유관순 등 후보 한국은행이 5만원과 10만원짜리 고액권 화폐의 발행 시점을 2009년 상반기로 확정했다. 논란이 돼 오던 화폐 액면 단위 변경(리디노미네이션)은 추진하지 않기로 했다. 이성태 한국은행 총재는 2일 기자회견을 열고 "소득 물가 등 우리나라 경제상황에 비해 1만원인 은행권 최고 액면 금액이 너무 낮아 경제적 비용과 국민들의 불편이 크다"며 5만원과 10만원 고액권 발행 계획을 공식 발표했다. ...

  • 경제 기타

    친일파 토지 국가에 환수 外

    ◆ 친일파 토지 국가에 환수 친일 반민족행위자 재산조사위원회는 2일 이완용 송병준 등 친일 반민족 행위자 9명의 재산에 대해 국가 귀속 결정을 내렸다. 국가 귀속 결정이 내려진 재산은 친일파 9명의 소유 토지 154필지 25만4906㎡로 공시지가 36억원 상당이다. 위원회는 국가 귀속 대상 토지가 모두 3994만6266㎡인 것으로 추정했으며 이중 이날 귀속 결정을 내린 토지는 전체의 0.64%라고 밝혔다. -역사 바로잡기라는 측면에서는 ...

  • 경제 기타

    집값의 역설…올라도 걱정 내려도 걱정

    '집값은 올라도 걱정, 내려도 걱정'이라는 말을 누구나 한 번쯤은 들어봤을 것이다. 집값이 가파르게 오를 때에는 "너무 오른다"고 아우성 치고, 요즘처럼 떨어질 때에는 "큰일났다"며 또다시 아우성 친다. 시장경제 체제에서 물건 값이 오르내리는 것은 다반사인데, 왜 하필 집값만은 너무 올라도 안 되고 너무 내려도 안 되는 것일까. ◆ 주택의 독특한 특징 경제학에서는 상품의 가격이 수요와 공급을 통해 결정된다고 가르친다. 아파트를 포함한 ...